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서 론
1. 기존 문학교수법의 문제제기
2. 수용자 중심에서의 예술성인지
II. 문학성과 예술성
1. 문학의 제한
1.1 문학의 한계
2. 문학성과 예술성에 대하여
2.1. 예술성과 오락성의 차이
3. 문학 즉 언어의 특성
3.1. 동 언어 “표면”이 심층
III. 음악적 영상의 특성
1. 음악적 영상의 제한
2. 음악, 영상, 문학의 관련성
3. 이 심층 “ 이 표현”
4. 무의식적인 내면의 표현
4.1. 무의식적 내면의 표현에 가장 대표적인 “상징주의”
4.2 무의식적 내면의 표현인 “비언어 연극”
5. 수용자의 습득과정 비교
IV. 문학교육과의 접목
1. 예술성을 이용한 기존 교육 사례
2. 음악적 영상을 통한 구체적 교육방법
3. 문학과 음악적 영상의 접목과 교육
3.1.멀티미디어를 통한 교육
3.2.경험에의 교육
V. 결 론
1. 열린 사고를 바탕으로 한 다양한 가능성과 앞으로의 과제
2. 수용자 이해를 바탕으로 한 수용자 중심 교육
3. 사회적 심리학적 상황을 바탕으로 본 예술성으로서의 교육의 필요성
1. 기존 문학교수법의 문제제기
2. 수용자 중심에서의 예술성인지
II. 문학성과 예술성
1. 문학의 제한
1.1 문학의 한계
2. 문학성과 예술성에 대하여
2.1. 예술성과 오락성의 차이
3. 문학 즉 언어의 특성
3.1. 동 언어 “표면”이 심층
III. 음악적 영상의 특성
1. 음악적 영상의 제한
2. 음악, 영상, 문학의 관련성
3. 이 심층 “ 이 표현”
4. 무의식적인 내면의 표현
4.1. 무의식적 내면의 표현에 가장 대표적인 “상징주의”
4.2 무의식적 내면의 표현인 “비언어 연극”
5. 수용자의 습득과정 비교
IV. 문학교육과의 접목
1. 예술성을 이용한 기존 교육 사례
2. 음악적 영상을 통한 구체적 교육방법
3. 문학과 음악적 영상의 접목과 교육
3.1.멀티미디어를 통한 교육
3.2.경험에의 교육
V. 결 론
1. 열린 사고를 바탕으로 한 다양한 가능성과 앞으로의 과제
2. 수용자 이해를 바탕으로 한 수용자 중심 교육
3. 사회적 심리학적 상황을 바탕으로 본 예술성으로서의 교육의 필요성
본문내용
문학교육이 더 이상은 획일적이고 단편적인 지식으로 존재하거나, 형식이나 외형으로 인식되는 것에서 벗어나, 다양한 매체를 수용하고 활용해서 다양한 자극과 동기를 유발시키는 쪽으로 진행되어야 하며, 수용자 입장에서 그것이 어떻게 받아들여지고 수용자 내부에서는 어떤 반응들이 있고, 어떤 식으로 심층에 작용하는지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 져야 할 것이다.
2. 수용자 이해를 바탕으로 한 수용자 중심 교육
그리고 수용자 중심으로의 교육을 지향한다고 했을 때, 그 세대(수용자)를 이끌고 있는 시대적 배경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즉 지금 우리가 머물고 있는 현재의 시대- 수용자의 의식에 가장 강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배경을 이해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기존의 시(侍)접근방법으로써, 과거의 시대적. 사회적 배경, 그 시대의 중요한 가치 등의 대략적 설명을 통해 시의 이해 돕는 것과 맥을 같이하면서 좀더 적극적인 방식이라고 말할 수 있다. 그 시대와 문학을 떼어놓고 문학을 이해한다는 것은 그 사람의 뿌리를 모른 채 그 사람을 이해하려는 것과 같이 무의미하고, 수박 겉핥기식의 이해에 불과하다고 밖에 볼 수 없다. 단적인 예로, 1980년대 말에 만들어진 무라카미 하루키의 “상실의 시대”가 2000년에 들어서서 우리나라에서 폭발적인 반응을 보였다. 이것은 무엇을 말하는가? 상실의 시대가 말하고 있는 젊은이들의 상실감, 젊은이의 역할 상실, 무기력 등은 2000년을 살고 있는 우리의 모습과 너무 닮아 있다. 우리나라의 7,80년대 젊은이는 그들의 당당한 명분과 그들의 추구해야할 거대하고 흔들림 없는 목표가 그들 앞에 있었다. 