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과학] 일본 종교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인문과학] 일본 종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에 불과하다. 그러면서도 많은 자연들이 신격화되는 점에서 한국의 샤머니즘과 유사하여 영국의 일부 종교학자들은 일본의 신은 한국에서 유래한 것으로 말하기도 한다. 일본인들은 태양의 신을 최고의 신으로 존경하는데 이것은 중국이나 이집트처럼 태양을 중시하는 사상에서 나온 것이다.흥미로운 사실은 일반적으로 태양신은 남성 신인데 반해 일본의 태양신은 여성신이라는 점이다.
6. 신도의 특징
(1) 신도는 교주도, 체계화된 교리도, 경전도 없는 의식 중심의 종교이자 생활 속에 내재된 종교이다. 일본인의 생활에서 신도는 절대적으로 영향력을 미치며 결혼이나 출산, 이사, 집을 지을 때 등 신도의식은 필수적이다.
(2) 신도는 윤리 강령이 없는 종교이지만 윤리강령을 가진 힌두교, 불교, 회교보다도 더 윤리의식이 강하고 근면성, 친절성, 정직성, 단결심, 책임성 등이 투철한 종교이다.
(3) 신도는 혼합주의 종교로서 다신론적이다. 샤머니즘을 바탕으로 하여 높은 신과 낮은 신이 있고 유일신 개념은 없다.
(4) 신도는 많은 신을 말하고 있지만 신으로부터 계시가 없는 허황된 신화에 기초하고 있다.
(5) 신도는 일본이라고 하는 국가의 정체성과 운명을 결정하는데 기여한 민족종교이다. 따라서 정교의 분리가 불가능하며, 이것은 일본인들을 비종교적이면서도 동시에 가장 종교적인 국민이 되게 하였다. 즉, 신도는 일본이라고 하는 거대한 하나의 공동체를 형성하는데 기여한 종교인 것이다.
(6) 신도는 일본국가의 정체성을 확립하여 주는 배타적 민족종교이기 때문에 선교 부재의 종교이다. 신도는 사상자체가 일본민족은 태양여신의 백성이라는 배타적 사상으로 인하여 다른 민족에게 전도한다는 것은 불가능하고 다른 민족을 일본화하기 위한 정복적 입장에서만이 선교가 있을 뿐이다.
(7) 신도는 위에서 밑으로의 종교이며 그러면서도 밑으로부터의 저항은 적은 역사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종교는 소외되는 계층의 사람들이 현세에서의 박탈감과 불안감과 갈등을 종교에서 위로와 해결을 추구하려 하기 때문에 서민층에서 성장 발전하는 것이 보통이다. 신도의 예언자들은 기독교에서의 선지자들처럼 하나님께 돌아가라는 회개의 메시지를 외친 것이 아니라 개인의 구원과 일본의 국가의 영광이 중심이 된다. 개인의 구원도 현세적 축복과 번영이 주 관심사인 것이다.
7. 신도와 일상생활
현재 신사는 일본 전국에 8만 군데가 있고, 신도 수는 1억 명이 넘어 전체 인구의 90%에 이른다. 하쓰모데나 결혼식 같은 때는 신사에 가는 사람이 많고 현대적인 호텔 안에도 결혼식을 위해 자그마한 신사가 만들어져 있어, 그 곳에서 신주가 축사를 읽어 준다.
8. 신도의 문제점과 한계
(1) 신도를 기초로 하는 소위 일본주의는 일본 국민들에게 세계에 유래 없는 애국심을 심어주었다. 1차 대전 때 카미카제 특공대가 항복하기 보다는 나라를 위하여 자결한 것은 이러한 일본인들의 애국심을 잘 반영한다. 그러나 과거 제국주의 시절 일본인들의 애국심은 너무나 배타적이어서 오늘날도 극우세력의 사상이나 행동은 주변 국가들의 경계대상이 되고 있다. 특히, 태양신 숭배 사상은 일본 자체를 신격화함으로 편협하고도 배타적이며, 공격적인 민족주의의 요인이 된다.
