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목차
1. 대추나무(갈매나무과) - Zizyphus jujuba var.inermis Rehder
2. 망개나무(갈매나무과) - Berchemia berchemiaefolia Koidz.
3. 감나무(감나무과) - Diospyros kaki
4. 낙상홍(감탕나무과) - Ilex serrata
5. 계수나무(계수나무과) - Cercidiphyllum japonicum
6. 금송(낙우송과) - Sciadopitys verticillata
7. 메타세콰이아(낙우송과) - Metassequoia glyptostroboides
8. 사철나무(노박덩굴과) - Euonymus japonica
9. 참빗살나무(노박덩굴과) - Euonymus sieboldiana
10. 화살나무(노박덩굴과) - Euonymus alatus
11. 느릅나무(느릅나무과) - Ulmus davidiana var. japonica
12. 느티나무(느릅나무과) - Zelkova serrata
13. 참느릅나무(느릅나무과) - Ulmus parvifolia var.
14. 꽃개오동(능소화과) - Catalpa bignonioides
15. 단풍나무(단풍나무과) - Acer palmatum
16. 복자기(단풍나무과) - Acer triflorum
17. 산단풍(단풍나무과) - Acer pseudo-sieboldianum var. inhidoyanum
18. 중국단풍(단풍나무과) - Acer buergerianum
19. 청단풍(단풍나무과) - Acer palmatum
20. 홍단풍(단풍나무과) - Acer palmatum var. sanguineum
21. 때죽나무(때죽나무과) - Styrax japonica
22. 쪽동백나무(때죽나무과) - Styrax obassia
23. 매발톱나무(매자나무과) - Berberis amurensis
24. 백목련(목련과) - Magnolia heptapeta
25. 산목련(목련과) - Magnolia sieboldii
26. 자목련(목련과) - Magnolia quinquepeta
27. 튤립나무(목련과) - Liriodendron tulipifera
28. 모감주나무(무환자나무과) - Koelreuteria paniculata
29. 물푸레나무(물푸레나무과) - Fraxinus rhynchophylla
30. 미선나무(물푸레나무과) - Albeliophyllum distichum
31. 수수꽃다리(물푸레나무과) - Syringa dilatata
32. 이팝나무(물푸레나무과) - Chionanthus retusa
33. 쥐똥나무(물푸레나무과) - Ligustrum obtusifolium
34. 모란(미나리아제비과) - Cercidiphyllum japonicum
35. 수양버들(버드나무과) - Salix babylonica
36. 양버즘나무(버즘나무과) - Platanus occidentalis
37. 고광나무(범의귀과) - Philadelphus schrenckii
38. 말발도리나무(범의귀과) - Deutzia parviflora
39. 조릿대(벼과) - SaSa borealis
40. 보리수나무(보리수나무과) - Elaeagnus umbellata
41. 배롱나무(부처꽃과) - Lagerstroemia indica
42. 구상나무(소나무과) - Abies koreana
43. 독일가문비(소나무과) - Picea abies
44. 반송(소나무과) - Pinus densiflora 'Multicaulis'
45. 섬잣나무(소나무과) - Pinus parviflora
46. 소나무(소나무과) - Pinus densiflora
47. 스트로브잣나무(소나무과) - Pinus strobus
48. 잣나무(소나무과) - Pinus koraiensis
49. 전나무(소나무과) - Abies holophylla
50. 히말라야시더-개잎갈나무(소나무과) - Cedrus deodara
2. 망개나무(갈매나무과) - Berchemia berchemiaefolia Koidz.
3. 감나무(감나무과) - Diospyros kaki
4. 낙상홍(감탕나무과) - Ilex serrata
5. 계수나무(계수나무과) - Cercidiphyllum japonicum
6. 금송(낙우송과) - Sciadopitys verticillata
7. 메타세콰이아(낙우송과) - Metassequoia glyptostroboides
8. 사철나무(노박덩굴과) - Euonymus japonica
9. 참빗살나무(노박덩굴과) - Euonymus sieboldiana
10. 화살나무(노박덩굴과) - Euonymus alatus
11. 느릅나무(느릅나무과) - Ulmus davidiana var. japonica
12. 느티나무(느릅나무과) - Zelkova serrata
13. 참느릅나무(느릅나무과) - Ulmus parvifolia var.
