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목차
Ⅰ. 서론
1. 선정동기
2. 조사방향
Ⅱ. 기업소개
1. 농심
2. 주요 연혁
3. 해외 현지법인 현황
4. 현 기업 재무상황 및 주가
(1) 요약손익계산서
(2) 주요재무지표
(3) 현재주가
Ⅲ. 해외시장으로 눈을 돌리다.
1. 국내시장에서의 농심 위치 및 점유율
2. 국내시장 환경분석 - 국내 경쟁업체 비교분석
3. 한정적 국내 시장에서의 국내수요 하락
Ⅳ. 농심, 중국진출
1. 거시적 환경
(1)정치적 환경
(2)경제적 환경
(3)사회․문화적 환경
(4)법률적 환경
2. 시장 환경
(1)라면 시장 변화 추이
(2)라면 시장 규모
(3)최근 라면 시장 동향
(4)중국 라면 시장 경쟁상황
3. 소비자분석
(1)중국 라면 시장 소비자 특성
(2)중국 라면 시장 소비자 선호 브랜드
(3)중국 라면 시장 소비자 특성 변화
Ⅴ. 캉스푸
1. 캉스푸의 기업소개 및 진출 배경
2. 캉스푸의 전략과 분석
(1) SWOT 분석
(2) 4P 전략
(3) 캉스푸의 지역별 대응 전략
3. 캉스푸의 중국시장 성공요인 및 마케팅 전략
(1) 중국시장 성공요인
(2) 마케팅 전략
4. 현황 및 성과
Ⅵ. 농심
1.농심의 중국 진출 배경과 과정
(1) 진출배경
(2) 진출과정
2. 농심의 전략과 분석
(1) SWOT 분석
(2) 4P 전략
(3) STP 전략
3. 농심의 중국시장 성공요인 및 현지화전략
(1) 중국시장 성공요인
(2) 현지화 전략
4. 농심과 캉스푸의 전략 비교
(1) 제품 전략 측면
(2) 가격 전략 측면
(3) 유통 전략 측면
(4) 촉진 전략 측면
5. 중국 시장 현황 및 전망
(1) 중국 시장 현황
(2) 중국 시장 향후 전망
Ⅷ. 결론 및 나의의견
1. 선정동기
2. 조사방향
Ⅱ. 기업소개
1. 농심
2. 주요 연혁
3. 해외 현지법인 현황
4. 현 기업 재무상황 및 주가
(1) 요약손익계산서
(2) 주요재무지표
(3) 현재주가
Ⅲ. 해외시장으로 눈을 돌리다.
1. 국내시장에서의 농심 위치 및 점유율
2. 국내시장 환경분석 - 국내 경쟁업체 비교분석
3. 한정적 국내 시장에서의 국내수요 하락
Ⅳ. 농심, 중국진출
1. 거시적 환경
(1)정치적 환경
(2)경제적 환경
(3)사회․문화적 환경
(4)법률적 환경
2. 시장 환경
(1)라면 시장 변화 추이
(2)라면 시장 규모
(3)최근 라면 시장 동향
(4)중국 라면 시장 경쟁상황
3. 소비자분석
(1)중국 라면 시장 소비자 특성
(2)중국 라면 시장 소비자 선호 브랜드
(3)중국 라면 시장 소비자 특성 변화
Ⅴ. 캉스푸
1. 캉스푸의 기업소개 및 진출 배경
2. 캉스푸의 전략과 분석
(1) SWOT 분석
(2) 4P 전략
(3) 캉스푸의 지역별 대응 전략
3. 캉스푸의 중국시장 성공요인 및 마케팅 전략
(1) 중국시장 성공요인
(2) 마케팅 전략
4. 현황 및 성과
Ⅵ. 농심
1.농심의 중국 진출 배경과 과정
(1) 진출배경
(2) 진출과정
2. 농심의 전략과 분석
(1) SWOT 분석
(2) 4P 전략
(3) STP 전략
3. 농심의 중국시장 성공요인 및 현지화전략
(1) 중국시장 성공요인
(2) 현지화 전략
4. 농심과 캉스푸의 전략 비교
(1) 제품 전략 측면
(2) 가격 전략 측면
(3) 유통 전략 측면
(4) 촉진 전략 측면
5. 중국 시장 현황 및 전망
(1) 중국 시장 현황
(2) 중국 시장 향후 전망
Ⅷ. 결론 및 나의의견
본문내용
을 통한 고가제품으로의 진출이 두드러질 것으로 판단되며, 다국적 기업들은 자금력을 바탕으로 한 현지 업체와의 전략적 제휴 또는 M&A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판단된다. 선도기업의 경우 원가구조 개선을 위해 고품질의 제품을 제공하려는 노력을 기울일 것으로 예상된다.
