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노인의 개념
2. 노인문제
3. 노인복지의 개념
4. 노인복지정책의 개념과 이념
5. 노인복지정책의 체계와 영역
6. 노인 복지의 기본적 원칙
7. 노인복지와 연금제도
8. 사회보험으로서 노인복지
9. 외국의 노인복지정책
10. 우리나라 노인복지의 문제점
11. 노인복지정책의 개선방안
12. 앞으로의 전망 및 제언
Ⅲ. 결론
참고 문헌
Ⅱ. 본론
1. 노인의 개념
2. 노인문제
3. 노인복지의 개념
4. 노인복지정책의 개념과 이념
5. 노인복지정책의 체계와 영역
6. 노인 복지의 기본적 원칙
7. 노인복지와 연금제도
8. 사회보험으로서 노인복지
9. 외국의 노인복지정책
10. 우리나라 노인복지의 문제점
11. 노인복지정책의 개선방안
12. 앞으로의 전망 및 제언
Ⅲ. 결론
참고 문헌
본문내용
을 포함시켜 경로효친이 생활속에 뿌리내리도록 하여 우리의 아름다운 전통을 살려 나갈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또한 앞으로의 사회에서는 자식에 의해서 노후생활을 보장받을 수 있다는 우리의 전통적 가치관은 급격히 퇴조하는 경향을 띠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 우리 사회가 안고 있는 기존의 가치체계 중에는 인간의 노후생활은 의례히 자식에게 의존한다는 관념이 지배적이었다. 그러나 자식을 자산화하는 가치관은 점점 감소하고 있다. 미래사회의 부모들은 자식을 적데 두며, 동시에 자녀에 대한 양육비, 교육비, 결혼비용등의 지출비율은 낮추어 나가는 반면 자신의 노후준비를 위한 사전준비, 사전비축에 보다 중점을 두는 경향을 나타낼 것이다. 따라서 자녀들의 양육, 교육에 소요되는 비용중 많은 부분은 국가나 사회가 부담하는 체제로 전환하게 되고, 결혼 또는 분가에 소요되는 비용 역시 부모부담의 종전 관습에서 벗어나 자녀들 당사자가 책임지는 방향으로 서서히 생활습관이 변모해 나갈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앞으로는 건강한 노인들이나 생계유지가 가능한 노인들은 자식과 같이 살지 않는 것ㅎ이 노후의 보편적 생활형태가 될 것이다. 자식과 근거리에 거주하며 서로 도와가며 생활하는 것이 이상적이기는 하지만 주택사정 또는 자식의 직장관계 때문에 그러한 거주형태를 취할 수 있는 가정도 그리 흔치 않을 것이다. 그리고 노인을 소비자로 보는 산업(Silver industry)이 이미 각광을 받고 있지만 앞으로는 더욱 각광을 받을 것이다. 노인을 대상으로 하는 것 중에 노인주택, 의료서비스, 건강식품, 노인용품의 생산, 노인관광등이 그 주류를 이룬다. 이 분야의 산업이 발전하면 할수록 경제력이 있는 노인들의 생활은 편리해 지지만 생계능력에 문제가 있는 노인들은 상대적으로 빈곤감, 고립감등의 문제가 증가될 것으로서 이들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국가의 부담은 더욱 증대될 것으로 예상된다.32)
이상의 노인복지정책에 대한 제반사항들을 살펴보면 아직도 외국 선진국가들과 비교해서는 너무나도 많은 부분이 미진하다 할 수 있다. 초기 단계에 놓인 한국의 노인복지정책이 이제 뿌리를 내리고 성장하여, 우리의 사회문화적 배경과 환경에 맞는 모델들이 생겨나고 개발되어 효과적이고 광범위하게 실시되기를 바란다. 앞으로 계속해서 노령층은 증가하고 이에 따라 노인복지에 대한 정부의 비용도 늘어날터인데, 이에 때한 정부의 대책도 수립이 되어야 할 것이다. 이에 따라 노인이라고 무조건 복지서비스를 받아야만 한다는 이기적인 생각도 사라져 경제적 능력이 있는 노인들은 오히려 사회에 베풀 수 있는 그런 건전한 정신이 함양되는 사회가 되길 바란다. 노인문제를 해결하는 데에는 국가나 사회가 주도적으로 행해야 할 것이지만 모든 것을 국가에만 의존하지 않고 개개인이 자발적으로 서로 의존하고 협조하며 건전한 사회를 형성해 나갈 때 노인문제는 어렵지 않게 해결될 것이며, 노인이 대접받는 그런 사회가 될 것이다.