노동운동, 독제권력에 대한 항거, 민중 운동 등 그 시대의 젊은이들의 역할을 실로 커다랗고, 그들의 사회적 위치는 감히 숭고했다라고 까지 말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지금의 우리는 그러한 모든 것을 상실한 채 목표를 잃고, 무기력한 모습이 현재 젊은이의 표상처럼 각인되어져 있다. “상실의 시대”는 시대적인 큰 변혁을 우리들의 모습과 닮은 사소한 일상 속에 담아낸 것이다. 그래서 2000년대를 살고 있는 우리는 그 소설에서 자아를 발견하고, 그 소설에 열광할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즉, 지금을 살고 있는 우리는 고전주의의 기틀이 되며, 지극히 이성을 대표하는 기존의 문학을 형식적인 틀에 의존하여 교수함으로써 지금의 수용자로부터 아무런 감응도 끌어낼 수 없었다고 볼 수 있다. 지금의 시대는 개인적이며, 상상력에 제한을 두지 않으면서 감성에 호소할 수 있는 그런 새로운 매체를 통해 보다 직접적인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3. 사회적 심리학적 상황을 바탕으로 본 예술성으로서의 교육의 필요성
<최근 세계의 심리학계에는 새로운 바람이 불고 있다. 그것은 숨겨진 중독에 관한 것인데 이는 마약이나 알코올등과 같이 물질에 중독 되는 것과 달리 행동에 중독 되는 것을 말하는 것인데 예를 들면 일중독, 색스중독, 쇼핑중독, 로맨틱중독 등을 들 수 있다. 이 같은 물질 중독의 특징은 본인은 정작 그것을 중독이라고 인식하지도 않고 또한 심각하게 받아들이지도 않는다는 것이다. 그리하여 이를 숨겨진 중독이라 말하고 놀라운 것은 현대인중에 숨겨진 중독을 1가지 이상 가지고 있지 않은 사람이 거의 없다는 것이다. 이 같은 숨겨진 중독의 심각성을 인식하지 못 할 수 있으나 이것은 총체적으로 우리의 삶을 쾌락에 물들게 하고 있으며 가치를 무가치로 바꾸어 가고 이런 insane적인 현상들의 반복으로 자기 자신의 가치는 나락에 떨어져버리게 된다.
심리학자 아치볼트하트에 따르면 미국의 10대 4명 중 1명이 심각한 우울증에 시달리고 있으며 10대의 대다수가 삶의 무가치함을 느끼며 최근엔 자해가 성행하고 있다고 한다. 이것은 비단 미국의 문제만은 아니다. 물질 만능 주의와 대중문화 그리고 숨 가쁘게 돌아가는 삶의 패턴 속에 현대인의 현상적인 세계에서만 살아가게 돼버렸다.>
<출처: 아치볼트 하트의 숨겨진 중독>
이런 현상적인 문제점만을 고친다고 해서 결코 총체적인 문제를 해결 할 수 없으며 숨겨진 중독의 근본적인 치유는 영혼의 치유에 있다. 이는 성선설에 입각한 자연으로의 회귀이며 소명과 운명의 깨닭음이다. 소크라테스의 ‘너 자신을 알라’라는 명언도 이와 같은 맥락의 의미로 볼 수 있다. 이런 치유에 과정에 예술이 단연 필수적이다. 왜냐하면 예술의 목적과 예술의 길도 역시 이와 같기 때문이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중, 고등 교육은 이성 교육도 넘어선 단순한 암기식의 교육에 머무르고 있으며 넘쳐나는 과외 활동으로 많은 시간과 노력과 돈이 투자되고 있으나 과연 여기서 근본적 인성교육이 이루어 질 수 있는가? 결코 아니다. 그릇된 가치 안의 어른들의 교육 방침 속에 갈수록 아이들은 각박해 지는 교육환경 속에 인격을 잃어가고 있으며 타인에 대해서도 점점 더 잔인해져 가고 있다. 이러한 환경 속에 서 진정 필요한 것은 그릇된 가치의 암기, 주입식 교육이 아닌 예술성을 바탕으로 한 총체적인 인성교육이다. 인성교육은 주입식 교육으로 결코 이루어 질 수 없으며 이는 가르치는 것보다는 “경험 하는 것”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 이 경험 속에 아이들은 이성적으로 그 경험에 대해 정의 내릴 수는 없지만 그 경험의 감동은 아이들의 영혼에 평생의 추억과 향기로 남게 되며 이러한 경험 속에서 자신의 진정한 가치를 발견 하게 되고 그 안에서 진정한 충만함을 느끼게 되는 것이다.
이 “경험의 교육”엔 예술성과 자연이 함께 할 것이다. 기존의 교육에서 각각의 학문을 타 학문과 분리 한 채 근본적 통찰 없이 주입하기에 그쳤지만 멀티미디어(음악적 영상으로 문학을 교육하기)를 이용한 총체적 교육으로 지식의 교육인 아닌 인격의 교육이 이루어지리라 믿는 바이다.