14. 꽃개오동(능소화과) - Catalpa bignonioides
15. 단풍나무(단풍나무과) - Acer palmatum
16. 복자기(단풍나무과) - Acer triflorum
17. 산단풍(단풍나무과) - Acer pseudo-sieboldianum var. inhidoyanum
18. 중국단풍(단풍나무과) - Acer buergerianum
19. 청단풍(단풍나무과) - Acer palmatum
20. 홍단풍(단풍나무과) - Acer palmatum var. sanguineum
21. 때죽나무(때죽나무과) - Styrax japonica
22. 쪽동백나무(때죽나무과) - Styrax obassia
23. 매발톱나무(매자나무과) - Berberis amurensis
24. 백목련(목련과) - Magnolia heptapeta
25. 산목련(목련과) - Magnolia sieboldii
26. 자목련(목련과) - Magnolia quinquepeta
27. 튤립나무(목련과) - Liriodendron tulipifera
28. 모감주나무(무환자나무과) - Koelreuteria paniculata
29. 물푸레나무(물푸레나무과) - Fraxinus rhynchophylla
30. 미선나무(물푸레나무과) - Albeliophyllum distichum
31. 수수꽃다리(물푸레나무과) - Syringa dilatata
32. 이팝나무(물푸레나무과) - Chionanthus retusa
33. 쥐똥나무(물푸레나무과) - Ligustrum obtusifolium
34. 모란(미나리아제비과) - Cercidiphyllum japonicum
35. 수양버들(버드나무과) - Salix babylonica
36. 양버즘나무(버즘나무과) - Platanus occidentalis
37. 고광나무(범의귀과) - Philadelphus schrenckii
38. 말발도리나무(범의귀과) - Deutzia parviflora
39. 조릿대(벼과) - SaSa borealis
40. 보리수나무(보리수나무과) - Elaeagnus umbellata
41. 배롱나무(부처꽃과) - Lagerstroemia indica
42. 구상나무(소나무과) - Abies koreana
43. 독일가문비(소나무과) - Picea abies
44. 반송(소나무과) - Pinus densiflora 'Multicaulis'
45. 섬잣나무(소나무과) - Pinus parviflora
46. 소나무(소나무과) - Pinus densiflora
47. 스트로브잣나무(소나무과) - Pinus strobus
48. 잣나무(소나무과) - Pinus koraiensis
49. 전나무(소나무과) - Abies holophylla
50. 히말라야시더-개잎갈나무(소나무과) - Cedrus deodara
본문내용
▶독립수로 이용되며 생장속도가 빨라 공원이나 대단위 유원지 등에 조경용으로 적합하다.
▶생울타리용, 차폐용 및 방화용으로도 이용된다.
▶O3와 SO2 등 공해물질에 약하여 도시나 공장조경에 이용할 때에는 주의를 요한다.
▶초년기에는 수형이 원추형이나 중·장·노년기로 갈수록 자연형으로 변한다.
48. 잣나무(소나무과) - Pinus koraiensis
◎외형적 특성
잎
▶상록성의 침형으로 5개씩 속생하며 3능선이 졌고, 잎의 뒷면에는 흰 기공조선이 5∼6줄 있어 은록색으로 보이기도 한다.
▶가장자리에 잔 톱니가 있고, 길이는 7∼12㎝이며 묵은 잎은 11월에 떨어진다.
꽃
▶꽃은 일가화로서 암꽃은 가지끝에서 녹황색으로 피고, 수꽃은 새가지 밑에 루비와 같이 붉은색으로 5월에 개화한다.
열매
▶구과는 긴 난상 원추형으로 길이 12∼15㎝, 지름 6∼8㎝로 다음해 9월에 익으며, 한 실편에 한 개의 잣이 결실하고 실편의 끝은 길게 자라서 뒤로 젖혀지며 구과가 익어도 벌어지지 않는다.
▶우리나라에서 자생하고 있는 소나무류 중에서 구과가 제일 크다.
수피 및
가지
▶수피는 흑갈색으로 갈라지며, 심재가 연한 홍색으로 홍송(紅松)이라고도 한다.
비고
▶눈잣나무(Pinus pumila Regel) : 밑에서 여러 개의 줄기가 올라와 수형을 이루며 잎은 길이 3∼6㎝, 넓이 0.1㎝로서 5개씩 속생하고 3개의 능선이 있으며 양면에 3∼4줄의 기공조선이 있고 가장자리에 뚜렷하지 않은 잔톱니가 있다.
▶공원수, 조림수
◎생육적 특성
생육지역
자생종은 남부의 해발1000m이상, 중부는 해발 300m이상에서 자란다.