Ⅲ. 결론
선진 국가에서는 오랫동안 고령사회에 대비한 준비과정을 할 수 있는 시간적 여유가 있었지만 우리나라는 지난 30여년간 오직 잘 살아 보자는 일념 하에 빵의 해결만을 위하여 정신없이 살다보니 어느새 노인인구는 증가되었고 핵가족화로 인하여 가족의 부양기능은 약화되었으며 또한 전통의 효 윤리가 사라진 이기적으로 변한 사회환경을 맞으면서 개인적으로나 국가적으로 아무런 노후대책 없이 지내오다가 이제 노인문제는 발등에 떨어진 불이 된 듯 하다. 노인문제에 대한 정책방향의 설정과 정책방안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는 이루어지고 있지 못한 것이 사실이다. 급속한 고령화를 경험하고 있는 우리나라로서는 선진국의 경험을 토대로 하여 장기적인 비전을 갖고 노인정책을 수립하여야 할 것이다. 하지만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젊은 세대들의 의식개선이 우선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물론 효 사상이나 노인공경 사상을 강조하고 젊은이들의 의식구조나 행동규범만을 비판하고 각성을 요구하는 수준으로는 노인문제에 대한 근본적인 접근이 될 수는 없다. 그러나 젊은이들의 의식개혁 없이 정책적인 면에서만 노인복지가 이루어진다면 노인들은 삶을 영위하는데는 풍족하고 불편함이 없을지 모르나 과연 행복한 삶을 누린다고 생각을 할 것인가 하는 의문이 든다. 노인은 우리 사회에서 존경받고 편안하게 주어진 것들을 누리면서 행복하게 자기 인생을 마무리 할 수 있는 그런 존재가 되어야 할 것이다. 노인복지. 완벽한 정책만으로도, 또는 의식의 개혁만으로도 이루어 질 수 있는 문제는 아니다. 이 둘의 조화속에서 우리의 노인복지는 바로 설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참고문헌
강영애, 1987, “한국의 정년제와 노후 소득보장에 관한 고찰,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강윤구, 1989, “한국 재가노인복지 서비스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사회개발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규삼, 1989, 「노인복지론」, 학문사
김동배, 1995, “노인복지 프로그램이 시급하다”, 「행복한 노년」, YMCA 사회문제부
김성순, 1984, “산업사회에 있어서 노인복지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김영호, 1997, 「자원복지 활동의 활성화 방안」, 학문사
박재간, 1997, “노년기 여가생활의 실태와 정책과제”, 「노인복지정책연구」, 1997 춘계호, 노인문제연구소
최순남(1984), 「현대사회와 노인복지」, 홍익제.
김성순(1990), 「고령화 사회와 사회복지」, 홍익제.
이인수(1999), 「현대노인복지론」, 양서원.
복지개혁백서편찬위원회(1997), 「국민복지 새 지평을 열다」, 복지개혁백서편찬위원회.
장대환(1992), \"한국노인복지 서어비스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재가노인복지 서어비스를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용갑(1992), 「우리 나라 노인복지정책에 관한 연구」, 전남대석사학위논문.
Beaver, M.L(1983), Human Service Practice with the Elderly, Prentice-Hall.
