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략적 계획수립 사례 분석 - SK텔레콤(SK Telecom) & KT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전략적 계획수립 사례 분석 - SK텔레콤(SK Telecom) & KT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주제선정동기..............................P1
2. 기업소개
 (1) SK텔레콤.............................P1
 (2) KTF.....................................P3

Ⅱ. 본론
1. 기업의 환경분석..........................P4
2. SWOT분석.................................P10
3. 기업의 전략수립........................P12

Ⅲ. 결론
1. 성과분석....................................P17
2. 방향제시....................................P18
3. 전 망.........................................P19

* 참고문헌................................................P21

본문내용

엄청난 경제성을 가진 황금시장으로 발전하면서 KTF 역시 이 사업에 뛰어들었다. 이 과정에서 SK Telecom와 KTF는 선점업체와 후발업체라는 시장에서의 역할 차이 때문에 당연히 마케팅 전략에서 차이점을 나타내었다.
SK Telecom의 경우, 선점 업체로서, 고객 확보와 안정적 수입의 유리함을 누릴 수 있었다. 매출액 24,010억원의 업계 1위라는 이미지를 이용하여 자사를 이용하는 고객들에게 자부심을 심어주고, 광고 전략에서도 안정적이고 앞서가는 브랜드라는 경향을 띠고 있다.
그러나 KTF와 같은 경쟁사들이 시장에 뛰어들면서, 그들과 경쟁하여 더 많은 고객을 확보하고 현재의 우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또 다른 시장을 개척하는 것이 필수적이었고, 그 결과 예전에는 관심을 가지지 않았던 시장을 발견하고 다양한 시장세분화를 통해 타켓을 정하고 전략을 수립하게 되었다.
SK Telecom는 기성의 이미지를 타파하고 개선하기 위해서 젊은 고객을 타겟으로 하는 전략 세분화(TTL)를 시도하게 되었고 그 결과는 적중하였다. 그리고 한국을 대표하는 종합정보통신 기업으로 위상을 확립한 SK Telecom은 중국을 비롯한 아시아 전역으로 그 무대를 넓혀가고 있다. 세계 최초 CDMA(코드분할 다중접속)의 상용화에 이어, 전세계 이동전화가입자의 4분의 1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한중일 시장을 단일 CDMA 통화권으로 묶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또한, SK Telecom은 해외 이동전화 사업의 지역적 틀에서 벗어났을 뿐 아니라 사업영역에 있어서도 IT 및 인터넷 분야로의 다각적인 신규사업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SK의 경쟁업사인 KTF의 시장진입 초기에는 후발업체로서 겪는 불리함과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SK Telecom과 차별화된 전략으로 시장점유에 노력하였다. 먼저, 초기 단계에서는 선점업체의 성공적인 모델을 모방하여, 안정적 수익을 위한 기본 점유율을 확보하면서 점차 차별화된 아이템을 가지고 구체적이고 공격적인 마케팅을 시도하였다. 선택할 수 있는 다양하고 차별화된 요금제도, 패션이나 모델들에서 상대적 우위를 가진 단말기 종류와 같은 차별화된 전략들을 고객들에게 어필한 것이다. 고객들에게“선점업체보다 좋은 점이 더 많다”라는 인식과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기 위한 노력을 하는 것이다.
KTF는 2003년 7월 ‘굿타임 경영’을 선포한 이래 본원적인 서비스 경쟁력 강화를 위해 통화품질, 고객응대서비스, 단말기 등의 영역에서 끊임없이 고객 지향적으로 혁신적인 활동을 전개해온 결과 KTF는 한 차원 upgrade 된 서비스 경쟁력을 갖추었다. 앞으로도 고객에게 최고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굿타임 서비스를 지속 발전시키겠다.
또 무선데이터 서비스 성장력 확대 추진하여 magic n, Multipack, FIMM 등 멀티미디어 서비스들을 지속적으로 발전시키고, K.merce, K.bank, K,ways 등 컨버전스 서비스 확대를 통해 고객에게 제공하는 서비스의 가치를 극대화 하기위해 무선 데이터 서비스의 성장력을 확대 추진해 나가고 있다.
타산업과의 제휴 역량 및 KT그룹 시너지 강화하고 있다. 즉 이미 런칭된 네스팟 스윙을 시작으로 휴대인터넷, 원폰 및 DMB 등의 신규서비스 영역에서 KT그룹 내 시너지를 극대화할 수 있는 모든 방안을 적극적 검토 및 추진하고 있다. 이런 다양화된 경영으로 인하여 KTF는 연간14,410억원이라는 매출액을 달성하며 SK텔레콤을 따라가고 있다.
2. 방향제시
KTF와 SKT는 경쟁이 가속되다보니 정부 보조금보다 더 많은 비용을 마케팅에 투자하였고 초기투자에서 손해를 감수하는 공격적인 자세를 보였다. 하지만 너무 마케팅부분에 치중한 결과 마케팅 비용으로만 두 회사가 7천억 원에 이르는 돈을 지출하게 되는 결과를 보여주었으며, 이런 점은 두 회사가 앞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중 하나라고 생각한다.
두 회사는 단말기 보급에 있어서 신형모델의 개발도 중요하지만 중고폰을 は는 외국의 수요는 점차 증가하는 추세로 보아 중고단말기를 아이템으로 하여 외국시장을 개척한다면 가능성이 있어 보인다.
3. 전 망
이동통신 시장의 초기에는 대부분의 기업은 사업적으로 대 성공을 거두었다. 그 이유는 휴대폰이 처음 출시 되었을때에는 그것이 희소했고, 사람들의 구매 욕구를 불러일으켜 너도나도 하며 구입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지금은 이동통신의 한국 시장은 포화 상태이다. 인구 4500만중에 3300만대 정도의 단말기가 보급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신규 시장의 폭은 그리 많지 않을 거라 보인다. 다만 기능이 업그레이드된 제품들의 수요가 있으므로 교체 수요는 꾸준히 있을거라 예상된다. 그렇지만 이 또한 역시 시장을 선점한 메이저 브랜드만이 시장을 주도할 것이다.
<참고문헌>
- 책 총 2권
『SK텔레콤을 바로 알자』 열린책들
『생활속의 경영학』신영사
- 신문기사 총 5개
디지털 타임즈 2003-10-2,
세티즌 2004-2-9,
중앙일보 2004-5-3
연합뉴스 2003-12-1
국민일보 2004-2-2
- 웹
네이버 블로그 총 4건 *http://cafe.naver.com/comsnake/80001493601
*http://blog.naver.com/cygo/113
‘시장점유율로 본 이동전화 변천사’
*http://cfae.naver.com/ssmarketing/346
*http://blog.naver.com/carmel03/20006705306
홈페이지 총 9개 *http://news.naver.com/news/read.phpmode
*http://biz.ewha.ac.kr/bghong/hompage/ktf/top3-3.html
*http://cosmictelecom.com/technote
*010웹 페이지 http://www.010.com
* KTF 드라마 홈페이지 http://www.dramaclub.com
*정보통신부 홈페이지 http://www.mic.go.kr
*야후 경영지식 카테고리
<고객 만족 경영사례> - KTF 휴넷 저.
* SKT홈페이지
* KTF홈페이지
- 논문
<유무선 통신사업자의 SWOT분석 연구> 국민대학교 최흥식님 논문
  • 가격2,400
  • 페이지수21페이지
  • 등록일2013.09.29
  • 저작시기2013.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8333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