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과문명 (지중해의생태계,선사시대)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환경과문명 (지중해의생태계,선사시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없음

본문내용

시대에 네안데르탈인이 그 지역을 차지하고 있었다. 네안데르탈인은 돌을 다듬는 기술을 현격하게 발전 시켰다. 원하는 모양을 얻기 위해서 때리는 각을 조절해야 하는 사실을 깨달았기 때문이다. 이때부터 죽은 시체를 땅에 묻는 풍습이 처음으로 시작되었다. 이런 풍습은 종교적 의식이 벌써 존재하고 있었고, 사람들이 죽음과 사후세계에 대해 생각하는 능력을 가졌다는 증거일 수 있다. 그러나 지중해에서 큰 영향을 가지던 네안데르탈인은 기원전 4만 년경 자취를 감추었다. 이른바 뷔름 빙기 뷔름 빙기 : 유럽 알프스 산맥지역의 후기 홍적세 퇴적층 및 그 시대의 주요구분단위, 리스-뷔름 간빙기 후의 시대로, 북유럽의 바익셀 빙기 및 북아메리카의 위스콘신 빙기에 대비된다.
라 일컬어지는 마지막 추위와 더불어 닥친 대규모 지각변동 때문이었다. 또 다른 원인은 적은 수에 있다고 할 수 있다. 네안데르탈인은 뿔뿔이 흩어져 있었다. 그들끼리 관계를 맺고, 그 방법이 무엇인지는 정확히 알 수 없지만 무력을 사용해 서로 죽이는 과정에서 다른 인간이 득세 하게 되었고, 모든 지역에서 네안데르탈인을 대신했다. 그들이 바로 우리의 조상인 호모 사피엔스이다. 10만 년 전에 호모사피엔스는 유럽과 지중해에 동시에 나타난 것이다.
2)신석기 시대
구석기 시대에서 신석기 시대로 넘어가는 전환기에 빙하기가 지나고 다시 기후가 따뜻해졌다. 따뜻해진 기후로 사람들은 농사를 하게 되었다. 인간들이 무엇 때문에 농사를 짓기 시작했는지에 대해서는 명확하지 않지만 리차드 리가 1968년에 펴낸 책에서 수렵, 채집사회 야 말로 원천적으로 풍요로운 사회이며 농경은 불가피한 선택이라고 주장한다. 기온이 상승하면서 각종 먹을거리가 번성하였고, 인구도 증가 하게 되었다. 하지만 수렵이나 채집을 통해서는 식량공급이 인구 증가율을 따라잡지 못하였으므로 농경을 통해 이를 해결하려 했다는 것이다.
이와 같이 사람들이 농경을 시작하게 되자 더 이상 이동할 필요가 없었다. 또한 이동을 하기위해 규모가 작았던 무리가 농경을 하기위해 많은 인구가 필요하게 되어 마을이 형성되었다. 보통 강가나 해안가에 정착하여, 한곳에 정착하여 살 수 있는 집을 지었다. 불을 피우는 화덕을 갖춘 움집에서 주로 살았는데 가장 원시적인 초가집이라 할 수 있다. 이 시대의 집은 대부분 땅이나 조개더미를 30cm~1m정도 파고 지은 반 지하 주택으로 땅을 판 것은 추위를 피하기 위해서였다. 사회가 커지기 시작하면서 우두머리가 필요하게 되었다. 하지만 지배자나 권력자가 아니라 평등하게 단지 사람들을 중재해줄 뿐이었다.
신석기 때는 돌을 갈아 만든 간석기를 사용했다. 간석기는 뗀석기 보다 더 날카롭고 성능이 좋았다. 그러나 전 기간을 간석기로 사용한 것은 아니다. 석기의 용도와 기능에 따라 적절히 제작 방법을 달리하여 뗀석기와 간석기를 썼다. 이제 그들은 자신이 원하는 대로 돌을 갈아 만들 수 있었다. 또한 뗀석기보다 만들 수 있는 도구도 더 다양해 졌다. 이제 단순한 용도를 뛰어넘어 본격적인 노동도구와 생활용구로 바뀌었다. 사람들은 도구를 어로용, 수렵용, 농경용, 일상생활용으로 다양하게 만들었다.
