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인터넷과 정보이용
2. 정보제공 매체로서의 인터넷
3. 전자도서관의 등장
3.1. 도서관 이용의 변화
3.2. 전자도서관을 이용하는 학생실태
Ⅲ. 결론
Ⅳ. 참고문헌
Ⅱ. 본론
1. 인터넷과 정보이용
2. 정보제공 매체로서의 인터넷
3. 전자도서관의 등장
3.1. 도서관 이용의 변화
3.2. 전자도서관을 이용하는 학생실태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좋은 것 같아. 이번 주는 과제 때문에 해외DB를 다루어서 그 쪽을 좀 많이 이용했어. 우리학교에서 구독중인 DB는 전자도서관을 통해 접근할 수 있으니까.
우리 도서관에 찾는 책이 있는지 그리고 이용가능한지 검색하는 걸 자주하고, 도서 관에서 구비하지는 않지만 읽고 싶은 책이 있을 때는 희망도서신청란을 가끔씩 이용 하지. 거의 대부분은 소장하고 있어서 신간도서가 나올 때만 하는 편이야. 방학 때는 사이버학습에서 제공하는 어학강좌나 뿌리한자학습을 좀 사용했는데 지금은 학기중이라 볼 시간이 없어.
난 공대여서 도서관하고 가까우니까 전자도서관사용도 도서관내에서 검색해. 과제가 많아서 자주 가는데 전자도서관은 그냥 소장자료 검색하고 언제 반납예정일인지 살펴보는 정도? 그리고 반납이 늦어서 연체할 것 같으면 도서연장신청을 자주 해.
위와 같이 간단하게나마 학생들이 전자도서관을 어떻게 이용하고 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주로 쓰이는 기능과 이용현황을 알 수 있었다. 대부분의 학생들이 주로 도서관이 소장중인 자료검색이나 대출정보, 대출연장 등을 하거나 가끔씩 전자 자료가 필요할 때나 그 사용도가 미약하지만 자기학습계발을 위해 사이버 학습을 이용하는 정도였다.
Ⅲ. 결론
- 컴퓨터의 보급과 함께 급증한 인터넷의 활용으로 인해 생겨난 전자도서관의 목적과 기능, 그리고 사용되고 있는 모습을 간단하게나마 조사해보았다. 물론 그 이용현황을 알기 위한 인터뷰 연구대상이 소수여서 전북대 학생들의 정확한 이용실태는 알 수 없지만 인터뷰한 학생들이 주로 사용하는 기능을 통해 어느 정도 추리가 가능하리라고 생각한다.
인터넷의 발달로 인한 정보량의 급증과 함께, 그 중에서도 신뢰성 있고 출처가 분명한 정보를 탐색하고 정보로서 이용가치가 높은 자료인지를 판별하며 이를 요구하는 이용자에게 제공해야 하는 사서들의 역할이 커졌다. 여기에 그와 함께 등장한 전자도서관의 활용도와 기능을 통해 앞으로 나아가야할 현 도서관의 미래도 조금씩은 잡혀나가고 있지 않나 하는 기대도 든다.
이번에는 인류학적 조사라는 생소한 조사방법을 통해 과제를 해야 했기 때문에 고민도 많이 하고 준비도 많이 해야 했는데 그 내용이 좀 부족한거 같아 다소 아쉽다. 그렇지만 지금의 경험이 다음을 준비할 때는 더욱 충실하게 임할 수 있는 튼튼한 기초가 될 것이다.
【 참고문헌 】
◎ 시사저널,
“신문이여, ‘회춘’을 하라 ”
2007.10.2
◎ 박준식,「정보서비스론」, 2007
우리 도서관에 찾는 책이 있는지 그리고 이용가능한지 검색하는 걸 자주하고, 도서 관에서 구비하지는 않지만 읽고 싶은 책이 있을 때는 희망도서신청란을 가끔씩 이용 하지. 거의 대부분은 소장하고 있어서 신간도서가 나올 때만 하는 편이야. 방학 때는 사이버학습에서 제공하는 어학강좌나 뿌리한자학습을 좀 사용했는데 지금은 학기중이라 볼 시간이 없어.
난 공대여서 도서관하고 가까우니까 전자도서관사용도 도서관내에서 검색해. 과제가 많아서 자주 가는데 전자도서관은 그냥 소장자료 검색하고 언제 반납예정일인지 살펴보는 정도? 그리고 반납이 늦어서 연체할 것 같으면 도서연장신청을 자주 해.
위와 같이 간단하게나마 학생들이 전자도서관을 어떻게 이용하고 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주로 쓰이는 기능과 이용현황을 알 수 있었다. 대부분의 학생들이 주로 도서관이 소장중인 자료검색이나 대출정보, 대출연장 등을 하거나 가끔씩 전자 자료가 필요할 때나 그 사용도가 미약하지만 자기학습계발을 위해 사이버 학습을 이용하는 정도였다.
Ⅲ. 결론
- 컴퓨터의 보급과 함께 급증한 인터넷의 활용으로 인해 생겨난 전자도서관의 목적과 기능, 그리고 사용되고 있는 모습을 간단하게나마 조사해보았다. 물론 그 이용현황을 알기 위한 인터뷰 연구대상이 소수여서 전북대 학생들의 정확한 이용실태는 알 수 없지만 인터뷰한 학생들이 주로 사용하는 기능을 통해 어느 정도 추리가 가능하리라고 생각한다.
인터넷의 발달로 인한 정보량의 급증과 함께, 그 중에서도 신뢰성 있고 출처가 분명한 정보를 탐색하고 정보로서 이용가치가 높은 자료인지를 판별하며 이를 요구하는 이용자에게 제공해야 하는 사서들의 역할이 커졌다. 여기에 그와 함께 등장한 전자도서관의 활용도와 기능을 통해 앞으로 나아가야할 현 도서관의 미래도 조금씩은 잡혀나가고 있지 않나 하는 기대도 든다.
이번에는 인류학적 조사라는 생소한 조사방법을 통해 과제를 해야 했기 때문에 고민도 많이 하고 준비도 많이 해야 했는데 그 내용이 좀 부족한거 같아 다소 아쉽다. 그렇지만 지금의 경험이 다음을 준비할 때는 더욱 충실하게 임할 수 있는 튼튼한 기초가 될 것이다.
【 참고문헌 】
◎ 시사저널,
“신문이여, ‘회춘’을 하라 ”
2007.10.2
◎ 박준식,「정보서비스론」, 2007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