<참고자료>
<영상문화학을 위하여 이미지는 어떻게 살고 있는가> 영상문화학회
논문<영상음악의 감상> 김 현 종
<숨겨진 중독> 아치볼트 하트
화가명 : 고야(Francisco Goya)
작품명 : 파라솔 The Parasol
제작년도 : 1777
작품재료 : 캔버스에 유채
작품크기 : ***
소장위치 : Museo del Prado, Madrid
작품설명 :
2. 수용자 이해를 바탕으로 한 수용자 중심 교육
그리고 수용자 중심으로의 교육을 지향한다고 했을 때, 그 세대(수용자)를 이끌고 있는 시대적 배경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즉 지금 우리가 머물고 있는 현재의 시대- 수용자의 의식에 가장 강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배경을 이해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기존의 시(侍)접근방법으로써, 과거의 시대적. 사회적 배경, 그 시대의 중요한 가치 등의 대략적 설명을 통해 시의 이해 돕는 것과 맥을 같이하면서 좀더 적극적인 방식이라고 말할 수 있다. 그 시대와 문학을 떼어놓고 문학을 이해한다는 것은 그 사람의 뿌리를 모른 채 그 사람을 이해하려는 것과 같이 무의미하고, 수박 겉핥기식의 이해에 불과하다고 밖에 볼 수 없다. 단적인 예로, 1980년대 말에 만들어진 무라카미 하루키의 “상실의 시대”가 2000년에 들어서서 우리나라에서 폭발적인 반응을 보였다. 이것은 무엇을 말하는가? 상실의 시대가 말하고 있는 젊은이들의 상실감, 젊은이의 역할 상실, 무기력 등은 2000년을 살고 있는 우리의 모습과 너무 닮아 있다. 우리나라의 7,80년대 젊은이는 그들의 당당한 명분과 그들의 추구해야할 거대하고 흔들림 없는 목표가 그들 앞에 있었다. 노동운동, 독제권력에 대한 항거, 민중 운동 등 그 시대의 젊은이들의 역할을 실로 커다랗고, 그들의 사회적 위치는 감히 숭고했다라고 까지 말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지금의 우리는 그러한 모든 것을 상실한 채 목표를 잃고, 무기력한 모습이 현재 젊은이의 표상처럼 각인되어져 있다. “상실의 시대”는 시대적인 큰 변혁을 우리들의 모습과 닮은 사소한 일상 속에 담아낸 것이다. 그래서 2000년대를 살고 있는 우리는 그 소설에서 자아를 발견하고, 그 소설에 열광할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즉, 지금을 살고 있는 우리는 고전주의의 기틀이 되며, 지극히 이성을 대표하는 기존의 문학을 형식적인 틀에 의존하여 교수함으로써 지금의 수용자로부터 아무런 감응도 끌어낼 수 없었다고 볼 수 있다. 지금의 시대는 개인적이며, 상상력에 제한을 두지 않으면서 감성에 호소할 수 있는 그런 새로운 매체를 통해 보다 직접적인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3. 사회적 심리학적 상황을 바탕으로 본 예술성으로서의 교육의 필요성
<최근 세계의 심리학계에는 새로운 바람이 불고 있다. 그것은 숨겨진 중독에 관한 것인데 이는 마약이나 알코올등과 같이 물질에 중독 되는 것과 달리 행동에 중독 되는 것을 말하는 것인데 예를 들면 일중독, 색스중독, 쇼핑중독, 로맨틱중독 등을 들 수 있다. 이 같은 물질 중독의 특징은 본인은 정작 그것을 중독이라고 인식하지도 않고 또한 심각하게 받아들이지도 않는다는 것이다. 그리하여 이를 숨겨진 중독이라 말하고 놀라운 것은 현대인중에 숨겨진 중독을 1가지 이상 가지고 있지 않은 사람이 거의 없다는 것이다. 이 같은 숨겨진 중독의 심각성을 인식하지 못 할 수 있으나 이것은 총체적으로 우리의 삶을 쾌락에 물들게 하고 있으며 가치를 무가치로 바꾸어 가고 이런 insane적인 현상들의 반복으로 자기 자신의 가치는 나락에 떨어져버리게 된다.