(2) 신도는 혼합주의 종교로서, 다신론이며 범신론적이어서 신과 인간 사이에 연속성이 있다. 아울러 인격적 신 개념이 없기 때문에 신앙의 심오한 체험이 결여된다. 신도는 인간과 국가의 유익을 위하여 만들고 발전시킨 종교적 실용주의이다. 실용주의란 인간의 편의를 위하여 종교를 이용하는 것이므로 사람이 종교를 이용할 경우 새로운 이기주의와 요행주의를 조장시킨다.
(3) 신도는 도덕적 이상이나 윤리가 없기 때문에 숭고한 사랑의 동기에 기초한 윤리 행동이 결여되어 있다. 일본인들이 근면하고 정직한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현재 일본의 고민은 공중도덕과 정직은 다른 나라보다 앞섰지만 성(性)윤리의 부재가 심각하다. 성 윤리의 부재는 결국 가정의 파괴를, 가정의 파괴는 사회의 위기를 초래한다. 이 점에서 일본은 경제 대국에 걸 맞는 도덕률이 없어서 국제적 차원에서 봉사나 사랑의 행동이 없다는 것은 이미 국제 정치에서 나타나고 있다.
(4) 신도는 개인 인권 부재의 종교이다. 신도는 개인의 번영과 복을 신에게 빌지만 실제로 국가를 위하여 존재하는 종교이지, 개인의 인권과 존엄성을 말하지 않는다.
Ⅲ. 신사
1. 개념
신사(神社)는 말 그대로 신(神)을 모셔둔 곳이다. 여기서 신은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하느님과 같은 절대, 유일의 존재가 아닌 다신(多神)들 중에 하나이다. 신은 일반 사람도 될 수 있다. 보통 교회 같은 예배를 하기 위한 예배당이나 가르침을 알리기 위한 곳과는 의미가 다르다. 현재 신사는 참배용이나 결혼식용으로 만들어진 곳이 많으나, 원래의 신사는 \'신이 머무르고 있는 장소, 신을 축복하기 위한 장소\'로서의 의미가 강하다.
본래 신사는 숲을 뜻하는 ‘모리’라고 불리어 우리가 ‘절’ 하면 산을 떠올리듯이, 일본인은 어릴 때부터 ‘신사’하면 숲을 연상하면서 자란다. 실제로 일본 어디를 가든 숲에 둘러싸인 신사를 볼 수 있다. 최근에는 도심과 같은 곳의 토지문제로 인해 건물의 옥상에 신사를 만들기도 한다.
2. 신사에 대한 여러 호칭
(1) 신궁(神宮)
황실과 관계가 있는 가미를 모신 신사
(2) 대사(大社)
옛날 신사의 사격을 대중소로 나누었을 때 대사 자격을 받았던 신사
(3) 사(社)
큰 신사로부터 제신을 권청받아 소규모로 모시는 신사
3. 신사의 명칭
(1)토리이 鳥居(とりい)
토리이는 2개의 수직 기둥과 2개의 수평 대들보를 조합한 문으로, 신사의 정면에 반드시 세워져 있다. 도리이는 나무로 된 것이 일반적이지만, 때때로 돌이나 청동으로 만든 것도 있다. 히로시마의 미야지마에 있는 이쓰쿠시마 신사의 붉은 도리이는 바다 가운데에 서 있는 것으로 유명하며 세계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어있다. 교토에 있는 이나리 신사에는 작은 도리이를 연속적으로 세운 아치형 길이 끝없이 이어져 있다.
(2) 시메나와 注連繩 (しめなわ)
시메나와는 짚으로 만든 두꺼운 새끼줄에 몇 가닥의 흰 종이가락을 늘어뜨린 것이다. 옛날에는 시메나와에 악령을
  • 가격2,0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13.10.28
  • 저작시기2013.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8878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