3. 소비자분석
(1)중국 라면 시장 소비자 특성
중국 소비자들의 경우 지역에 따라 제품에 대한 가격 민감도가 비교적 높고 지역 도매상의 시장영향력이 비교적 높은 편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멜라닌 파동 등의 여파로 소비자들의 식품 구매에 위생과 건강을 중시하는 경향이 높아지고 있으며, 따라서 보다 안전한 먹거리에 대한 관심이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인터넷의 발달과 활발한 소비자 정보 공유 등을 통해 소비자의 정보력은 크게 성장하고 있으며, 월마트나 이마트 등 중국에 진출한 다국적 거대 유통회사의 출현으로 구매자의 협상력은 더욱 증가할 것으로 판단된다.
중국 라면제품은 개발이 용이하고 진입 장벽이 낮은 산업이기 때문에, 현재 중국 라면시장의 공급과잉 현상이 심화되고 있고, 군소업체의 난립으로 라면시장 내 기존 업체들간의 경쟁뿐만 아니라 잠재적 경쟁자의 위협이 크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시장 개방 초기에 비교해 외국인 세제혜택이 점점 감소하고 있고, 소비자의 제품 선택에 있어 브랜드에 대한 인지도가 점점 더 중요해짐으로써 잠재적으로 중국 라면시장의 진출이 예상되는 해외 유명 업체들의 위협 확대가 예상된다.
아래의 그림을 살펴보면 중국 주요도시의 소비자들은 면류 제품 구입시 주요 고려요소로 맛, 가격, 브랜드, 편리한 구매를 생각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중국 소비자들은 광고, 포장 등 외부적인요인 보다 맛, 가격 등 실질적인 부분을 더 중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중국 라면 시장 소비자 선호 브랜드
한편, 중국 소비자가 선호하는 라면 브랜드를 살펴보면, 소고기 베이스의 다소 자극적인 ‘홍소 우육(紅燒牛肉)’맛을 중국에 처음 도입한 캉스푸(康師傅)로 중국의 대표적인 4대도시에서 모두 1위를 차지하고 있고 그 다음 역시 대만기업인 퉁이(統一)로 나타나 대만 브랜드에 대한 주요 대도시 소비자의 인지도가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림6. 참조). 현지 기업인 화룽(華龍)은 베이징(北京)에서 4위를 차지했을 뿐 4위 기업인 바이샹(白象)과 함께 기타 지역에는 5위안에 들지 못하였다. 한국의 대표적인 제품인 신라면은 중국 최대도시인 상하이에서 3위, 동북의 중심도시인 선양(沈陽)에서 4위를 차지하고 있다.