또한 신석기 시대는 토기를 사용한다. 자연 상태에 존재하는 것을 다듬는 것이 아니라 자신들이 주무르고 만들어 새로운 것을 만들기 시작한 것이다. 사람들은 곡식이나 열매를 토기에 넣어 저장하기 시작했다.
신석기 시대에는 역사상 최초의 종교라 할 만한 원시 신앙, 원시적 종교 관념으로 애니미즘, 토테미즘, 샤머니즘, 영혼숭배, 우상숭배 등이 발생한다. 원시 신앙의 발생은 농업의 발생과 이에 따른 정착 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농업과 정착 생활은 채취, 수렵과 이에 따른 이동생활에 비해 인간과 자연 사이의 관계를 훨씬 긴밀하게 만든다. 즉, 자연 현상의 변화가 농업과 관련이 있기 때문에 자연현상을 잘 관찰해야 하는 것이다. 그러나 자연 현상을 자신들의 낮은 지식으로 이해하는 것은 불가능 하였기에 주위의 자연과 사물, 자연계에서 일어나는 여러 현상에 신비적인 관념과 표상의 외피를 씌우기 시작한다. 이것이 원시 신앙, 원시적 종교 관념에 토대가 된 것이다.
2.선사시대의 지중해의 기후
지중해는 빙하가 직접적으로 영향을 끼치지 못한다. 간접적으로 그린란드와 남극 대륙의 빙하들의 확장과 축소가 큰 영향을 끼친다. 빙하가 확장될 때(전진기)는 차가운 땅덩어리와 극지방의 한랭전선이 지중해를 향해 남쪽으로 이동한다는 뜻으로 이때 바다의 수온은 낮아진다. 동시에 북쪽의 차가운 공기도 대서양의 저기압을 지중해 쪽으로 이동시켰다. 폭우가 오랫동안 계속되면서 기온은 더 낮아진다. 따라서 빙하가 다시 북쪽으로 물러날 때(후퇴기)는 상대적으로 따뜻한 건기가 찾아왔겠지만 지중해는 혹독한 추위를 동반한 우기를 겪을 수밖에 없었다.
3.정리 -역사시대의 시작
문자 발생이후 인류의 과거는 크게 나누어 선사시대와 역사시대의 둘로 구분할 수 있다. 선사시대는 위에서 언급했던 것과 같이 글이 쓰여 지기 전 시대로 그 시대의 유물이나 유적지등으로 추측하여 삶의 방식을 알아낸다. 하지만 실제 사건을 보지는 못했기 때문에 역사가의 사적인 생각이 들어갈 수 있어 객관성이 부족하다. 역사시대는 글로 쓰여진 시대이기 때문에 그 시대의 사건이나 생활 방식을 선사시대에 비해 비교적 알기가 쉽다. 그러나 글도 전해 오는 과정에서 왜곡되고 훼손되기 때문에 잘 선별하여 받아들여야 한다.
참고자료
지중해 in blue - 쥴리&져스틴 trans by 김익중
지중해에서 신화를 만나다 - 김주노
세계문화지리 The Human Masoic - 테리조든-비치코프, 모나 도모시 trans by 류제헌.
세계의 바다와 해양 생물 - 김기태
브리태니커 vol 20
세상에서 가장 재미있는 세계지도- 재미있는 지리학회 trans by 박영난
지중해의 역사 - 장 카르팡티에, 프랑수아 르브룅 trans by 강민정, 나선희
Library of nation ITALY -데니스 맥 스미스, 존 헤이크래프트 trans by 장재국
Library of nation SPAIN -데니스 맥 스미스, 존 헤이크래프트 trans by 장재국
매혹의 그리스
  • 가격1,4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3.10.22
  • 저작시기2014.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8724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