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복지의 발달과정 ( 시대별, 국가별, 각국의 아동복지제도 특징 비교)아동복지 양육방식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아동복지의 발달과정 ( 시대별, 국가별, 각국의 아동복지제도 특징 비교)아동복지 양육방식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시대별 발달과정

1. 고대사회
2. 중세사회
3. 근대사회
4. 현대사회


Ⅱ. 국가별 발달과정

1.영국
2. 미국의 아동복지
3. 스웨덴의 아동복지
 4. 일본의 아동복지
5. 우리나라의 아동복지 발달과정
6. 각국의 아동복지제도의 특징비교

◎아동복지 양육방식

본문내용

1) 아동은 종족 보존의 수단, 인격적 존재가 아님
2) 풍속, 미신 등에 의해 희생, 성적관계로 인한 귀찮은 존재
→영아살해, 매매, 포팅(Potting)
3) 아마존 강 유역의 인디언- 아기를 강물에 넣어 보아 건강한 아이만을 꺼내 키움
2. 중세사회
1) 중세의 보편적인 양육형태 - 갈등형 또는 양면형(ambivalent)
① 신분에 따라 아동이 존중됨
② 장원을 위한 군사력, 경제력 확보를 위한 존재
③ 과거의 영아살해 관습의 잔재, 기독교의 인권존중
2) 아동복지이념의 시발점, 진정한 아동복지사업은 無
3. 근대사회
1) 구빈법(Elizabethan poor law) 1601년 제정
→ 빈곤자, 요보호 아동에 대한 규정- 아동복지의 효시.
2) 코메니우스(Comenius), 루소(Rousseau), 페스탈로찌(Pestalozzi)
진정한 아동관은 존재하지 않음
3) 혼합수용 위주의 보호→ 아동을 성인이나 특수아동과 분류하는 아동중심 시설
4) 산업혁명으로 인한 아동의 노동착취문제
4. 현대사회
1) 프로이드(Freud), 에릭슨(Erikson), 피아제(Piaget) 등의 아동연구
2) 아동은 고유한 인격체, 독자적 존재, 가능성의 존재.
3) 1959년 국제연합의 ‘아동권리선언’→ 권리로서의 아동복지가 아동복지의 이념
4) 아동복지의 개입형태도 다양성과 전문성이 강화.
<표-1> 아동복지 서비스의 발전
집단적 수용보호
―――→
소규모의 수용보호
시설보호중심
―――→
재가보호로 확대
가정보호중심
―――→
지역사회에 의한 보호의 강조
단순수용보호
―――→
분화된 다양한 서비스
비전문적 서비스
―――→
전문적 서비스



Ⅱ. 국가별 발달과정
1.영국
구빈법(1601)
아동보호의 원칙 설정


산업혁명
노동자 속출/빈곤가정 및 결손가정 아동 증가


구빈법의 개정(1834)
지역학교/육아원 설립,
맹아와 농아를 교육하기 위한 특수학교 설립
어린 노동자를 착취로부터 보호
→ 9세 이하 아동의 노동 금지
13세 이하 소년의 노동시간 주 48시간 이내로 제한
미국과 유럽에 전파


산업혁명 가속화
가정에서의 자녀 양육 기능 약화/방임상태


일요학교 설립보급(1780)
공교육의 기틀 마련


아동학대방지협회(1884)



아동학대방지법(1889)



급식법(1906)
초등학교의 빈곤아동에게 무료 급식


교육법(1907)
의무교육


커티스 위원회(1945)
아동의 실태 파악/문제점 개선
정상적으로 가정생활을 영위할 수 없는 아동에 대한 대책
① 분산된 아동관련 복지행정 체제를 집중
② 아동 개개인의 욕구를 중시
③ 가정을 존중


가족수당법(1945)
한 가정에 자녀가 둘 이상으로 16세 미만의 아동에게 1인당 매 주 수당 지급(부모의 경제적사회적 지위 관계없음)