(3)중국 라면 시장 소비자 특성 변화
최근 중국에서의 멜라닌 파동 등의 여파로 소비자들의 식품구매에 위생과 건강을 중시하는 경향이 높아지고 있으며, 따라서 보다 안전한 먹거리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인터넷의 발달과 활발한 소비자 정보 공유 등을 통해 소비자의 정보력은 크게 성장하고 있으며, 까르푸, 월마트나 이마트 등 중국에 진출한 다국적 거대유통회사의 출현으로 소비자의 협상력은 더욱 증가할 것으로 판단된다. 최근 중국 면류시장 소비자의 특성 변화를 살펴보면, 개성을 중시하는 소비 트렌드가 확산됨에 따라 홍보 전문가의 의견보다 개별 소비자의 취향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인터넷을 포함한 각종 매체의 발달로 소비자의 영향력 확대되어 선도기업은 소비자 의견을 제품개발에 적극 반영하고 있다. 또한 중산층의 소득수준 증가와 시장개방의 영향으로 프리미엄 제품에 대한 소비자 선호도가 증가되고 있다. 식품의 경우 유기농 제품등 그린(Green)소비가 증가하고 있고 정보채널의 다양화 및 소비자의 교육수준 상승과 함께 최근 중국 내 빈번한 식품안전 문제 발생으로 소비자들은 원산지 등식품 제조정보에 대한 관심이 크게 높아지고 있다. 또한 도시화가 빠른 속도로 진전됨에 따라 중소도시의 소비자가 큰 성장을 보이고 브랜드를 추구하는 소비자가 늘고 있고 프리미엄 시장이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향후 관련 업체들은 지속적인 제품 개발을 통해 맛있고 건강도 챙길 수 있는 보다 차별화된 제품을 개발하여, 이처럼 변화하는 소비자의 특성을 맞추어야 할 것이다.
Ⅴ. 캉스푸
1. 캉스푸의 기업소개 및 진출 배경
캉스푸 지주 유한공사(康師傅控股有限公司, 이하 캉스푸)는 대만의 딩신(頂信)그룹 소속으로 중국 텐진에 본사를 둔 중국 최대 라면·음료 생산업체이다. 캉스푸는 1992년 텐진에서 처음으로 라면을 연구·개발 해 상품을 출시한 이후 고속 성장을 지속해왔다.
캉스푸 연혁
1958 - 정신유 공장 창립
1988 - 중국 대륙 투자 시작
1991 - 라면시장으로의 진출(천진경제개발구에 제1생산기지 설립)
1992 - 캉스푸의 첫상품 홍소우육면(紅燒牛肉面) 출시
1994 - 급성장기(~1997)
광주, 항주, 무한 등지에 생산기지 설립(스낵산업, 음료산업으로의 진출)
현재 세계최대의 라면 생산업체. 미국, 캐나다 등지로의 해외진출
캉스푸는 현재 세계에서 가장 큰 라면 생산업체로 2011년 통계에 따르면 중국 라면 업계에서 55.8%의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도시 주민의 브랜드 인지도가 80% 이상이다. <주간무역>, 2012년 5월 4일
또 친근하고 책임감 있는 브랜드 이미지를 갖고 있는데 캉스푸의 스푸(師父)는 나이가 많거나 수준이 높은 사람에 대한 존칭이며 캉(康)은 건강을 의미하는 글자로 건강과 맛을 중시하는 식품 전문가의 이미지를 나타내고 있다. 또 새하얀 모자와 앞치마를 한 요리사 로고로 친근하고 책임감 있는 브랜드 이미지가 강하다.
캉스푸는 대만에서 가업인 소규모 식용유 사업을 바탕으로 1992년 중국 라면 시장에 진출하였다. 대만인 총경리가 중국 사업 추진을 위해 중국 출장 중에 기차에서 만난 중국인이 라면에 대한 강한 호기심을 보였는데 이에 착안 하여 물 부어 먹는 용기면을 처음 도입하여 크게 성공하였다. 이를 계기로 중국 라면시장에 진출하게 되었고 대만의 전통요리기법인 홍소우육맛을 라면에 접목시켜 그 당시 최고가인 3위안의 용기면을 출시하였다. 캉스푸는 현재까지 중국 전역에 35개 이상의 공장을 보유하고 있고 연간 50억의 라면을 생산하고 있다. 주요제품은 고가면인 캉스푸, 멘빠120과 저가면인 샤오후뛔이, 푸만
3. 소비자분석
(1)중국 라면 시장 소비자 특성
중국 소비자들의 경우 지역에 따라 제품에 대한 가격 민감도가 비교적 높고 지역 도매상의 시장영향력이 비교적 높은 편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멜라닌 파동 등의 여파로 소비자들의 식품 구매에 위생과 건강을 중시하는 경향이 높아지고 있으며, 따라서 보다 안전한 먹거리에 대한 관심이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인터넷의 발달과 활발한 소비자 정보 공유 등을 통해 소비자의 정보력은 크게 성장하고 있으며, 월마트나 이마트 등 중국에 진출한 다국적 거대 유통회사의 출현으로 구매자의 협상력은 더욱 증가할 것으로 판단된다.
