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만 간호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분만 간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분만
◆분만 시작징후
◆분만진행 단계 사정 방법
1. 활력징후
2. 자궁 수축 정도 사정
3. 질검진
4. 복부 촉진(Leolold's maneuver)
5. 태아 심음 사정
◆일반적인 불편감
◆위협적인 증상
◆분만 1기 간호
1. 잠재기
2. 활동기
3. 이행기
-경관 개대
[사정]
[간호중재]
1. 수분섭취
2. 배뇨 및 배변
3. 일반적인 위생
4. 산모의 자세
5. 분만 대기실과 분만실의 환경
6. 마사지
7. 호흡
8. 가족지지
◆분만 2기 간호
1.사정
2.간호관리
3. 간호계획과 수행
◆분만직후간호
1.간호사정
2.간호관리
◆분만직후 신생아 간호
1)건강사정
2)기도관리
3)제대간호
4)체온관리
5)눈 간호
6)신분확인
7)저트롬빈혈증 예방제 투여
8)조기 모아상호작용의 증진

본문내용

힘주기를 한다.
- 성문을 열고 약간 내쉬면서 힘주기를 한다.
(3) 심리적 지지
- 간호사는 지시를 명확하고 짧게 반복하여야하며, 힘주기를 잘 이행했을 때에는 격려와 지지를 주어 자신감을 갖도록 한다.
(4) 회음절개술
- 분만 촉진을 위해하는 시술로, 절개 시 가위는 날카롭지만 끝이 무딘 가위를 사용하고, 외음사이에서 아두가 보일 때 시행하는 것이 좋다.
- 회음절개술은 회음을 중앙으로 절개하는 정중선 절개법과 측방으로 절개하는 측방 절개법이 있다.
※ 회음절개술시의 이점
- 절개술을 하지 않았을 때의 열상보다는 깨끗한 절개가 되므로 회복이 용이하다.
- 항문까지 열상되는 것을 미리 방지 할 수 있다.
- 회음근들이 이완되어 방광류, 직장류가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 분만 제2기를 단축할 수 있다.
◆분만직후간호
-분만직후 옥시토신의 작용으로 자궁수축이 규칙적이고 강하게 진행되고, 태반이 부착부위에서 박리 되기 시작한다.
-이 시기에 간호사는 출산 후 산모에게 따뜻한 모포를 제공하여 오한을 방지하고, 산모와 신생아가 피부접촉을 하며, 모유수유를 허용하여 모체와 신생아 사이에 여유있고 지속적인 접촉이 이루어짐으로써 정상적인 호르몬의 작용을 돕는다.
1.간호사정
(1)태반박리를 사정한다.
-태반박리 징후
①단단한 자궁수축
②원반모양에서 공모양으로 자궁변화
③질구로부터 갑작스런 암적색의 출혈
④질에서 내려오는 제대의 길이가 길어짐.
(2)태반과 난막의 손상여부를 검진한다.
(3)회음의 외상이나 이상을 사정한다.
(4)회음절개부위를 시진한다.
(5)회음열상을 사정하고 봉합한다.
2.간호관리
(1) 태반박리 과정에 대해 부부에게 설명한다.
(2) 태반박리징후가 나타날 때 아래로 힘주도록 교육한다.
(3) 태반만출 후 처방된 옥시토신을 투여한다.
(4) 회음절개술 혹은 열상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지지한다.
(5) 분만 후 청결하고 편안한 자세를 취하도록 한다.
(6) 회복실로 이동하는 것을 도와준다.
(7) 산모를 따뜻한 담요로 덮어준다.
(8) 회음절개술을 했다면 안위를 위하여 회음부위에 얼음주머니를 대준다.
(9) 산부의 신체적 상태를 측정한다.
◆분만직후 신생아 간호
1)건강사정
-임상평가를 위한 기준으로 Apgar 점수가 이용되며 분만 후 1분과 5분에 각각 심박동, 호흡, 근육 긴장도, 반사, 피부색을 관찰해 점수화한 것이다.
-각 항목에 0~2점의 점수가 주어지고 총 득점이 0~2점이면 심한 기능저하를 의심하고, 3~6점이면 중증도, 7~10점이면 곤란의 정도가 미약하거나 스트레스가 없는 것을 가르킨다. 1분에 측정하는 것은 즉각적인 생존여부의 평가를 위한 가장 적절한 시간을 보기 때문이고 출생 5분의 평가 득점은 생후 1분에 평가한 것보다 장기간의 생존과 신생아의 신경학적 상태를 더 예측할 수 있다.