Pollak. Otto(1984), Social Adjustment in Old Age, New York:Social Science Research
또한 앞으로의 사회에서는 자식에 의해서 노후생활을 보장받을 수 있다는 우리의 전통적 가치관은 급격히 퇴조하는 경향을 띠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 우리 사회가 안고 있는 기존의 가치체계 중에는 인간의 노후생활은 의례히 자식에게 의존한다는 관념이 지배적이었다. 그러나 자식을 자산화하는 가치관은 점점 감소하고 있다. 미래사회의 부모들은 자식을 적데 두며, 동시에 자녀에 대한 양육비, 교육비, 결혼비용등의 지출비율은 낮추어 나가는 반면 자신의 노후준비를 위한 사전준비, 사전비축에 보다 중점을 두는 경향을 나타낼 것이다. 따라서 자녀들의 양육, 교육에 소요되는 비용중 많은 부분은 국가나 사회가 부담하는 체제로 전환하게 되고, 결혼 또는 분가에 소요되는 비용 역시 부모부담의 종전 관습에서 벗어나 자녀들 당사자가 책임지는 방향으로 서서히 생활습관이 변모해 나갈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앞으로는 건강한 노인들이나 생계유지가 가능한 노인들은 자식과 같이 살지 않는 것ㅎ이 노후의 보편적 생활형태가 될 것이다. 자식과 근거리에 거주하며 서로 도와가며 생활하는 것이 이상적이기는 하지만 주택사정 또는 자식의 직장관계 때문에 그러한 거주형태를 취할 수 있는 가정도 그리 흔치 않을 것이다. 그리고 노인을 소비자로 보는 산업(Silver industry)이 이미 각광을 받고 있지만 앞으로는 더욱 각광을 받을 것이다. 노인을 대상으로 하는 것 중에 노인주택, 의료서비스, 건강식품, 노인용품의 생산, 노인관광등이 그 주류를 이룬다. 이 분야의 산업이 발전하면 할수록 경제력이 있는 노인들의 생활은 편리해 지지만 생계능력에 문제가 있는 노인들은 상대적으로 빈곤감, 고립감등의 문제가 증가될 것으로서 이들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국가의 부담은 더욱 증대될 것으로 예상된다.32)
이상의 노인복지정책에 대한 제반사항들을 살펴보면 아직도 외국 선진국가들과 비교해서는 너무나도 많은 부분이 미진하다 할 수 있다. 초기 단계에 놓인 한국의 노인복지정책이 이제 뿌리를 내리고 성장하여, 우리의 사회문화적 배경과 환경에 맞는 모델들이 생겨나고 개발되어 효과적이고 광범위하게 실시되기를 바란다. 앞으로 계속해서 노령층은 증가하고 이에 따라 노인복지에 대한 정부의 비용도 늘어날터인데, 이에 때한 정부의 대책도 수립이 되어야 할 것이다. 이에 따라 노인이라고 무조건 복지서비스를 받아야만 한다는 이기적인 생각도 사라져 경제적 능력이 있는 노인들은 오히려 사회에 베풀 수 있는 그런 건전한 정신이 함양되는 사회가 되길 바란다. 노인문제를 해결하는 데에는 국가나 사회가 주도적으로 행해야 할 것이지만 모든 것을 국가에만 의존하지 않고 개개인이 자발적으로 서로 의존하고 협조하며 건전한 사회를 형성해 나갈 때 노인문제는 어렵지 않게 해결될 것이며, 노인이 대접받는 그런 사회가 될 것이다.
