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없음
본문내용
택에 대한 재산분할청구권을 행사할 수 있으며, 주택 매입시에 1억 5천만원 보증에 있어서, 이혼을 하더라도 甲의 연대보증인으로서의 책임을 지게 된다. 그러나 만약 이혼 후에 연대 보증인으로서의 책임을 져 甲의 채무를 모두 갚아 주었을 경우에는 보증인으로서의 구상권을 행사하여 이혼한 甲을 상대로 대신 변제한 금액의 반환을 청구할 수는 있을 것이다. 또한 친권자 지정에 있어서 우선적으로 甲1甲2는 각각 성인과 15세 이상으로서, 그들의 의사를 물어보아 친권자를 정함에 앞서 적극 반영하여야 하고, 甲3은 미성년자로 협의가 최우선이나 만일 협의가 되지 않을시 법원에서는 자녀의 나이, 부모의 재산상황, 기타 사정을 참작하여 부모 중 누가 아이를 위해 더 좋은지를 판단하여 ‘직권’ 또는 당사자의 청구에 따라 친권자를 지정하게 된다. 그리하여 만일 처 乙이 甲1甲2甲3 모두의 친권자가 되고 양육자가 된다면, 甲은 乙에게 양육비를 지급하여야 하고, 지급하지 않을시 乙은 甲에게 양육비 청구권을 갖는다. 이 경우 甲의 양육비 지급에 있어서 甲1에 대하여서는 만20세 이상으로 양육비를 지급하지 않아도 되나 미성년자인 甲2 甲3에 대하여서는 양육비를 지급을 하여야 한다. 또한 장차 받게 될 퇴직연금도 재산분할청구권의 대상이 되는지의 여부는 후 수령할 퇴직연금은 그 금액을 확정할 수 없으므로, 이를 재산분할청구권의 대상에 포함시킬 수는 없으나, 반대로 이미 퇴직금을 수령한 후 이혼을 하게 될 경우에는 이미 퇴직금의 금액이 확정되어있고, 그 수령액 또한 명시 되어 있으므로, 이 경우 퇴직연금은 재산분할 청구의 대상이 될 수 있다.
추천자료
주택 임대차 보호법 - 임대차의 정의, 특별법, 대항력, 상가임대차 대비표
미국의 친자법과 혼외자와 양자에 대한 견해
아세아제국의 혼인법 비교연구
강의식 교수법
가정폭력 관련법
아동복지론 이혼가정
[한국정치와법] 낙천 낙선운동 어떻게 볼 것인가
중국의 가족과 가족법
국민연금개정안의 쟁점, 주요내용과 문제점 개선방안
부부공동재산제에 대한 현행법 및 문제점에 대한 찬반의견과 나의의견 - 부부재산제, 부부공...
우리나라 가족복지 관련법
재해구호정책의 역사적 전개와 주요내용
게임셧다운제(신데렐라법) 찬반정리
문학적 접근법 활동계획안(만5세) - 동화 '친구를 데려가도 될까요'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