중국 라면제품은 개발이 용이하고 진입 장벽이 낮은 산업이기 때문에, 현재 중국 라면시장의 공급과잉 현상이 심화되고 있고, 군소업체의 난립으로 라면시장 내 기존 업체들간의 경쟁뿐만 아니라 잠재적 경쟁자의 위협이 크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시장 개방 초기에 비교해 외국인 세제혜택이 점점 감소하고 있고, 소비자의 제품 선택에 있어 브랜드에 대한 인지도가 점점 더 중요해짐으로써 잠재적으로 중국 라면시장의 진출이 예상되는 해외 유명 업체들의 위협 확대가 예상된다.
아래의 그림을 살펴보면 중국 주요도시의 소비자들은 면류 제품 구입시 주요 고려요소로 맛, 가격, 브랜드, 편리한 구매를 생각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중국 소비자들은 광고, 포장 등 외부적인요인 보다 맛, 가격 등 실질적인 부분을 더 중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중국 라면 시장 소비자 선호 브랜드
한편, 중국 소비자가 선호하는 라면 브랜드를 살펴보면, 소고기 베이스의 다소 자극적인 ‘홍소 우육(紅燒牛肉)’맛을 중국에 처음 도입한 캉스푸(康師傅)로 중국의 대표적인 4대도시에서 모두 1위를 차지하고 있고 그 다음 역시 대만기업인 퉁이(統一)로 나타나 대만 브랜드에 대한 주요 대도시 소비자의 인지도가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림6. 참조). 현지 기업인 화룽(華龍)은 베이징(北京)에서 4위를 차지했을 뿐 4위 기업인 바이샹(白象)과 함께 기타 지역에는 5위안에 들지 못하였다. 한국의 대표적인 제품인 신라면은 중국 최대도시인 상하이에서 3위, 동북의 중심도시인 선양(沈陽)에서 4위를 차지하고 있다.
(3)중국 라면 시장 소비자 특성 변화
최근 중국에서의 멜라닌 파동 등의 여파로 소비자들의 식품구매에 위생과 건강을 중시하는 경향이 높아지고 있으며, 따라서 보다 안전한 먹거리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인터넷의 발달과 활발한 소비자 정보 공유 등을 통해 소비자의 정보력은 크게 성장하고 있으며, 까르푸, 월마트나 이마트 등 중국에 진출한 다국적 거대유통회사의 출현으로 소비자의 협상력은 더욱 증가할 것으로 판단된다. 최근 중국 면류시장 소비자의 특성 변화를 살펴보면, 개성을 중시하는 소비 트렌드가 확산됨에 따라 홍보 전문가의 의견보다 개별 소비자의 취향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인터넷을 포함한 각종 매체의 발달로 소비자의 영향력 확대되어 선도기업은 소비자 의견을 제품개발에 적극 반영하고 있다. 또한 중산층의 소득수준 증가와 시장개방의 영향으로 프리미엄 제품에 대한 소비자 선호도가 증가되고 있다. 식품의 경우 유기농 제품등 그린(Green)소비가 증가하고 있고 정보채널의 다양화 및 소비자의 교육수준 상승과 함께 최근 중국 내 빈번한 식품안전 문제 발생으로 소비자들은 원산지 등식품 제조정보에 대한 관심이 크게 높아지고 있다. 또한 도시화가 빠른 속도로 진전됨에 따라 중소도시의 소비자가 큰 성장을 보이고 브랜드를 추구하는 소비자가 늘고 있고 프리미엄 시장이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향후 관련 업체들은 지속적인 제품 개발을 통해 맛있고 건강도 챙길 수 있는 보다 차별화된 제품을 개발하여, 이처럼 변화하는 소비자의 특성을 맞추어야 할 것이다.