원산지
한국, 만주, 일본, 동아시아의 특산
성 상
상록침엽교목
수 형
원추형
개화기
5월
화 색
담홍색
수 고
30m
단풍색
-
결실기
다음해9월
열매색
녹갈색
◎생태적 특성
내공해성
중
음양성
음수
내건성
적윤
비옥도
비옥
뿌리
심근성
내 한 성
강
내염성
중
맹아력
중
이식력
용이
번식
실생
◎가치 및 용도
▶공원수, 조림수
▶고산지대의 수종으로 따뜻한 지방과 대도시에서의 식재는 좋은 수형을 얻기가 힘들다.
▶공원, 공공건물, 골프장 및 캠퍼스 등에 군식하여 풍치 및 차폐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수형이 비교적 원추형에 가까워 독립수로도 이용가능하다.
▶주요 조림수종으로 이용.
49. 전나무(소나무과) - Abies holophylla
◎외형적 특성
잎
▶잎은 상록성의 선형으로 길이 4㎝, 나비 2㎜이고 끝이 뽀족하고 뒷면 양쪽에 백색 기공조선이 7∼8줄이 나타난다.
꽃
▶꽃은 일가화로 4월 하순에 황녹색의 꽃이 피며, 암꽃은 장타원형, 수꽃은 원통형으로 핀다.
열매
▶구과는 난형 또는 원통형으로 성숙하면 실편이 완전히 떨어지며, 길이 10∼12㎝, 지름이 3∼5㎝이고 끝은 뽀족하거나 둔두이며 과경은 7㎜정도이다. ▶실편은 담황갈색 또는 담록갈색으로 흔히 송진이 묻어 있다. 10월 상순에 성숙한다.
수피 및
가지
▶가지는 윤생하고 수평으로 퍼지며, 수피는 잿빛이 도는 흑갈색이다. 소지는 회갈색으로 털이 없으나 간혹 있는 것도 있으며 얕은 홈이 졌다.
▶어릴 때는 곁가지가 원대보다 길다.
비고
▶일본전나무(Abies firma Sieb. Et Zucc.) : 잎의 길이 2.0∼3.5㎝이며 어린나무의 것은 끝이 2개로 갈라지며 종자는 도란상 쐐기형으로 길이 6∼10㎜인 것.
◎생육적 특성
생육지역
자연생은 높은 산에서 자라며, 오대산 월경사의 젓나무림은 유명하다.
원산지
한국, 일본
성 상
상록침엽교목
수 형
원추형
개화기
4월
화 색
황녹색
수 고
30∼50m
단풍색
-
결실기
10월
열매색
황갈색
◎생태적 특성
내공해성
극약
음양성
음수
내건성
적윤
비옥도
비옥
뿌리
천근성
내 한 성
강
내염성
약
맹아력
중
이식력
용이
번식
실생, 접목
◎가치 및 용도
▶공원수, 녹화수, 풍치수
▶병충해가 적고, 전정을 거의 하지 않는다. 격년결실수종으로 풍흉이 심하다.
▶공해에 약한 특성으로 인해 도시환경에서의 이용은 부적당하다.
▶독립수로 이용하여 원추형을 이루는 수형의 정형미와 층을 이루는 가지의 수평미를 감상하며 빌딩의 큰 덩어리를 완화시키고 빌딩의 수직성을 강조하기 위하여 군식하여 이용하기도 한다.
▶7∼8년까지는 매우 느리게 자라지만, 그 이후부터는 생장속도가 빨라진다.
50. 히말라야시더-개잎갈나무(소나무과) - Cedrus deodara
◎외형적 특성
잎
▶상록성의 선형으로 길이는 3cm 정도이며 짧은 가지에서 총생하고, 세가지에서는 한개씩 달리며 흰빛이 도는 녹색이다.
꽃
▶꽃은 암수한그루로 짧은가지 끝에 10월에 피는데, 암꽃은 난형, 수꽃은 원주형으로 자색이다.
열매
▶구과는 타원형으로 곧게 서고 적갈색이며 7~10cm로 다음해 가을에 익는다.
수피 및
가지
▶가지는 옆으로 퍼지고 약간 밑으로 처지며, 수피는 회갈색으로 갈라져 벗겨진다.
비고
▶Cedrus livani Loudon (레바논시더) : 시리아의 레바논산맥에 분포하며 유럽에는 이 종이 많이 식재되어 있다.
▶Cedrus atlantica Manetti (아틀라스시더) : 알제리의 Atlas산이 원산지 이다.
