한국건축의 역사 8장 지방사림의 대두와 사대부건축의 전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건축의 역사 8장 지방사림의 대두와 사대부건축의 전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16세기 주택의 새로운 전개
Ⅱ. 선비정신과 조형 예술
Ⅲ. 서원의 전개
Ⅳ. 시대변화에 부응한 궁궐과 불교사원 건축
Ⅴ. 조선 고유의 구조기법과 익공

본문내용

헌(巖棲軒), 서쪽을 완락재(玩樂齋)라 이름 지었다.
* 「도산서당영건기사」는 퇴계 생존 당시 서당의 모습을 기록한다.
- 서당은 ‘삼간당(三間堂)’으로 짓고 삼면에 퇴를 두어 건물 동쪽에는 처마를 겹으로 달아
비가 들이치는 것을 막고, 실의 서북벽은 서가를 꾸몄으며, 서쪽에는 반 칸쯤 비워 두었다.
* 16세기 조선의 선비들은 성리학을 깊이 탐구하고 삶의 모든 전거로 삼았으며, 주자의 행적이
하나의 모범이 되었다.
- 만년에 자연으로 돌아가 무이정사를 짓고 주변 경치를 노래하며 자연과 동화되는 모습을
하나의 이상으로 생각하였다.
- 율곡 이이와 한강 정구를 예로, 자연에 이름을 붙이고 시를 짓고 그 안에 머무는 과정에
조선 선비들의 독특한 자연관과 건축관이 형성될 수 있었다.
* 16세기 지방 각지에는 선비정신과 성리학적 자연관이 응축된 많은 건물들이 지어졌다.
- 하나의 공통된 원칙으로 ‘선비에게 요구되는 절제된 품격과 긴장감, 그리고 주변 자연을
건축에 융화시키는 폭넓은 자연인식‘을 사용 하였다.
2. 정자 : 중앙의 정치 권력 다툼은 많은 선비들로 하여금 정계 진출을 단념하고 고향에 여생을 보내게했다.
* 정치를 포기한 선비들은 정자를 짓기 시작했다.
- 경북 봉화의 청암정은 곁에 도산서당과 유사한 평면 형식의 3칸짜리 충재하는 서재 건물이
놓여있다. 청암정을 세운 권벌의 아들은 바위가 펼쳐지고 맑은 물이 넘쳐 흐르는 곳에
석천정사를 짓고, 손자는 태백산 줄기가 내려오는 빼어난 경관을 찾아 한수정을 지었다.
* 정자 건물의 다양한 건물을 볼 수 있는 예로 경주 외곽의 독락당(獨樂堂)과 계정(係亭)이 있다.
- 집 곁을 흐르는 계류의 맑은 물과 넓은 암반을 그대로 수용하여, 사랑채 담장에서는 계규를
내려다 보고, 암반에 기대서는 계류를 내려다 볼 수 있는 정자를 지었다.
- 두 칸 마루에서는 열린 개방감과 계류의 시원함을 즐기고, 온돌방에서 책읽기에 전념하는
평안함이 적절히 갖추어져 있다.
- 암반 위에 세운 기둥은 모를 접어 암반 위에 굵은 기둥이 서있는 것을 피한 섬세함을 보였다
* 하회마을 높은 언덕 위의 겸암정사, 청석산 가파른 절벽 위의 석문정은 각기 지형 조건을 살린
변화 있는 평면구성과 외관의 처리에서 또 다른 조형세계를 펼쳤다.
- 길안면의 만휴정은 독락당 계정의 경관보다도 한층 더 빼어난 경관 속에 자리 잡았다.
- 이는 선비들의 성리학의 사상적 탐구에 있어 자연과 인생을 노래하는 시적 상상력이 절정에
이르렀다는 것을 보여준다.
Ⅲ. 서원의 전개
1. 서원 : 조선시대 서원의 출발은 1543년 주세붕이 ‘백운동서원’을 창설하면서 시작 되었다.
* 중국에서 시작된 서원은 주자가 학문 추구를 목표한 학자들의 결사 집단으로 백록동서원을
세우면서 시작되었다.
* 선현의 학문 추앙 정신으로 출발한 서원은 점차 사림세력의 거점으로 발전하고 경제력은 물론
정치적 힘까지 갖추어 갔다.
* 서원의 기능은 크게 선현에 대한 제사를 지내고, 학생들을 모아 강학을 하는 두가지로 요약된다.
* 이 때의 서원은 건물형식이 자리 잡히지 않은 상태 였으며, 영남 지방에서는 퇴계가 이 지방
서원의 규범을 잡아나가는데 큰 역할을 하였다.
2. 서원Ⅱ
* 1559년 건립된 영봉서원은 「영봉서원기」의 기록내용은 이렇다
- 건물은 정당(正堂)을 성정(誠正), 동재를 극복(克復), 서재를 경의(敬義)라 하고 고명루
(高明樓)와 풍영단(風詠)이 있어 이를 통칭하여 영봉서원이라 한다.
*「영봉서원기」는 몇 가지 중요한 점을 알려준다.
- 1. 옛 절터에 세워졌다(서원의 지배력이 강화되었음을 보여 준다)
2. 서원으로 지칭되는 건물이 강당, 동서재, 누각에 국한되고 사묘는 별도로 취급
  • 가격1,8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3.09.23
  • 저작시기2011.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8079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