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가집 김치의 일본진출 사례분석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종가집 김치의 일본진출 사례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1) 두산종가집 김치의 탄생
 (2) 일본진출 개요
2. 환경분석
 (1) 시장분석
 (2) 고객분석
 (3) 제품분석
 (4) 경쟁자분석
 (5) SWOT분석
 (6) STP분석
3. 현지 마케팅전략
 (1) 제품전략
 (2) 유통전략
4. 향후과제
5. 광고시안
<참고문헌>

본문내용

, 사이즈 조정
전직원의 건강진단서와 현장답사 요구 등 까다로운 요구조건 통과
- 선적을 앞두고 포장지 폭발 사고 발생 →2만팩 전략 폐기
- 새로운 가스흡수체 개발시도 (수산화칼륨 선택)
- 1996년 미니컵 개발 후 롯데물산과 연 1000만개 계약 (세븐일레븐 진출)
- 맛에대한 불만이 계속되자 일본회사를 찾아가 맛의 비결을 연구 (다시마, 가랭어포 등
의 해산물 사용)
- ‘아루아루 대사전’이라는 프로그램에서 소개되면서 김치의 유행이 시작됨
- 매상이 3배로 급등
- ‘이물질 투입사건’ 발생 → 엄격한 공정관리 시작
- 2004년 현재 7367톤 수출, 2500만달러의 매출을 거둠
2. 환경분석
(1) 시장분석
1) 시장규모 및 성장성 참고자료 1~6 참조.
김치를 건강 및 스테미너 식품으로 인식
1994년부터 한국산 김치에 대한 소비 붐이 일어남
절임류 소비감소가 김치소비로 일부 전환되는 등 일본의 김치시장 규모 계속 확대
- 최근 일본의 전통적인 김치인 겉절이 형태의 아사즈케는 생산량이 감소하는 대신 한
국식 김치의 생산량이 계속 증가
수입량과 수입금액은 1999년까지 매년 증가세를 보이다 2000, 20001년은 다소정체상태
에 있음
수입량은 정체인데 비해 수입금액은 수입단가 인하추세로 인해 감소세
일본은 상품분류상 김치를 기타채소 및 야채혼합물로 구분하기 때문에 정확한 수입량
을 확인하기 어렵지만 한국으로부터 수입이 대부분이며 중국산의 수입이 저가를 무기
로 계속증가하고 있는 추세
2) 유통현황
가. 유통경로 및 비율
□ 일본산 김치의 유통경로
① 생산업체→절임 전문도매점→소매점→소비자 (점유율: 55~60%)
② 생산업체→슈퍼마켓→ 소비자(점유율: 15~20%)
③ 생산업체→외식업체등(점유율: 20~30%)
□ 한국산 김치의 유통경로
① 수출처→총대리점→특약점(도매상)→양판점,소매점(소매상)→소비자
② 수출처→총대리점→소비자 
③ 수출처→대형슈퍼→소비자
④ 수출처→수입상→도매상→소매상→소비자
※ 두산의 경우 ‘마루큐’ 수입상을 통한 판매
나. 유통실태
(1) 개황
일반 소매점포에서의 한국산과 일본산을 함께 취급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으며 일본식 마일드 김치와 젓갈을 함유한 한국산 또는 한국풍 김치로 양극화하여 판매하는 형태가 일반적임.
최근에는 일본산 김치에도 오징어젓 또는 새우젓을 첨가한 한국풍 김치제품이 두드러지게 늘고 있음. 이온(자스코), 다이에 등이 중국산 김치를 메인으로 하여 양판체제를 갖춤으로써 가격하락을 주도하고 있으며 미야마, 아이카, 코쇼 등의 일본 절임업체가 중국에 현지공장을 설립, 완제품 형태로 수입 유통함으로써 대형슈퍼의 양판체제를 뒷받침하고 있음.
‘90년대 일본식 마일드 김치 생산 중심에서 최근 들어서는 김치찌개 등 소비자들의 김치 이용폭 확대 및 한국풍 김치선호 경향에 맞춰 젓갈류를 첨가한 한국풍 김치의 생산이 증가추세에 있으며 가격경쟁에 대응하기 위하여 중국산 원료수입 및 중국 현지생산 기업들이 늘고 있음.
