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아동보육서비스의 현황
1) 보육시설 및 보육아동의 현황
2) 보육시설 종사자 현황
2. 방과후 아동지도사업 현황
1) 방과후 아동지도의 개념
2) 우리나라 방과후 아동지도의 유형
3. 보육서비스 정책 현황
1) 보육시설의 유형
2) 보육시설의 입소대상
3) 보육과정
(1) 표준보육과정 성격
(2) 표준보육과정의 구성체계
4) 보육시설 평가인증제도
4. 보육사업 역사
1) 외국의 보육사업
(1) 스웨덴
(2) 영국
(3) 미국
(4) 일본
2) 우리나라의 보육사업
참고문헌
1) 보육시설 및 보육아동의 현황
2) 보육시설 종사자 현황
2. 방과후 아동지도사업 현황
1) 방과후 아동지도의 개념
2) 우리나라 방과후 아동지도의 유형
3. 보육서비스 정책 현황
1) 보육시설의 유형
2) 보육시설의 입소대상
3) 보육과정
(1) 표준보육과정 성격
(2) 표준보육과정의 구성체계
4) 보육시설 평가인증제도
4. 보육사업 역사
1) 외국의 보육사업
(1) 스웨덴
(2) 영국
(3) 미국
(4) 일본
2) 우리나라의 보육사업
참고문헌
본문내용
기준
구분
배치기준
시설장
국, 공립보육시설, 민간보육시설 및 직장보육시설(다만, 영유아 20인 미만을 보육하는 시설의 경우에는 보육교사가 시설장 겸임 가능)
보육교사
(1) 만 1세 미만의 영야 2인당 1인을 원칙으로 한다.
(2) 만 1세 이상 만 2세 미만의 영아 5인당 1인을 원칙으로 한다.
(3) 만 2세 이상 만 3세 미만의 영야 7인당 1인을 원칙으로 한다.
(4) 만 3세 이상 만 4세 미만의 유아 15인당 1인을 원칙으로 한다.
(5) 만 4세 이상 미취학 유아 20인당 1인을 원칙으로 하며, 이 경우 유아 40인당 1인은 보육교사 1급 자격을 가진 자이어야 한다.
(6) 취학아동 20인당 1인을 원칙으로 한다.
(7) 장애아 보육은 장애아 3인당 1인을 원칙으로 하되, 장애아 9인당 1인은 특수교사 자격소지자로 한다.
간호사
영유아 100인 이상을 보육하는 시설의 경우 간호사(간호조무사를 포함한다) 1인을 두어야 한다.
영양사
영유아 100인 이상을 보육하는 시설의 경우 영양사 1인을 두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보육시설 단독으로 영양사를 두는 것이 곤란한 때에는 동일 시, 군, 구의 5개 이내 보육시설이 공동으로 영양사를 둘 수 있다.
취사부
영유아 40인 이상 80인 이하를 보육하는 시설의 경우 취사부 1인을 두며, 영유아가 매 80인을 초과할 때마다 1인씩 증원한다.
그 밖의 종사자
시설장은 시설의 규모에 따라 의사(또는 촉탁 의사), 사회복지사, 사무원, 관리인, 위생원, 운전기사, 치료사 등의 종사자를 둘 수 있으며, 보육시설의 장이 간호사 또는 영양사 자격이 있는 때에는 간호사 또는 영양사를 겸직하게 할 수 있다.
출처: 김성경, 김혜영, 최현미「아동복지론」2010. 양서원
- 2008년 6월 30일 현재 보육시설 종사자는 총 175,729명이며 보육교사가 127,079명(72.3%)으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표 3>.
- 우리나라 보육시설의 종사자 수는 법정배치기준을 따르고 있으며, 보육교사 외에 특수교사, 치료사, 간호사 등 다양한 전문가가 종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3> 우리나라 아동보육시설 종사자 현황
구분
현원(명)
시설장
31,648
보육교사
보육교사
122,297
대체교사
680
방과후교사
1,038
시간연장 보육교사
2,948
24시간 보육교사
116
소계
127,079
특수교사
1,037
치료사
467
간호사
571
영양사
575
취사부
9,650
사무원
852
기타
3,850
계
175,729
출처: 보건복지가족부. 2008. 김성경, 김혜영, 최현미「아동복지론」2010. 양서원
2. 방과후 아동지도사업 현황
1) 방과후 아동지도의 개념
- 방과후 아동지도(after school care)의 개념은 일반적으로 초등학교 아동을 대상으로 학교에서 수업을 마친 후 부모와 만나 f때까지 아동과 그 가족을 위해 의도적으로 제공되는 보육서비스이다.
