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서론
1. 호텔의 외식산업 진출이유 분석
본론
1. 외부 외식산업업체의 특징
2. 각 호텔진출 현황 (성공사례와 실패사례)
3. 호텔 신라, 조선, 워커힐
4. 그 외의 호텔들
결론
1. 활성화방안
2. 우리 나름대로의 방안
서론
1. 호텔의 외식산업 진출이유 분석
본론
1. 외부 외식산업업체의 특징
2. 각 호텔진출 현황 (성공사례와 실패사례)
3. 호텔 신라, 조선, 워커힐
4. 그 외의 호텔들
결론
1. 활성화방안
2. 우리 나름대로의 방안
본문내용
시작으로 최근 삼성 홈플러스에 오픈한 복합레스토랑 “프라도“가 있다.
☞ 조선호텔
조선호텔이 운영하는 코엑스몰의 푸드코트.
③ 베이커리
저가의 전략으로 대중에게 쉽게 다가갈 수 있으며 코스트가 낮고 인건비 많이 들지 않아 이익이 많이 남기때문에 호텔에서도 수익을 위해 적극 장려하는 업태이다. 대표적으로 조선호텔의 베이커리 사업부가 있으며 현대호텔의 베이커리도 현대백화점을 중심으로 입점해있다. 비교적 투자에 부담이 없는 베이커리는 그만큼 시장을 빨리 키울 수 있는 장점이 있다.
☞ 조선호텔
경영주의 적극적인 장려에 의해 처음에 하나였던 사업부의 규모가 커지자 외식사업부와 베이커리 사업부로 분리했다. 베이커리 사업부는 현재 이마트에 입점해있는 32개의 “데이&데이”와 신세계백화점에 입점한 2개의 “달로와요” 등을 운영하고 있고 스타벅스 커피전문점에 케익과 디저트를 공급하고 있다. 또 조선호텔은 베이커리 사업부에서 달로와요를 백화점에 입점시켰는데 현재 광주신세계와 신세계 본점에서 운영중이다.
④ 백화점
백화점은 우선 유동고객이 어느정도 보장되기 때문에 고객이 한정된 호텔(특히 지방호텔)과 달리 매출에 있어 안정적이다. 관계자는 백화점측도 식당가의 경쟁식당들이 호텔외식업장의 영향을 받아 서비스 수준이 높아진다며 동반 이미지상승효과를 볼 수 있다고 전한다. 대체로 이런 백화점 입점은 호텔보다는 백화점 측의 적극적인 요청에 의해 이뤄지는 경우가 많다.
☞ 최초로 외부외식사업을 펼쳤던 프라자호텔은 지금까지도 업장들을 꾸준히 운영해오고 있으며 갤러리아 명품관에 지스텀이라는 커피숍을 열었고 한화빌딩 지하에 헬로우 미스터브라운이라는 커피전문점을 오픈했다. 호텔 현대는 현대백화점의 식당가에 “홍보석”과 ”홍매”를 오픈하고 있다. 신세계백화점에 입점해있는 인 더 키친(In The kitchen ; 구 CD1)도 이와 같은 예다. 조선호텔의 호텔사업부에서 운영하고 있는 인 더 키친은 테이크아웃 전문브랜드로 호텔의 외부외식사업이 이제 백화점까지 확대됐음을 보여주는 단적인 예다
2-2. 실패사례/원인
① 정보부족과 고객성향 분석 불충분
시장의 흐름을 읽어내지 못하고 근시안적인 계획을 수립하여 실패를 하였다. 불경기와 고속철도 개통등의 전반적인 사회에 대한 현상을 읽어 정보를 수집하는 능력이 부족하였고 고객이 필요로 하지 않는 서비스를 제공하여 도태되는 경우도 있었다.
☞국내 가장 먼저 외식업에 뛰어든 서울 프라자 호텔은 지난 83년 6월에 열차식당 운영에도 참여해 새마을호 백 6대, 무궁화호 14대를 추가로 운영하였다. 하지만 적자폭이 누적되면서 여의도의 고도부키, 부산역점의 양식당 그릴 등 일부 매장을 폐점하거나 중단했다. 최근에는 고속열차의 등장으로 열차식당 사업에서도 철수할 예정이다. 쉐라톤 워커힐은 안산에 숯불갈비 전문점 명월관과 피자전문점인 피자힐을 오픈 했지만 중도 포기하였다.