◎생육적 특성
생육지역
천안 이남이 적당하나 서울 시내에서도 환경에 따라 월동
원산지
히말라야지역
성 상
상록침엽교목
수 형
원추형
개화기
10월
화 색
자색
수 고
14m
단풍색
-
결실기
다음해9월
열매색
적갈색
◎생태적 특성
내공해성
강
음양성
중용수
내건성
적윤
비옥도
비옥
뿌리
천근성
내 한 성
중
내염성
강
맹아력
강
이식력
용이
번식
실생,삽목
◎가치 및 용도
▶세계 3대 공원수에 속하는 아름다운 나무로 답압을 싫어한다.
▶대체로 수관 안쪽으로 직사광선이 들어오는 것을 싫어하므로 가지의 끝은 전정하지 않도록 하고, 또한 아랫가지가 끊기면 이 나무의 아름다운 특징이 상실된다.
▶높이 14m, 흉고직경 60cm까지 생장하는데, 원산지에서는 높이 90m까지도 클수 있다.
▶우리 나라에서는 남부지방에 가로수로 많이 이용하고 있으나 겨울철 도로에 생기는 그늘로 인해서 눈이 잘 녹지 않고 빙판을 만들어 차량사고의 위험이 있으므로 가로수로서의 이용은 고려해야 할 필요가 있다.
▶생울타리용, 차폐용 및 방화용으로도 이용된다.
▶O3와 SO2 등 공해물질에 약하여 도시나 공장조경에 이용할 때에는 주의를 요한다.
▶초년기에는 수형이 원추형이나 중·장·노년기로 갈수록 자연형으로 변한다.
48. 잣나무(소나무과) - Pinus koraiensis
◎외형적 특성
잎
▶상록성의 침형으로 5개씩 속생하며 3능선이 졌고, 잎의 뒷면에는 흰 기공조선이 5∼6줄 있어 은록색으로 보이기도 한다.
▶가장자리에 잔 톱니가 있고, 길이는 7∼12㎝이며 묵은 잎은 11월에 떨어진다.
꽃
▶꽃은 일가화로서 암꽃은 가지끝에서 녹황색으로 피고, 수꽃은 새가지 밑에 루비와 같이 붉은색으로 5월에 개화한다.
열매
▶구과는 긴 난상 원추형으로 길이 12∼15㎝, 지름 6∼8㎝로 다음해 9월에 익으며, 한 실편에 한 개의 잣이 결실하고 실편의 끝은 길게 자라서 뒤로 젖혀지며 구과가 익어도 벌어지지 않는다.
▶우리나라에서 자생하고 있는 소나무류 중에서 구과가 제일 크다.
수피 및
가지
▶수피는 흑갈색으로 갈라지며, 심재가 연한 홍색으로 홍송(紅松)이라고도 한다.
비고
▶눈잣나무(Pinus pumila Regel) : 밑에서 여러 개의 줄기가 올라와 수형을 이루며 잎은 길이 3∼6㎝, 넓이 0.1㎝로서 5개씩 속생하고 3개의 능선이 있으며 양면에 3∼4줄의 기공조선이 있고 가장자리에 뚜렷하지 않은 잔톱니가 있다.
▶공원수, 조림수
◎생육적 특성
생육지역
자생종은 남부의 해발1000m이상, 중부는 해발 300m이상에서 자란다.
원산지
한국, 만주, 일본, 동아시아의 특산
성 상
상록침엽교목
수 형
원추형
개화기
5월
화 색
담홍색
수 고
30m
단풍색
-
결실기
다음해9월
열매색
녹갈색
◎생태적 특성
내공해성
중
음양성
음수
내건성
적윤
비옥도
비옥
뿌리
심근성
내 한 성
강
내염성
중
맹아력
중
이식력
용이
번식
실생
◎가치 및 용도
▶공원수, 조림수
▶고산지대의 수종으로 따뜻한 지방과 대도시에서의 식재는 좋은 수형을 얻기가 힘들다.
▶공원, 공공건물, 골프장 및 캠퍼스 등에 군식하여 풍치 및 차폐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수형이 비교적 원추형에 가까워 독립수로도 이용가능하다.
▶주요 조림수종으로 이용.
49. 전나무(소나무과) - Abies holophylla
◎외형적 특성
잎
▶잎은 상록성의 선형으로 길이 4㎝, 나비 2㎜이고 끝이 뽀족하고 뒷면 양쪽에 백색 기공조선이 7∼8줄이 나타난다.
꽃
▶꽃은 일가화로 4월 하순에 황녹색의 꽃이 피며, 암꽃은 장타원형, 수꽃은 원통형으로 핀다.