Ⅲ. 결론
선진 국가에서는 오랫동안 고령사회에 대비한 준비과정을 할 수 있는 시간적 여유가 있었지만 우리나라는 지난 30여년간 오직 잘 살아 보자는 일념 하에 빵의 해결만을 위하여 정신없이 살다보니 어느새 노인인구는 증가되었고 핵가족화로 인하여 가족의 부양기능은 약화되었으며 또한 전통의 효 윤리가 사라진 이기적으로 변한 사회환경을 맞으면서 개인적으로나 국가적으로 아무런 노후대책 없이 지내오다가 이제 노인문제는 발등에 떨어진 불이 된 듯 하다. 노인문제에 대한 정책방향의 설정과 정책방안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는 이루어지고 있지 못한 것이 사실이다. 급속한 고령화를 경험하고 있는 우리나라로서는 선진국의 경험을 토대로 하여 장기적인 비전을 갖고 노인정책을 수립하여야 할 것이다. 하지만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젊은 세대들의 의식개선이 우선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물론 효 사상이나 노인공경 사상을 강조하고 젊은이들의 의식구조나 행동규범만을 비판하고 각성을 요구하는 수준으로는 노인문제에 대한 근본적인 접근이 될 수는 없다. 그러나 젊은이들의 의식개혁 없이 정책적인 면에서만 노인복지가 이루어진다면 노인들은 삶을 영위하는데는 풍족하고 불편함이 없을지 모르나 과연 행복한 삶을 누린다고 생각을 할 것인가 하는 의문이 든다. 노인은 우리 사회에서 존경받고 편안하게 주어진 것들을 누리면서 행복하게 자기 인생을 마무리 할 수 있는 그런 존재가 되어야 할 것이다. 노인복지. 완벽한 정책만으로도, 또는 의식의 개혁만으로도 이루어 질 수 있는 문제는 아니다. 이 둘의 조화속에서 우리의 노인복지는 바로 설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참고문헌
강영애, 1987, “한국의 정년제와 노후 소득보장에 관한 고찰,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강윤구, 1989, “한국 재가노인복지 서비스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사회개발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규삼, 1989, 「노인복지론」, 학문사
김동배, 1995, “노인복지 프로그램이 시급하다”, 「행복한 노년」, YMCA 사회문제부
김성순, 1984, “산업사회에 있어서 노인복지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김영호, 1997, 「자원복지 활동의 활성화 방안」, 학문사
박재간, 1997, “노년기 여가생활의 실태와 정책과제”, 「노인복지정책연구」, 1997 춘계호, 노인문제연구소
최순남(1984), 「현대사회와 노인복지」, 홍익제.
김성순(1990), 「고령화 사회와 사회복지」, 홍익제.
이인수(1999), 「현대노인복지론」, 양서원.
복지개혁백서편찬위원회(1997), 「국민복지 새 지평을 열다」, 복지개혁백서편찬위원회.
장대환(1992), \"한국노인복지 서어비스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재가노인복지 서어비스를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용갑(1992), 「우리 나라 노인복지정책에 관한 연구」, 전남대석사학위논문.
Beaver, M.L(1983), Human Service Practice with the Elderly, Prentice-Hall.
Pollak. Otto(1984), Social Adjustment in Old Age, New York:Social Science Research
키워드
추천자료
[노인복지]사회복지전달체계 개요, 노인의 일반적 특성, 노인복지사업의 개념, 노인복지사업...
[노인복지][노인문제][노인복지정책][노인복지제도]노인복지의 배경, 고령화사회와 노인, 노...
[노인복지][노인복지정책][노인복지서비스]인구분포의 변화, 노인복지의 발전과정, 노인복지...
고령화 사회에 대비한 노인복지정책의 방향
고령화 시대의 노인보건.복지정책
[노인복지정책] 노인복지정책의 종류, 문제점 및 개선방안
[노인복지정책A+] 각 16,17,18대 대선 노인복지 정책 공약 분석 및 고찰
노인들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현 정부에서 추진하는 노인복지 정책들은 무엇이 있는지 알아...
[노인복지정책] 현 노인복지정책 중 1가지를 설정하여, 정책의 문제점을 2~3가지 정도 기술...
2017년 달라지는 노인복지정책에 대해 조사하고 분석하시오.
현정부의 노인복지정책에 대해 논하시오.
노인복지론 공통:) 베이비 붐 세대의 노후준비에 대해 인터뷰하고/한국 노인복지 정책의 방향...
한국사회의 노인복지정책 [고령화 사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