- 이는 방과후(after school)라는 용어의 개념에 충실한 정의이며 학교 수업 전(befor school)이나 공휴일, 또는 방학 동안의 보호와 교육서비스도 포함한다.
- 그리고 서비스 대상에는 취업 또는 학업 중인 부모를 둔 초등학교 아동 뿐 아닌 부모의 취업, 학업 여부와 관계없이, 방과 후 교육적 경험이 필요한 아동들과 유아들을 포함할 수 있다(김재인 외, 2000).
- 우리나라는 현재 방과 후 아동지도, 방과후 보육 등의 용어가 함께 사용되고 있지만, 방과후 아동보육과 방과후 아동지도는 동일한 용어이다.
- 공통점은 두 용어가 모두 초등학교 단계의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방과후, 방학중, 학교의 수업시작 전, 주말에 행해지는 장시간 동안의 보호와 교육 활동을 의미한다.
- 차이점은 방과 후 아동보육은 아동을 복지적인 차원에서 보호해야 한다는 점을 보다 강조하고 있고, 방과후 아동지도는 연령단계가 높아질수록 보호보다 교육적인 지도를 해야 한다는 관점에서 접근하는 것이다.
- 두 가지 용어는 아동을 교육적인 활동을 통해 안전하게 보호해야 한다는 점에서는 같은 의미를 갖는다(김재인 외, 2000).
2) 우리나라 방과후 아동지도의 유형
- 우리나라는 현재 방과후 아동지도사업을 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가족부 등 부처에서 다양하게 시행해 오고 있다.
- 교육인적자원부(현, 교육과학기술부)는 2004년부터 기존의 방과후 교육활동을 방과 후 학교로 변경하여 보다 적극적으로 추진하여 왔으며, 보건복지부(현, 보건복지가족부)는 2004년 이후 아동복지법에 의해 기존의 민간시설을 지역아동센터로 확대 개편하여 지원하고 있다.
- 국가청소년위원회는 2005년부터 ‘방과후 청소년 생활지원 종합대책’의 일환으로 방과 후 청소년아카데미를 본격적으로 시행하여 오다가 2008년 국가청소년위원회가 보건복지가족부와 통, 폐합되면서 청소년아카데미는 보건복지부 지원시설 중 하나로 편입되었다.
- 4가지 방과후 사업은 이용대상, 운영시간, 종사자, 근거법이 약간 다르지만, 목적과 사업내용은 큰 차이 없이 운영되고 있다.
- 그러나 이 사업들은 각각의 특수성을 갖고 개별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표4> 우리나라 방과후 아동지도 유형
구분
방과후 학교
청소년아카데미
지역아동센터
방과후 보육
목적
·학교교육 보완
·실질적인 교육복지 구현
·다양한 학습욕구해소, 사교육비 부담 완화
·
· 방과후 방치된 청소년에게 지도, 훈육 제공
·학습지원, 복지, 보호를 통해 청소년들의 건전한 성장 지원
·지역사회 아동의 보호, 교육, 건전한 놀이와 오락의 제공
·종합적인 아동복지 서비스 제공
·방과후 적절한 보호를 받지 못하는 초등학교 아동에게 보육서비스 제공
이용대상
초등학생/중학생/고등학생
초등학생(4,5,6학년)/ 중학생(1,2학년)
미취학 아동/초등학생, 중학생/고등학생
초등학교 저학년
운영시간
일일 5시간 이상
일일 6시간
일일 8시간 이상
일일 4시간 이상
종사자
학교장
현직교사
외부강사
운영책임자
실무지도자
전문강사
시설장, 생활복지사, 영양사, 아동복지교사 및 자원봉사자
시설장, 보육교사
사업
학습지도, 상담, 독서지도, 문화프로그램, 상담 등
학습지도, 열람실 운영, 문화교실, 도서대여 등
구분
배치기준
시설장
국, 공립보육시설, 민간보육시설 및 직장보육시설(다만, 영유아 20인 미만을 보육하는 시설의 경우에는 보육교사가 시설장 겸임 가능)
보육교사
(1) 만 1세 미만의 영야 2인당 1인을 원칙으로 한다.