점수
증세
0
1
2
심박동
무박동
느리다(100회이하)
100회이상
호흡
무호흡
불규칙하고 과소호흡이다.
좋다. 기운차게 운다.
근긴장도
축 늘어져 있다.
사지를 약간 굴곡
활발한 움직임
반사반응
무반응
울거나 약간 움직임
활기찬 울음
피부색
푸르고 창백
몸은 분홍색, 손과 발은 푸르다.
몸전체가 분홍빛
(1)심박동
-심박동은 신생아의 출생후 저산소증을 가장 민감하게 나타낸다. 분당 100회 이하는 심한 가사상태를 의미한다. 출생후 수분내의 정상적인 심박동수는 분당 150~180회고, 출생후 한 시간정도의 수는 130~140회이다.
(2)호흡
-신생아가 활기차게 울면 호흡에 문제가 없다는 의미이다. 규칙적인 호흡은 출생 수분 내에 이뤄진다.
(3)근육긴장도
-근육긴장도는 굴곡의 정도와 사지를 똑바로 했을 때의 저항과 관계된다. 정상 신생아의 팔꿈치는 굴곡되며 대퇴와 무릎은 복부를 향해 굴곡되어 있다.
(4)반사반응
-반사반응은 발바닥을 탁 때렸을 때에 반응에 의해 판단된다. 기도에서 분비물을 흡입할 때의 반응으로도 알 수 있으며, 중추신경계에 손상을 입은 신생아는 전혀 반응을 하지 않는다.
(5)피부색
-피부색은 창백하거나 청색증의 유무에 따라 구별된다.
2)기도관리
(1)태아는 자궁 내에서 탯줄을 통해 산소와 영양을 공급받았기 때문에 폐기능이 없이 살아왔으나 신생아는 분만 즉시 울음과 함께 폐포가 확장되면서 숨을 쉴 수 있게 된다.
(2)숨을 쉬는것이 확실하면 신생아의 머리를 낮추어 눕히고 짧은 시간 내에 관찰해 숨을 쉬지 않으면 소생시켜야 하므로 즉시 발바닥을 가볍게 때리거나 등을 쓸어 주어 울거나 숨쉬게 하고 시간을 정확하게 기록한다.
(3)신생아의 기도관리는 분만 2기부터 시작해야 하며, 분만 중에 양수나 점액이 흡인되어 무기폐나 폐렴을 일으킬 수 있어 아두가 만출되고 견갑만출을 기다리는 순간부터 고무 스포이드로 구강의 점액이나 양수 등을 흡인해야 한다.
(4)아기가 호흡하는가를 관찰할 때 우는 것은 호흡하는 것임을 나타내기도 하며 호흡이 분당 40~60회이면 정상이다.
3)제대간호
(1)신생아의 제대는 제와위 1cm 지점에서 제대집게나 제대실로 묶는다. 그 지점부터 1cm 위를 묶는다. 두 번째 매듭에서부터 1cm 위의 지점을 제대가위로 자른다.
(2)절단한 단면은 소독수로 닦고 탯줄을 자세히 관찰해 두 개의 두껍고 작은 동맥과 한 개의 얇고 넓적한 정맥이 있는지 출혈이 있는지 관찰하고 탯줄, 소독된 마른 거즈로 싸서 제대 복대로 묶어준다.
4)체온관리
(1)적절한 온도의 환경을 유지하는 것은 신생아 간호에 중요하다.
(2)신생아가 추위에 노출되면 산소 소모가 많아지게 된다. 체 표면에 있는 양수나 습기는 증발 시에 많은 열을 빼앗아 가므로 신생아의 체온관리를 위해 빨리 닦아 주워야 하며, 출생 직후 산모의 복부에 신생아를 올려놓아 산모의 체온이 신생아에게 전달되게 하는 것도 한 방법이다.
5)눈 간호
(1)신생아가 산도를 통해 나오는 동안 눈이 감염될 수 있기 때문에 신생아 안염을 예방하기 위해 1% 질산은이나 0.5%erythromycin, 1% tetramycin 연고를 사용한다.
(2)질산은 용액이나 erythromycin 연고 등은 신생아실에 가기 전 분만실에서 투약해야한다. 연고를 하안검에 점적하며 약병의 끝이 눈에 닿지
  • 가격2,3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13.10.14
  • 저작시기2012.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8552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