아동법(1948)
지역사회와 공공단체가 부모의 역할을 담당해야 한다
→ 대상: 고아 / 유기아동 / 부모와 떨어져 사는 아동
/ 아동 부양능력이 없는 부모의 자녀
근본적이고 이념적인 아동복지 정책의 특색 구축
: 사회보장제도에 의한 가족강화


영국의 아동복지의 기본방향
가정붕괴의 방지와 아동의 가정적인 분위기 속에서의 보호

2. 미국의 아동복지
1) 미국의 사회적 특징
① 청교도 윤리: 노동을 미덕으로 여기고 나태는 죄로 여김
→ 빈곤의 책임이 개인의 책임 / 구빈법은 벌칙적인 성격
② 연방제도: 중앙집권제가 아니라 주(州)의 권한이 크며 기본적인 법률도 주법(州法)
→ 아동관련 복지를 포함한 모든 사회복지가 주를 단위로 독자적 발전
2) 아동복지의 발달과정

양육원(1727)
아동복지 사업은 종교단체에 의해 설립발전
우슬린(Ursuline) 수도원이 설립
인디언에 부모가 살해당한 고아 대상
영속적 보호시설(1740)
베데스타 고아원
뉴욕아동구제협회(1853)
가정적인 보호방법 모색 ← 시설에 의한 보호가 아동의 건전한 발달에 도움주지 못한다는 생각
취지: 빈곤가정 보호 → 위탁사업
아동가정협회(1866)
오하이오 주 중심
빈곤가정의 아동 보호 운동
주립 아동구빈원
메사추세츠 주(1866)
미시건 주(1873)
⇒ 공적으로 보호감독하여 가정에 복귀시킴
아동보호법(1895)
14세 이하의 아동은 근로시킬 수 없다
야간 작업금지 및 노동시간의 제한 규정
학교에 출석하도록 배려
제 1 차 백악관 회의(1909)
아동을 위한 부모 역할의 중요성과 가정생활의 중요성
원리
① 가난하다는 이유 때문에 아동이 가정으로부터 이탈되어서는 안된다.
② 가정을 떠나야만 될 충분한 이유가 있을 경우에는 차선책으로 잘 선정된 위탁가정이 바람직하다.
③ 필요에 의해 시설을 이용할 경우 소숙사제도가 좋으며 아동의 의존성이 나타나지 않도록 해야 한다.
모성연금제(1911)
미주리 주 시초 → 1919년에는 39개 주에서 제정
적절히 양육될 수 없는 경우/빈곤한 가정의 아동에게 가정에 머무르게 하면서 보호하기 위해 소정의 양육비 지원
사회보장법(1935)에 의해 공적부조의 형태로 발전
→ 아동복지사업의 체계가 전국적으로 정비확립
제 2 차 백악관 회의(1920)
아동문제 전담기구인 아동국(Children\'s Bureau) 설립
→ 아동복지, 아동문제, 아동발달, 아동노동, 비행 등 연구
제 3 차 백악관 회의(1930)
19개 조의 아동헌장 채택발표
① 전인적 아동관 ② 아동의 인격존중 ③ 가정과 아동의 불가분성 ④ 아동복지기관의 중앙과 지방에의 설치 ⑤ 아동전문 워커의 도입
→ 아동복지의 체계적 전문화
연방 위기 구호청(1933)
근로청(1933)
연방정부가 아동문제에 관여
→ 보육프로그램에 공적재정 지원
비상대책 유아원 및 보육시설 설립 → 국고금 지원
제 4 차 백악관 회의(1940)
민주주의의 발전과 국력의 신장은 아동의 발달과 깊은 관계
제 5 차 백악관 회의(1950)
연방 지역별로 여러 분야에서 다양한 대표들이 참여
→ 시민운동으로 전개

3. 스웨덴의 아동복지
11~12세기
봉건제도 성립
13세기
봉건제도 붕괴
(←내란, 페스트, 농촌인구의 격감, 重稅, 賦役)

빈민문제 대두
구빈법(1853)
체계적인 구빈제도 성립
구빈에 대한 국가의 책임과 구빈단위

추천자료

  • 가격3,300
  • 페이지수22페이지
  • 등록일2013.09.29
  • 저작시기2013.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8340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