(2) 만 1세 이상 만 2세 미만의 영아 5인당 1인을 원칙으로 한다.
(3) 만 2세 이상 만 3세 미만의 영야 7인당 1인을 원칙으로 한다.
(4) 만 3세 이상 만 4세 미만의 유아 15인당 1인을 원칙으로 한다.
(5) 만 4세 이상 미취학 유아 20인당 1인을 원칙으로 하며, 이 경우 유아 40인당 1인은 보육교사 1급 자격을 가진 자이어야 한다.
(6) 취학아동 20인당 1인을 원칙으로 한다.
(7) 장애아 보육은 장애아 3인당 1인을 원칙으로 하되, 장애아 9인당 1인은 특수교사 자격소지자로 한다.
간호사
영유아 100인 이상을 보육하는 시설의 경우 간호사(간호조무사를 포함한다) 1인을 두어야 한다.
영양사
영유아 100인 이상을 보육하는 시설의 경우 영양사 1인을 두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보육시설 단독으로 영양사를 두는 것이 곤란한 때에는 동일 시, 군, 구의 5개 이내 보육시설이 공동으로 영양사를 둘 수 있다.
취사부
영유아 40인 이상 80인 이하를 보육하는 시설의 경우 취사부 1인을 두며, 영유아가 매 80인을 초과할 때마다 1인씩 증원한다.
그 밖의 종사자
시설장은 시설의 규모에 따라 의사(또는 촉탁 의사), 사회복지사, 사무원, 관리인, 위생원, 운전기사, 치료사 등의 종사자를 둘 수 있으며, 보육시설의 장이 간호사 또는 영양사 자격이 있는 때에는 간호사 또는 영양사를 겸직하게 할 수 있다.
출처: 김성경, 김혜영, 최현미「아동복지론」2010. 양서원
- 2008년 6월 30일 현재 보육시설 종사자는 총 175,729명이며 보육교사가 127,079명(72.3%)으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표 3>.
- 우리나라 보육시설의 종사자 수는 법정배치기준을 따르고 있으며, 보육교사 외에 특수교사, 치료사, 간호사 등 다양한 전문가가 종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3> 우리나라 아동보육시설 종사자 현황
구분
현원(명)
시설장
31,648
보육교사
보육교사
122,297
대체교사
680
방과후교사
1,038
시간연장 보육교사
2,948
24시간 보육교사
116
소계
127,079
특수교사
1,037
치료사
467
간호사
571
영양사
575
취사부
9,650
사무원
852
기타
3,850
계
175,729
출처: 보건복지가족부. 2008. 김성경, 김혜영, 최현미「아동복지론」2010. 양서원
2. 방과후 아동지도사업 현황
1) 방과후 아동지도의 개념
- 방과후 아동지도(after school care)의 개념은 일반적으로 초등학교 아동을 대상으로 학교에서 수업을 마친 후 부모와 만나 f때까지 아동과 그 가족을 위해 의도적으로 제공되는 보육서비스이다.
- 이는 방과후(after school)라는 용어의 개념에 충실한 정의이며 학교 수업 전(befor school)이나 공휴일, 또는 방학 동안의 보호와 교육서비스도 포함한다.
- 그리고 서비스 대상에는 취업 또는 학업 중인 부모를 둔 초등학교 아동 뿐 아닌 부모의 취업, 학업 여부와 관계없이, 방과 후 교육적 경험이 필요한 아동들과 유아들을 포함할 수 있다(김재인 외, 2000).
- 우리나라는 현재 방과 후 아동지도, 방과후 보육 등의 용어가 함께 사용되고 있지만, 방과후 아동보육과 방과후 아동지도는 동일한 용어이다.
- 공통점은 두 용어가 모두 초등학교 단계의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방과후, 방학중, 학교의 수업시작 전, 주말에 행해지는 장시간 동안의 보호와 교육 활동을 의미한다.
- 차이점은 방과 후 아동보육은 아동을 복지적인 차원에서 보호해야 한다는 점을 보다 강조하고 있고, 방과후 아동지도는 연령단계가 높아질수록 보호보다 교육적인 지도를 해야 한다는 관점에서 접근하는 것이다.