② 불경기로 인한 경영악화
불경기로 인하여 입점해있던 백화점이나, 연계되어 있던 회사가 부도가 나거나 망해 어쩔 수 없이 실패한 사례이다.
☞서울역 벽산빌딩 사옥과 상계동의 롯데백화점(당시 미도파 백화점) 안에 중식당 왕후를 개점한 홀리데이인 서울은 오픈 한지 약 6년 만에 사업을 철수한 경험이 있다. 특히 상계동 왕후점은 당시 미도파 백화점의 도산으로 울며 겨자 먹기로 중도 포기해야만 했다.
③ 고객기대치에 대한 불만족.
매장을 방문하는 고객들은 호텔이 운영한다는 것에 상당한 기대를 가지고 있어 기대치에 부응하는 것이 부담으로 작용한다. 고객이 좋은 질을 원하면 인건비나 재료비의 상승을 가져오기 때문에 코스트가 상승하고 이것은 EH다시 불만족을 불런낸다. 가격을 낮추면 이번엔 서비스의 질이 문제가 되기 때문에 현재 가장 주목받고 있는 실패 원인이다.
3. 호텔 신라, 조선, 워커힐
외식산업체들을 대표적 호텔 신라, 조선, 워커힐을 대표적으로 소개해 보겠다.
3-1. 호텔 신라 외식산업체
TOP CLOUD
특징: 퓨전요리 전문점. 최고의 주방장들이 별미요리를 준비하며, 최첨단 인테리어에 대형 멀티비전과 아늑하고 편안하며 다양한 고객 서비스. 위치도 경관이 수려한 곳에 위 치.
가격대: 고가
주타겟층: 부유층 고객들.
중식당 “도리”
특징: 광동식 요리가 주를 이루고, 사천요리가 가미되어 있으며, 중요한 손님을 접대하기 위한 자리뿐만 아니라, 상견례나 회갑연등 가족 모임을 갖기에도 손색이 없음.
가격대: 중간
주타겟층: 비즈니스맨, 가족모임
일 식당 “미야꼬”
특징: 관서식 정통 일본요리와 사시미, 스시 등의 요리를 제공
가격대: 고가
주타겟층: 비즈니스맨, 각종 모임
양식당 “켁터스”
특징: 캘리포니아 Bar & Grill 스타일의 영업장.
가격대: 중간
주타겟층: 각종모임, 젊은층, 노년층.
한식당 “성원”
특징: 전통 한국 탕요리
가격대: 고가
주타겟층: 부유층, 노년층
중식당 “태평로”
특징: 사천식과 중국 정통 궁중요리인 북경식을 제공하며 고객의 기호에 맞는 서비스와 정성 어린 요리로 Down Town내 최고 업장으로 정,재,관계의 비지니의 중심
가격대: 고가~중간
주타겟층: 비즈니스고객
프레스센터
특징: 다양한 연회실이 준비되어 있는 국내,외 귀빈 접대 와 소중한 모임을 위한 명소.
편리한 대중교통(지하철1,2,5호선)과 연결되어 있 으며, 프레스 센터 19,20층에서 바라보는 시내 전 경과 고궁의 수려함은 프레스클럽 레스토랑이 자랑 하는 점. 양식, 중식, 한식의 다양한 요리를 제공
가격대: 고가
주타겟층: 대형 연회(출판기념회, 세미나 연결 리셉션, 동 창회, 조찬 모임 등)에서 중,소형 모임
3-2. 호텔 조선 외식산업체
비즈바즈
특징 : 캘리포니아 라이브, 차이니즈 스페셜, 코리안 익스프레스, 재패니즈 바 등의 5개의 파트로 나뉨, 고객 전용룸이 있어 연회에도 적합
가격대 : 높음
주타겟층: 비즈니스맨, 컨벤션고객,가족행사참가자
오킴스 브로이하우스
특징: 최초로 자가맥주 제조 설비 도입
주 타겟층 : 컨벤션 고객, 비즈니스맨, 일반고객
가격대: 중간
오킴스 압구정
특징 : 아일랜드의 대중적인 선술집 이미지로 아일랜드,멕시코,이탈리아 요리,주류 등의 메 뉴와 스포츠바.노래방을 통해
☞ 조선호텔
조선호텔이 운영하는 코엑스몰의 푸드코트.