열매
▶구과는 난형 또는 원통형으로 성숙하면 실편이 완전히 떨어지며, 길이 10∼12㎝, 지름이 3∼5㎝이고 끝은 뽀족하거나 둔두이며 과경은 7㎜정도이다. ▶실편은 담황갈색 또는 담록갈색으로 흔히 송진이 묻어 있다. 10월 상순에 성숙한다.
수피 및
가지
▶가지는 윤생하고 수평으로 퍼지며, 수피는 잿빛이 도는 흑갈색이다. 소지는 회갈색으로 털이 없으나 간혹 있는 것도 있으며 얕은 홈이 졌다.
▶어릴 때는 곁가지가 원대보다 길다.
비고
▶일본전나무(Abies firma Sieb. Et Zucc.) : 잎의 길이 2.0∼3.5㎝이며 어린나무의 것은 끝이 2개로 갈라지며 종자는 도란상 쐐기형으로 길이 6∼10㎜인 것.
◎생육적 특성
생육지역
자연생은 높은 산에서 자라며, 오대산 월경사의 젓나무림은 유명하다.
원산지
한국, 일본
성 상
상록침엽교목
수 형
원추형
개화기
4월
화 색
황녹색
수 고
30∼50m
단풍색
-
결실기
10월
열매색
황갈색
◎생태적 특성
내공해성
극약
음양성
음수
내건성
적윤
비옥도
비옥
뿌리
천근성
내 한 성
강
내염성
약
맹아력
중
이식력
용이
번식
실생, 접목
◎가치 및 용도
▶공원수, 녹화수, 풍치수
▶병충해가 적고, 전정을 거의 하지 않는다. 격년결실수종으로 풍흉이 심하다.
▶공해에 약한 특성으로 인해 도시환경에서의 이용은 부적당하다.
▶독립수로 이용하여 원추형을 이루는 수형의 정형미와 층을 이루는 가지의 수평미를 감상하며 빌딩의 큰 덩어리를 완화시키고 빌딩의 수직성을 강조하기 위하여 군식하여 이용하기도 한다.
▶7∼8년까지는 매우 느리게 자라지만, 그 이후부터는 생장속도가 빨라진다.
50. 히말라야시더-개잎갈나무(소나무과) - Cedrus deodara
◎외형적 특성
잎
▶상록성의 선형으로 길이는 3cm 정도이며 짧은 가지에서 총생하고, 세가지에서는 한개씩 달리며 흰빛이 도는 녹색이다.
꽃
▶꽃은 암수한그루로 짧은가지 끝에 10월에 피는데, 암꽃은 난형, 수꽃은 원주형으로 자색이다.
열매
▶구과는 타원형으로 곧게 서고 적갈색이며 7~10cm로 다음해 가을에 익는다.
수피 및
가지
▶가지는 옆으로 퍼지고 약간 밑으로 처지며, 수피는 회갈색으로 갈라져 벗겨진다.
비고
▶Cedrus livani Loudon (레바논시더) : 시리아의 레바논산맥에 분포하며 유럽에는 이 종이 많이 식재되어 있다.
▶Cedrus atlantica Manetti (아틀라스시더) : 알제리의 Atlas산이 원산지 이다.
◎생육적 특성
생육지역
천안 이남이 적당하나 서울 시내에서도 환경에 따라 월동
원산지
히말라야지역
성 상
상록침엽교목
수 형
원추형
개화기
10월
화 색
자색
수 고
14m
단풍색
-
결실기
다음해9월
열매색
적갈색
◎생태적 특성
내공해성
강
음양성
중용수
내건성
적윤
비옥도
비옥
뿌리
천근성
내 한 성
중
내염성
강
맹아력
강
이식력
용이
번식
실생,삽목
◎가치 및 용도
▶세계 3대 공원수에 속하는 아름다운 나무로 답압을 싫어한다.
▶대체로 수관 안쪽으로 직사광선이 들어오는 것을 싫어하므로 가지의 끝은 전정하지 않도록 하고, 또한 아랫가지가 끊기면 이 나무의 아름다운 특징이 상실된다.
▶높이 14m, 흉고직경 60cm까지 생장하는데, 원산지에서는 높이 90m까지도 클수 있다.
▶우리 나라에서는 남부지방에 가로수로 많이 이용하고 있으나 겨울철 도로에 생기는 그늘로 인해서 눈이 잘 녹지 않고 빙판을 만들어 차량사고의 위험이 있으므로 가로수로서의 이용은 고려해야 할 필요가 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