Ⅴ. 캉스푸
1. 캉스푸의 기업소개 및 진출 배경
캉스푸 지주 유한공사(康師傅控股有限公司, 이하 캉스푸)는 대만의 딩신(頂信)그룹 소속으로 중국 텐진에 본사를 둔 중국 최대 라면·음료 생산업체이다. 캉스푸는 1992년 텐진에서 처음으로 라면을 연구·개발 해 상품을 출시한 이후 고속 성장을 지속해왔다.
캉스푸 연혁
1958 - 정신유 공장 창립
1988 - 중국 대륙 투자 시작
1991 - 라면시장으로의 진출(천진경제개발구에 제1생산기지 설립)
1992 - 캉스푸의 첫상품 홍소우육면(紅燒牛肉面) 출시
1994 - 급성장기(~1997)
광주, 항주, 무한 등지에 생산기지 설립(스낵산업, 음료산업으로의 진출)
현재 세계최대의 라면 생산업체. 미국, 캐나다 등지로의 해외진출
캉스푸는 현재 세계에서 가장 큰 라면 생산업체로 2011년 통계에 따르면 중국 라면 업계에서 55.8%의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도시 주민의 브랜드 인지도가 80% 이상이다. <주간무역>, 2012년 5월 4일
또 친근하고 책임감 있는 브랜드 이미지를 갖고 있는데 캉스푸의 스푸(師父)는 나이가 많거나 수준이 높은 사람에 대한 존칭이며 캉(康)은 건강을 의미하는 글자로 건강과 맛을 중시하는 식품 전문가의 이미지를 나타내고 있다. 또 새하얀 모자와 앞치마를 한 요리사 로고로 친근하고 책임감 있는 브랜드 이미지가 강하다.
캉스푸는 대만에서 가업인 소규모 식용유 사업을 바탕으로 1992년 중국 라면 시장에 진출하였다. 대만인 총경리가 중국 사업 추진을 위해 중국 출장 중에 기차에서 만난 중국인이 라면에 대한 강한 호기심을 보였는데 이에 착안 하여 물 부어 먹는 용기면을 처음 도입하여 크게 성공하였다. 이를 계기로 중국 라면시장에 진출하게 되었고 대만의 전통요리기법인 홍소우육맛을 라면에 접목시켜 그 당시 최고가인 3위안의 용기면을 출시하였다. 캉스푸는 현재까지 중국 전역에 35개 이상의 공장을 보유하고 있고 연간 50억의 라면을 생산하고 있다. 주요제품은 고가면인 캉스푸, 멘빠120과 저가면인 샤오후뛔이, 푸만
추천자료
국내 게임업체 엔씨소프트의 중국진출 국제마케팅 전략 분석 레포트
락앤락(Lock&Lock) 중국시장진출 마케팅사례분석과 전략제안
파리바게트(Paris Baguette) vs 뚜레쥬르(Tous Les Jours) 해외시장진출 마케팅전략 비교분석...
[해외진출 실패사례] 세원텔레콤의 중국진출 실패 사례분석 및 성공전략 제언 (중국 휴대폰 ...
이랜드중국 시장진출-중국시장성공사례,이랜드경영전략,브랜드마케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
빙그레 바나나맛우유 중국시장진출 마케팅레포트_ 바나나맛우유 중국 마케팅 SWOT,STP,4P전략...
BBQ의 중국진출 마케팅 전략
ELAND 이랜드 기업분석企業分析과 이랜드의 중국진출 마케팅 SWOT,4P전략분석및 이랜드 미래...
LG생활건강 화장품(후)의 중국진출 마케팅 전략
파리바게트 중국진출 마케팅 케이스연구 PPT : (파리바게트 브랜드분석과 파리바게트 중국진...
[롯데리아 마케팅사례 PPT] 롯데리아 성공비결과 롯데리아 마케팅 SWOT,STP,4P전략분석및 중...
[이랜드 경영,마케팅사례] 이랜드 ELAND 기업분석과 SWOT분석및 이랜드 마케팅,경영전략,중국...
H&M 기업환경분석과 SWOT분석 H&M 마케팅사례와 4P전략분석 H&M중국진출사례연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