③ 베이커리
저가의 전략으로 대중에게 쉽게 다가갈 수 있으며 코스트가 낮고 인건비 많이 들지 않아 이익이 많이 남기때문에 호텔에서도 수익을 위해 적극 장려하는 업태이다. 대표적으로 조선호텔의 베이커리 사업부가 있으며 현대호텔의 베이커리도 현대백화점을 중심으로 입점해있다. 비교적 투자에 부담이 없는 베이커리는 그만큼 시장을 빨리 키울 수 있는 장점이 있다.
☞ 조선호텔
경영주의 적극적인 장려에 의해 처음에 하나였던 사업부의 규모가 커지자 외식사업부와 베이커리 사업부로 분리했다. 베이커리 사업부는 현재 이마트에 입점해있는 32개의 “데이&데이”와 신세계백화점에 입점한 2개의 “달로와요” 등을 운영하고 있고 스타벅스 커피전문점에 케익과 디저트를 공급하고 있다. 또 조선호텔은 베이커리 사업부에서 달로와요를 백화점에 입점시켰는데 현재 광주신세계와 신세계 본점에서 운영중이다.
④ 백화점
백화점은 우선 유동고객이 어느정도 보장되기 때문에 고객이 한정된 호텔(특히 지방호텔)과 달리 매출에 있어 안정적이다. 관계자는 백화점측도 식당가의 경쟁식당들이 호텔외식업장의 영향을 받아 서비스 수준이 높아진다며 동반 이미지상승효과를 볼 수 있다고 전한다. 대체로 이런 백화점 입점은 호텔보다는 백화점 측의 적극적인 요청에 의해 이뤄지는 경우가 많다.
☞ 최초로 외부외식사업을 펼쳤던 프라자호텔은 지금까지도 업장들을 꾸준히 운영해오고 있으며 갤러리아 명품관에 지스텀이라는 커피숍을 열었고 한화빌딩 지하에 헬로우 미스터브라운이라는 커피전문점을 오픈했다. 호텔 현대는 현대백화점의 식당가에 “홍보석”과 ”홍매”를 오픈하고 있다. 신세계백화점에 입점해있는 인 더 키친(In The kitchen ; 구 CD1)도 이와 같은 예다. 조선호텔의 호텔사업부에서 운영하고 있는 인 더 키친은 테이크아웃 전문브랜드로 호텔의 외부외식사업이 이제 백화점까지 확대됐음을 보여주는 단적인 예다
2-2. 실패사례/원인
① 정보부족과 고객성향 분석 불충분
시장의 흐름을 읽어내지 못하고 근시안적인 계획을 수립하여 실패를 하였다. 불경기와 고속철도 개통등의 전반적인 사회에 대한 현상을 읽어 정보를 수집하는 능력이 부족하였고 고객이 필요로 하지 않는 서비스를 제공하여 도태되는 경우도 있었다.
☞국내 가장 먼저 외식업에 뛰어든 서울 프라자 호텔은 지난 83년 6월에 열차식당 운영에도 참여해 새마을호 백 6대, 무궁화호 14대를 추가로 운영하였다. 하지만 적자폭이 누적되면서 여의도의 고도부키, 부산역점의 양식당 그릴 등 일부 매장을 폐점하거나 중단했다. 최근에는 고속열차의 등장으로 열차식당 사업에서도 철수할 예정이다. 쉐라톤 워커힐은 안산에 숯불갈비 전문점 명월관과 피자전문점인 피자힐을 오픈 했지만 중도 포기하였다.
② 불경기로 인한 경영악화
불경기로 인하여 입점해있던 백화점이나, 연계되어 있던 회사가 부도가 나거나 망해 어쩔 수 없이 실패한 사례이다.
