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총공급곡선에 대한 두 가지 이론
(2) 필립스 곡선
(3) 케인즈의 소비함수
(4) 어빙 피셔의 소비함수
(5) 로버트 홀의 소비함수 (랜덤워크)
(6) 투자의 균형
(7) 통화공급
(8) 통화수요
(2) 필립스 곡선
(3) 케인즈의 소비함수
(4) 어빙 피셔의 소비함수
(5) 로버트 홀의 소비함수 (랜덤워크)
(6) 투자의 균형
(7) 통화공급
(8) 통화수요
본문내용
래수단으로서의 화폐기능에 초점을 맞춰보면,
(M/P)d = f (Y, i, F)
(F = 화폐로의 교환 비용)
라는 통화수요함수를 쉽게 도출할 수 있다. 여기서 좀 더 논리를 발전시키기 위해 Y를 1년 동안의 총 지출액으로 생각해보자. 만약 처음부터 Y만큼의 통화를 보유한다면, 예를 들어서 1년에 1회 현금을 인출한다면 평균 통화보유액은 Y/2가 될 것이다. 1년에 2회 현금을 인출한다면 평균 통화보유액은 Y/4가 될 것이고, N회 현금을 인출한다면 평균 통화보유액은 Y/2N이 될 것이다. 이때 총 비용을 계산해보면,
(i × Y/2N) +(F × N)
이 될 것이다. 앞쪽 항은 상실된 이자이고 뒤쪽 항은 총화폐전환비용이다. 여기서 i와 Y, F는 외생변수이고, N만 내생변수이다. 즉 비용을 최소화하는 N을 찾을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 N으로 미분해보면,
C
=
i ×
Y
× (-1)N-2 +F
N
2
N*로 정리하면,
N*
=
(
iY
)1/2
2F
다시 N*를 평균화폐보유량(수요량) 식에 대입하면,
(M/P)d
=
Y
2N*
=
(
Y×F
)1/2
2i
위의 식은 Y가 클수록, F가 높을수록, i가 낮을수록 화폐수요가 커진다는 것을 보여준다.
(M/P)d = f (Y, i, F)
(F = 화폐로의 교환 비용)
라는 통화수요함수를 쉽게 도출할 수 있다. 여기서 좀 더 논리를 발전시키기 위해 Y를 1년 동안의 총 지출액으로 생각해보자. 만약 처음부터 Y만큼의 통화를 보유한다면, 예를 들어서 1년에 1회 현금을 인출한다면 평균 통화보유액은 Y/2가 될 것이다. 1년에 2회 현금을 인출한다면 평균 통화보유액은 Y/4가 될 것이고, N회 현금을 인출한다면 평균 통화보유액은 Y/2N이 될 것이다. 이때 총 비용을 계산해보면,
(i × Y/2N) +(F × N)
이 될 것이다. 앞쪽 항은 상실된 이자이고 뒤쪽 항은 총화폐전환비용이다. 여기서 i와 Y, F는 외생변수이고, N만 내생변수이다. 즉 비용을 최소화하는 N을 찾을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 N으로 미분해보면,
C
=
i ×
Y
× (-1)N-2 +F
N
2
N*로 정리하면,
N*
=
(
iY
)1/2
2F
다시 N*를 평균화폐보유량(수요량) 식에 대입하면,
(M/P)d
=
Y
2N*
=
(
Y×F
)1/2
2i
위의 식은 Y가 클수록, F가 높을수록, i가 낮을수록 화폐수요가 커진다는 것을 보여준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