(2) 고객분석 (참고자료 7) 참조
한국관을 방문한 일본인들은 「본고장 김치다」를 연발하며 한국산 김치에 대해 큰
호응을 보이고, 김치를 이용한 요리에도 많은 관심을 나타냄. 일본인의 식생활에서 한국
김치는 좋은 식재료로 인식되고 일본음식처럼 자연스럽게 소비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
됨.
일본인들은 예전과 달리 한국산 김치면 무조건 선호하는 것이 아니라 설문 조사시 응
답자들은 맛있는 한국산 김치, 한국에서 먹는 그대로의 김치를 먹고 싶어하는 사람이
의외로 많았음.
동경과 같은 대도시에 거주하는 일본인은 한국산 김치를 가까운 슈퍼마켓 등에서 손쉽
게 구입할 수 있으며, 김치 구매 시 김치의 맛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음.
한국산 김치 구매시 한국산임을 판단하는 기준으로 50%정도에 가까운 사람들이 포장
에 한국어로 표기되어 있는 것을 보고 한국산으로 인식하고 구입하는 경우가 많음.
- 한국산 김치만의 마크(캐릭터)를 적극 도입하여 일본식품회사가 만든 한국풍 김치와 구별할 필요가 있음
한국 김치 광고는 응답자의 50.5% 정도가 광고를 본 경험이 있으며, 일반잡지에서 김
치 광고를 본 경우가 가장 많았음.
- 주고객층인 30-60대 연령의 응답자들은 특히, 일반잡지에서 김치광고를 본 경우가 높 았음.
(3)제품분석
1) 두산 ‘종가집 김치’의 차별화된 특징
종가집 김치가 타사 제품과 차별화 되는 특징은 KS 마크 획득, 한국 전통 식품 인증 및 일류화 선정, 국제 공식대회에서 공식 상품으로 지정되는 등 인정받는 뛰어난 제품력과 강력한 Brand Equity를 들 수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종가집 김치의 첫 번째 특징은 냉장제품(Cold Chain System)으로서 우수한 품질 균일성을 유지하는데 있는데, 종가집에서는 100% 국산 농산물만을 사용하며, 김치의 주재료인 배추에서부터 고춧가루, 마늘 , 젓갈 등 하나 하나의 원재료에 대한 철저한 관리를 통해 우수한 원재료 확보에 최우선을 두고 있다. 이러한 우수한 원재료에 소금은 안면도의 천일염을 사용하며 물 또한 청정지역 내 생산입지로 청정수만을 사용하여 우수한 품질 확보에 주력하고 있다.
두 번째는 절임기술이다. 배추는 품종도 아주 다양하며 계절마다 배추의 당도, 수분 등의 차이가 아주 크다. 이 품질의 차이를 없애주고 항상 균일한 맛을 내기 위해서, 또 이상적인 발효를 진행시키는 요인인 절임기술의 노하우를 확보하고 있다.
세번째로는 국내 Maket Leader로서 상품 개발력 및 기술적 우위를 바탕으로 한 전통김치의 과학적, 위생적 상품화이다. 세계최초, 최대의 김치 연구소 설립, 세계최대의 김치공장(횡성/거창)설립 등을 토대로 한 제품개발은 타사의 추종을 불허한다.
또한 최초로 유산균 연구를 통한 기능성 신상품에 대한 연구를 강화하여 암웨이 전용 제품인 “항(港) 헬리코박터 유산균강화 김치”, 현대홈쇼핑의 GABA가 함유된 “현대특선 종가집<기술 및 특허 보유 현황>
1988 - 김치의 진공포장 방법 개발
1989 - 및폐성 포장 용기내의 기체 제거 방법 : 가스 흡수제
1991 - 김치 KS 표시 허가 획득
1992 - 고
  • 가격2,400
  • 페이지수20페이지
  • 등록일2013.09.29
  • 저작시기2013.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8333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