☞서울역 벽산빌딩 사옥과 상계동의 롯데백화점(당시 미도파 백화점) 안에 중식당 왕후를 개점한 홀리데이인 서울은 오픈 한지 약 6년 만에 사업을 철수한 경험이 있다. 특히 상계동 왕후점은 당시 미도파 백화점의 도산으로 울며 겨자 먹기로 중도 포기해야만 했다.
③ 고객기대치에 대한 불만족.
매장을 방문하는 고객들은 호텔이 운영한다는 것에 상당한 기대를 가지고 있어 기대치에 부응하는 것이 부담으로 작용한다. 고객이 좋은 질을 원하면 인건비나 재료비의 상승을 가져오기 때문에 코스트가 상승하고 이것은 EH다시 불만족을 불런낸다. 가격을 낮추면 이번엔 서비스의 질이 문제가 되기 때문에 현재 가장 주목받고 있는 실패 원인이다.
3. 호텔 신라, 조선, 워커힐
외식산업체들을 대표적 호텔 신라, 조선, 워커힐을 대표적으로 소개해 보겠다.
3-1. 호텔 신라 외식산업체
TOP CLOUD
특징: 퓨전요리 전문점. 최고의 주방장들이 별미요리를 준비하며, 최첨단 인테리어에 대형 멀티비전과 아늑하고 편안하며 다양한 고객 서비스. 위치도 경관이 수려한 곳에 위 치.
가격대: 고가
주타겟층: 부유층 고객들.
중식당 “도리”
특징: 광동식 요리가 주를 이루고, 사천요리가 가미되어 있으며, 중요한 손님을 접대하기 위한 자리뿐만 아니라, 상견례나 회갑연등 가족 모임을 갖기에도 손색이 없음.
가격대: 중간
주타겟층: 비즈니스맨, 가족모임
일 식당 “미야꼬”
특징: 관서식 정통 일본요리와 사시미, 스시 등의 요리를 제공
가격대: 고가
주타겟층: 비즈니스맨, 각종 모임
양식당 “켁터스”
특징: 캘리포니아 Bar & Grill 스타일의 영업장.
가격대: 중간
주타겟층: 각종모임, 젊은층, 노년층.
한식당 “성원”
특징: 전통 한국 탕요리
가격대: 고가
주타겟층: 부유층, 노년층
중식당 “태평로”
특징: 사천식과 중국 정통 궁중요리인 북경식을 제공하며 고객의 기호에 맞는 서비스와 정성 어린 요리로 Down Town내 최고 업장으로 정,재,관계의 비지니의 중심
가격대: 고가~중간
주타겟층: 비즈니스고객
프레스센터
특징: 다양한 연회실이 준비되어 있는 국내,외 귀빈 접대 와 소중한 모임을 위한 명소.
편리한 대중교통(지하철1,2,5호선)과 연결되어 있 으며, 프레스 센터 19,20층에서 바라보는 시내 전 경과 고궁의 수려함은 프레스클럽 레스토랑이 자랑 하는 점. 양식, 중식, 한식의 다양한 요리를 제공
가격대: 고가
주타겟층: 대형 연회(출판기념회, 세미나 연결 리셉션, 동 창회, 조찬 모임 등)에서 중,소형 모임
3-2. 호텔 조선 외식산업체
비즈바즈
특징 : 캘리포니아 라이브, 차이니즈 스페셜, 코리안 익스프레스, 재패니즈 바 등의 5개의 파트로 나뉨, 고객 전용룸이 있어 연회에도 적합
가격대 : 높음
주타겟층: 비즈니스맨, 컨벤션고객,가족행사참가자
오킴스 브로이하우스
특징: 최초로 자가맥주 제조 설비 도입
주 타겟층 : 컨벤션 고객, 비즈니스맨, 일반고객
가격대: 중간
오킴스 압구정
특징 : 아일랜드의 대중적인 선술집 이미지로 아일랜드,멕시코,이탈리아 요리,주류 등의 메 뉴와 스포츠바.노래방을 통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