심리학자 아치볼트하트에 따르면 미국의 10대 4명 중 1명이 심각한 우울증에 시달리고 있으며 10대의 대다수가 삶의 무가치함을 느끼며 최근엔 자해가 성행하고 있다고 한다. 이것은 비단 미국의 문제만은 아니다. 물질 만능 주의와 대중문화 그리고 숨 가쁘게 돌아가는 삶의 패턴 속에 현대인의 현상적인 세계에서만 살아가게 돼버렸다.>
<출처: 아치볼트 하트의 숨겨진 중독>
이런 현상적인 문제점만을 고친다고 해서 결코 총체적인 문제를 해결 할 수 없으며 숨겨진 중독의 근본적인 치유는 영혼의 치유에 있다. 이는 성선설에 입각한 자연으로의 회귀이며 소명과 운명의 깨닭음이다. 소크라테스의 ‘너 자신을 알라’라는 명언도 이와 같은 맥락의 의미로 볼 수 있다. 이런 치유에 과정에 예술이 단연 필수적이다. 왜냐하면 예술의 목적과 예술의 길도 역시 이와 같기 때문이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중, 고등 교육은 이성 교육도 넘어선 단순한 암기식의 교육에 머무르고 있으며 넘쳐나는 과외 활동으로 많은 시간과 노력과 돈이 투자되고 있으나 과연 여기서 근본적 인성교육이 이루어 질 수 있는가? 결코 아니다. 그릇된 가치 안의 어른들의 교육 방침 속에 갈수록 아이들은 각박해 지는 교육환경 속에 인격을 잃어가고 있으며 타인에 대해서도 점점 더 잔인해져 가고 있다. 이러한 환경 속에 서 진정 필요한 것은 그릇된 가치의 암기, 주입식 교육이 아닌 예술성을 바탕으로 한 총체적인 인성교육이다. 인성교육은 주입식 교육으로 결코 이루어 질 수 없으며 이는 가르치는 것보다는 “경험 하는 것”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 이 경험 속에 아이들은 이성적으로 그 경험에 대해 정의 내릴 수는 없지만 그 경험의 감동은 아이들의 영혼에 평생의 추억과 향기로 남게 되며 이러한 경험 속에서 자신의 진정한 가치를 발견 하게 되고 그 안에서 진정한 충만함을 느끼게 되는 것이다.
이 “경험의 교육”엔 예술성과 자연이 함께 할 것이다. 기존의 교육에서 각각의 학문을 타 학문과 분리 한 채 근본적 통찰 없이 주입하기에 그쳤지만 멀티미디어(음악적 영상으로 문학을 교육하기)를 이용한 총체적 교육으로 지식의 교육인 아닌 인격의 교육이 이루어지리라 믿는 바이다.
<참고자료>
<영상문화학을 위하여 이미지는 어떻게 살고 있는가> 영상문화학회
논문<영상음악의 감상> 김 현 종
<숨겨진 중독> 아치볼트 하트
화가명 : 고야(Francisco Goya)
작품명 : 파라솔 The Parasol
제작년도 : 1777
작품재료 : 캔버스에 유채
작품크기 : ***
소장위치 : Museo del Prado, Madrid
작품설명 :
추천자료
[디지털컨텐츠][디지털방송]디지털컨텐츠, 디지털방송 개념, 디지털컨텐츠, 디지털방송 특성,...
[인터넷방송][인터넷방송프로그램][온라인방송][인터넷방송정책]인터넷방송의 개념, 인터넷방...
온라인신문(인터넷신문)의 배경 및 유형, 온라인신문(인터넷신문)의 특성, 온라인신문(인터넷...
[IMT-2000][동기식][비동기식]IMT-2000의 정의, IMT-2000의 목표, IMT-2000의 특성, IMT-2000...
전자책(전자출판, e-book)의 의미와 특성, 전자책(전자출판, e-book)의 장점, 전자책(전자출...
[원격교육][원격화상교육][미국의 원격교육 사례]원격교육의 정의, 원격교육의 특성, 원격교...
웹캐스팅(인터넷방송)의 정의, 웹캐스팅(인터넷방송) 종류, 웹캐스팅(인터넷방송) 특성, 웹캐...
[음악][음악활동][음악적 기능][음악적 활동중심학습][음악적 공간][음악적 기능][음악적 상...
인터넷방송(웹캐스팅)의 정의, 인터넷방송(웹캐스팅) 분류, 인터넷방송(웹캐스팅) 특성, 인터...
[N-Screen]N-Screen(멀티스크린) 서비스의 개념과 특성 및 부상 배경, N스크린 시장 현황 및 ...
(A+평가 레포트)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의 개념과 특성과 시장 현황 및 활용
[방통대 전학과 1학년 언어의 이해 D형] 언어기호의 특성을 설명하시오.
문화산업 클러스터 (미국의 할리우드) 영화산업 클러스터의 정의와 가치, 영화산업 클러스터...
대중매체와 언어- 자막의 언어,방송자막의 정의,교양프로그램,방송 자막의 특성과 기능,시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