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익스피어와 성격비극 <리어왕(King Lear)을 중심으로>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세익스피어와 성격비극 <리어왕(King Lear)을 중심으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서론

Ⅱ.본론-1. 세익스피어의 비극
2. 세익스피어의 생애
3. 세익스피어의 작품세계
4. ‘리어왕’의 줄거리와 작품분석

Ⅲ.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고 글로스터 백작의 적자, 에드거는 코딜리어처럼 자신을 적대시한 아버지를 위해 헌신적으로 봉사한다. 에드거의 배다른 동생, 에드먼드는 철저한 현실주의자로 이기적 목적을 위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다.
▶ 기타인물성격
이 작품의 기타 인물로는 거너릴, 리건, 켄트, 광대가 있다. 리어왕의 두 딸, 거너릴과 리건은 물욕과 정욕을 충족시키기 위해 불효와 불륜을 일삼을 악의 화신이다. 그리고 리어왕의 충직한 신하인 켄트는 군주를 위해 헌신적으로 봉사하지만 결국은 추방당하고 만다. 항상 리어왕의 곁에서 뛰어난 말재간으로 리어왕의 과오를 꼬집어 내면서 그가 미치지 않도록 웃음을 제공하는 충직한 역할의 광대가 있다.
▶ 선인vs악인
선인: 코딜리어, 에드거, 켄트, 광대
악인: 거너릴, 리건, 에드먼드, 콘월, 오스왈드
중립: 올버니, 글로스터
⇒ 악의 집단에서 가장 경멸한 만한 인물은 오스왈드이며 거너릴과 리건은 수동적인 여성의 역할을 거부하고 남성적인 침략자가 되어 남성과 겨루어 이기고자 하는 열망을 갖고 있다. 콘월은 리건에게 알맞은 비겁한 남편이었다. 에드먼드는 ‘악인’의 대표적 인물이다. 용기와 왕권을 소유하려는 야망을 갖고 있다. 그는 자신의 야망을 이루기 위해서 혈육도 과감히 끊고서, 형을 배신하고 아버지의 눈마저 뽑아버릴 수 있는 잔인한 성격의 소유자다.
선의 집단에서 가장 주목할 만한 인물은 코딜리어이다. 그녀는 왕의 분노를 사 지참금 없이 프랑스 왕에게 시집간 후에도 리어왕에 대한 일관된 사랑을 보인다. 비록 내면의 사랑을 진실되게 말로 표현하지 못해서 리어왕의 분노를 샀지만 리어왕의 세 딸 중 가장 진실된 사랑을 보인다. 글로스터 가의 장남인 에드거는 매우 솔직하고, 어떻게 보면 순진하다고까지 할 만큼 동생의 계략에 쉽게 넘어간다. 나중에 동생의 계략을 안 뒤에는 목숨을 걸고 에드먼드에게 결투를 신청하는 용감한 모습도 보인다. 켄트는 리어왕의 가장 충직한 신하로 왕이 ‘추방령’을 내려 국내에 있으면 목숨이 위태로운 상황에서도 신분을 숨기고 마지막까지 왕의 곁을 따른다. 광대는 리어왕 곁에서 조롱 및 비유를 통한 조언을 하면서 왕이 비참한 처지로 전락한 뒤에도 왕을 따르는 모습을 보여준다. 선한 인물들의 공통적인 모습은 어렵고 힘든 상황에서도 일관되게 어려운 처지의 왕을 따르는 모습이다.
▶ 코딜리어의 대답 “nothing..”
리어왕: 너와 너의 자손에게는 이 아름다운 왕국의, 이 광대한 3분의 1을 주겠다. 넓이에 있어서나, 가치에 있어서나, 또 그 즐거움에 있어서나, 거너릴에게 준 영지에 못지 않은 것이다. 자, 이번엔 나의 사랑하는 코딜리어, 큰딸들과 조금도 다름이 없이 내게 기쁨을 주는 막내딸, 너는 뭐라고 말하겠느냐? 언니들 것보다 훨씬 풍부한 3분의 1을 맞히기 위해서? 자, 말해 봐라.
코딜리어: 아무것도 없습니다, 아버님.
리어왕: 아무것도 없다고?
코딜리어: 아무것도 없습니다.
리어왕: 무에서 생기는 건 무뿐이니, 다시 한번 말해 봐라.
코딜리어: 슬프게도 저는 저의 마음을 입에 올려 말할 줄 모릅니다. 저는 아버님을 자식 된 도리에 의해서 사랑하올 뿐이지 그 이상도, 그 이하도 아니옵니다. .이덕수, 『비극적 갈등양식과 세익스피어 비극』, 형설출판사, 1992년 3월 25일 발행
p.41
⇒ 우리 조에서는 리어왕 스스로가 자신뿐 만아니라 코딜리어, 켄트 그리고 에드거와 글로스터 백작까지 죽음과 고통으로 내몬 것은 코딜리어의 대답 “nothing\"에서부터 시작한다고 생각한다. 리어왕은 거너릴, 리건의 탐욕에 눈이 멀어 짙게 화장된 말을 듣고 믿으며 좋아했다. 그러나 그는 코딜리어의 진심어린 말에는 구박하고 멸시한다. 근데 정말 이 부분에서 궁금한 것은 코딜리어의 대답 ‘Nothing\'이다. 우리 조는 이 책을 끝까지 읽으면서 그녀의 대답 ‘Nothing\'은 말 그대로 아무 것도 아닌 것이 아니라 무한한 아버지에 대한 사랑을 뜻하는 것임을 알게 되었다. 하지만 코딜리어는 왜 아무런 표현도 하지 않은 것일까? 언니들의 탐욕스러움에 염증을 느껴 그랬다고 하기에는 너무 자신을 고통과 비극으로 내몬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리어왕은 켄트로부터 “좀 더 잘 보십시요”라는 말까지 듣게 되지만 진실을 보지 못하고 가장 자신의 곁에 두어야할 두 존재, 켄트와 코딜리어를 내치곤 만다. 결국 어리석음과 왕이라는 오만의 대가로 그가 얻은 것은 거짓 치장을 한 딸들로부터의 멸시와 고통뿐이다.
▶ 리어왕 속 어릿광대
<광대의 역할>
1. 리어왕의
  • 가격1,8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3.10.09
  • 저작시기2013.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8504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