- 두 가지 용어는 아동을 교육적인 활동을 통해 안전하게 보호해야 한다는 점에서는 같은 의미를 갖는다(김재인 외, 2000).
2) 우리나라 방과후 아동지도의 유형
- 우리나라는 현재 방과후 아동지도사업을 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가족부 등 부처에서 다양하게 시행해 오고 있다.
- 교육인적자원부(현, 교육과학기술부)는 2004년부터 기존의 방과후 교육활동을 방과 후 학교로 변경하여 보다 적극적으로 추진하여 왔으며, 보건복지부(현, 보건복지가족부)는 2004년 이후 아동복지법에 의해 기존의 민간시설을 지역아동센터로 확대 개편하여 지원하고 있다.
- 국가청소년위원회는 2005년부터 ‘방과후 청소년 생활지원 종합대책’의 일환으로 방과 후 청소년아카데미를 본격적으로 시행하여 오다가 2008년 국가청소년위원회가 보건복지가족부와 통, 폐합되면서 청소년아카데미는 보건복지부 지원시설 중 하나로 편입되었다.
- 4가지 방과후 사업은 이용대상, 운영시간, 종사자, 근거법이 약간 다르지만, 목적과 사업내용은 큰 차이 없이 운영되고 있다.
- 그러나 이 사업들은 각각의 특수성을 갖고 개별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표4> 우리나라 방과후 아동지도 유형
구분
방과후 학교
청소년아카데미
지역아동센터
방과후 보육
목적
·학교교육 보완
·실질적인 교육복지 구현
·다양한 학습욕구해소, 사교육비 부담 완화
·
· 방과후 방치된 청소년에게 지도, 훈육 제공
·학습지원, 복지, 보호를 통해 청소년들의 건전한 성장 지원
·지역사회 아동의 보호, 교육, 건전한 놀이와 오락의 제공
·종합적인 아동복지 서비스 제공
·방과후 적절한 보호를 받지 못하는 초등학교 아동에게 보육서비스 제공
이용대상
초등학생/중학생/고등학생
초등학생(4,5,6학년)/ 중학생(1,2학년)
미취학 아동/초등학생, 중학생/고등학생
초등학교 저학년
운영시간
일일 5시간 이상
일일 6시간
일일 8시간 이상
일일 4시간 이상
종사자
학교장
현직교사
외부강사
운영책임자
실무지도자
전문강사
시설장, 생활복지사, 영양사, 아동복지교사 및 자원봉사자
시설장, 보육교사
사업
학습지도, 상담, 독서지도, 문화프로그램, 상담 등
학습지도, 열람실 운영, 문화교실, 도서대여 등
키워드
추천자료
보육기관 평가인증 영역 중 보육환경, 운영관리,보육과정 영역에 관한 필요성과 평가 주안점,...
[교과교육론A] 표준보육과정(사회관계, 의사소통, 신체운동, 예술경험, 자연탐구, 기본생활 ...
[교과교육론B]표준보육과정(사회관계, 의사소통, 신체운동, 예술경험, 자연탐구, 기본생활 영...
보육과정의 개념과 원리를 설명하고, 표준 보육과정의 영역별 내용과 지도방향을 설명하시오.
영유아 발달과 바람직한 기관운영에 초점을 두고 보육기관의 평가인증 영역 중 보육환경, 운...
표준보육과정과 누리과정에 대해 설명하고 영유아를 위한 보육환경, 운영관리, 건강과 영양, ...
보육과정의 구성요소를 살펴보고 구성요소 중에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부분을 제시 (보육과정)
표준보육과정의 전반적 내용에 대해 약술하고(개념, 필요성, 기본원리, 성격, 구성 체계 등),...
보육과정의 의미를 기술하고, 표준보육과정의 특징 및 운영에 대해 기술,
보육환경에 영향을 주는 요인과 그에 따른 최근 보육과정의 동향에 대해 논하시오. (보육환...
표준보육과정의 전반적 내용에 대해 약술하고(개념, 필요성, 기본원리, 성격, 구성 체계 등),...
표준보육과정에서 추구하는 인간상으로 아이들을 보육하려면 보육교사의 어떠한 노력이 있어...
[보육학개론] 바람직한 보육과정 패러다임의 변화 및 발전 방향성에 대해 논하시오 : 보육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