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수염 대상자 간호 보고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골수염 대상자 간호 보고서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없음

본문내용

궤양, 지속적인 배액이 나타난다.
6. 골수염(Osteomyelitis)의 진단검사
급성골수염에서 백혈구는 보통 증가한다. 그러나 만성 골수염에서는 정상이거나 약간 증가한다. 적혈구 침강속도(ESR)는 초기에는 정상이지만 질병이 진행되면서 증가한다.
균혈증이 나타나면 혈액 배양검사로 균을 규명하고 항생제를 결정한다. 임상증상이 나타난 후 1주에서 10일까지는 일반 X-선 검사에서 뼈의 변화가 나타나지 않지만, 골조사에서 혈류의 변화가 나타난다. 자기공명영상법(MRI)을 사용하여 가장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으며 골생검으로도 확진한다.
7. 골수염(Osteomyelitis)의 예방
환자가 현재 감염(요로감염, 인후통 등)되었거나 최근 감염력이 있는 경우 선택적인 정형외과 수술은 연기한다. 정형외과 수술을 시행하는 동안 수술환경과 직접적인 골감염을 감소시키는 기술에 주의를 기울인다. 예방적으로 항생제는 수술시간에, 수술 후 24시간 투여하며, 감염의 혈행 전파 발생률을 감소시키기 위해 배뇨도관과 배액은 바로 제거한다.
국소 감염치료는 혈행성 전파를 감소시킨다. 수술 후 상처와 무균관리르 통해 표재성 감염과 골수염 발병률을 감소시킨다. 연조직 감염의 경우 즉각적으로 관리하여 뼈까지 감염이 확산되지 않도록 한다. 관절성형수술을 받은 환자가 치과치료 및 그 외 침습성 절차(방광경 검사)를 하는 경우 예방적인 항생제 투여를 권장한다.
8. 골수염(Osteomyelitis)의 치료
치료는 급성과 만성에 따라 다르다. 감염을 치료하기 위해 항생제를 사용하고 배양 직후 혈액이나 상처부위에 복합 항생제를 투여한다. 급성 골수염이 항생제에 느리게 반응하면 농양을 절개하여 배액시킨다.
1) 비수술 치료
골수염을 치료하기 위해 가능한 빨리 항생제를 사용한다. 초기 항생제 치료 전에 배양이나 골생검을 시행한다. 증상 발생 후 3일 이내의 치료로 골파괴, 괴사 및 골막하 신생골 형성이 예방될 수 있으나 항생제 치료가 늦어지면 수술이 필요하다.
(1) 약물요법
급성 골수염은 수주 동안 정맥내로 항생제를 투여하고 일정한 혈중 농도를 유지한다. 사용되는 항생제로는 penicillin, neomycin, vancomycin, cephalexin, cerfazolin 등이 있다.
(2) 고압 산소요법
만성적이고 회복이 안되는 만성 골수염은 고압 산소기나 휴대용 산소기구를 사용하여 조직관류를 증가시키는 방법을 시도한다. 고압 산소요법은 손상된 조직에 100% 고농도 산소를 투여하여 치유를 촉진하는 것이다. 항생제 치료 및 외과적 변연절제술과 함께 혐기성 감염을 치료하는데 고농도 산소요법이 유용한다.
2) 수술
항생제로 치료가 불충분하고 골수염으로 인한 변형을 최소화 하기 위해 외과적인 시술을 적용한 다.
부골절제술: 괴사된 조직 때문에 치유가 되지 않으면 부골절제술을 통해 감염된 뼈를 제거하고 조직의 혈류를 회복시킨다.
배상성형술: 골수염이 광범위하게 있을 때 시행하여 혈흔 조직, 감염된 육아조직, 부골, 경화골을 철저히 제거한다.
골 이식술: 괴사되거나 감염된 뼈는 흔히 공동을 형성하거나 골기형을 초래한다. 골이식은 괴사된 뼈를 잘라내고 뼈를 이식한 다음 피부를 덮는 방법이다. 가장 흔한 수술은 개방성 해면골 이식술이다. 이는 장골이나 연조직 결손이 있을 때 1차적으로 시행한다. 괴사된 조직을 제거하고 뼈를 이식한 다음 피부를 덮는 4단계 수술방법으로 공여용 뼈는 후상골을 가장 많이 사용한다.
뼈조직이동: 감염된 뼈를 잘라내고 모세혈관이 있는 뼈로 재구성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큰 뼈에 결손이 있을 때 유용하다. 주된 공여 부위는 경골과 장골능이다.
근육판: 상대적으로 뼈의 결손이 적을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1,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3.10.14
  • 저작시기2013.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8565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