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1. 생활동화의 정의
2. 생활동화의 특징
3. 생활동화의 구성 요소
(1) 배경
(2) 인물
(4) 주제
4. 생활동화의 유형
(1) 성장에 관한 이야기
(2) 가족관계
(3) 또래와의 관계
(4) 동식물에 관한 애정
(5) 정서에 관한 것
(6) 자연에 대한 흥미의 발달
(7) 상상과 모험
(8) 유머
(9) 장애
참고문헌
1. 생활동화의 정의
2. 생활동화의 특징
3. 생활동화의 구성 요소
(1) 배경
(2) 인물
(4) 주제
4. 생활동화의 유형
(1) 성장에 관한 이야기
(2) 가족관계
(3) 또래와의 관계
(4) 동식물에 관한 애정
(5) 정서에 관한 것
(6) 자연에 대한 흥미의 발달
(7) 상상과 모험
(8) 유머
(9) 장애
참고문헌
본문내용
를 돌보려면 지켜야 되는 규칙과 유의점이 있다는 것을 자연스럽게 알게 된다.
볼프 에를브루흐의 「개가 무서워요」 이야기에서 개를 좋아하는 레오나르드는 개 흉내를 내는 것을 좋아한다. 그러다 개가 무서워서 요정에게 크고 용감한 개가 되게 해달라고 부탁한다. 개가 된 레오나르드는 이제 개가 무서운 것이 아니라 조그만 사내아이들이 무서워지기 시작한다. 레오나르드는 요정에게 부탁하여 다시 원래의 모습으로 돌아가서 다시는 개처럼 으르렁거리지도, 짖지도 않는다. 이 동화를 통해 유아들은 개의 입장을 이해하게 되고 어떻게 하는 것이 진정으로 개를 사랑하는 방법인지를 체득하게 된다.
(5) 정서에 관한 것
- 정서란 지적 활동과는 다른 속성을 가지고 있다. 정서는 여러 가지 종류의 욕구와 결부된 체험이다. 예를 들면 배가 고픈 영아는 공복에 의해서 생기는 정서를 경험한다. 유아들의 행동은 희로애락과 같은 반응의 영향에 따라 동기화되는 경향이 있다.
예) 마키타 신지의 「틀려도 괜찮아」는 멋지게 대답하고 싶지만 틀릴까봐, 답이 틀렸다고 친구들이 웃지는 않을까 하는 생각 때문에 손들기를 망설이는 초등학교 신입생들에게 교실은 틀려도 괜찮은 곳, 틀리면서 정답을 찾아가는 곳이라는 것을 깨닫게 함으로써 즐거운 마음으로 학교 생활을 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6) 자연에 대한 흥미의 발달
- 유아는 태어나면서부터 자연에 대한 흥미와 호기심을 갖게 된다. 유아는 자신을 둘러싸고 있는 환경을 인식하면서부터 환경과의 상호교류를 통하여 신체의 각종 기능을 발달시켜 나간다.
예)「누가 내 머리에 똥 쌌어?」는 두더쥐 머리에 떨어진 똥의 주인공을 찾아가는 과정에서 비둘기, 말, 소, 돼지, 염소의 똥의 모양과 소리를 간접적으로 알 수 있게 된다.
(7) 상상과 모험
- 인간은 미지의 세계를 극복함으로써 현재의 삶의 방향을 바람직하게 설정하며 미지의 세계를 극복하기 위한 다양한 체험을 통해서 구체적으로 배우고 성장한다. 상상과 모험에 관한 내용을 다루고 있는 그림이야기책은 메르세 콤파니의 「달나라에 간 임금님」이 있다.
내용) 어느 날 임금님이 달에 가고 싶어 신하에게 백성들의 의자와 책상은 모조리 가져오게 명령하여 책상과 의자가 모두 오자 그것을 차곡차곡 쌓아 올렸다. 그리하여 만들어진 사닥다리를 보름달이 있는 곳으로 옮겼으나 달에 닿지 못해 임금님은 올라가자 실망하게 된다. 그때 어느 여자 아이가 난 올라가는 법을 안다면서 임금님 손에 풍선을 달아 주어 임금님이 기뻐한다는 이야기다.
(8) 유머
- 성인이나 유아 모두 웃는 것을 좋아한다. 유머는 유아들이 일상생활로부터 갖게 되는 스트레스를 완화시켜주고 그들의 정서적·사회적·지적 발달을 지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유머의 소재로는 기발한 착상, 예기치 않은 일의 발발과 해결, 과정 등이 있으며 그 이야기는 결국 행복한 결말을 갖게 된다. 유머를 다룬 그림책은 「검피아저씨의 뱃놀이」 「코가 늘어나는 임금님」 「누가 내 머리에 똥 쌌어?」가 있다.
(9) 장애
- 고정욱의 「아주 특별한 우리형」은 장애에 대한 편견을
볼프 에를브루흐의 「개가 무서워요」 이야기에서 개를 좋아하는 레오나르드는 개 흉내를 내는 것을 좋아한다. 그러다 개가 무서워서 요정에게 크고 용감한 개가 되게 해달라고 부탁한다. 개가 된 레오나르드는 이제 개가 무서운 것이 아니라 조그만 사내아이들이 무서워지기 시작한다. 레오나르드는 요정에게 부탁하여 다시 원래의 모습으로 돌아가서 다시는 개처럼 으르렁거리지도, 짖지도 않는다. 이 동화를 통해 유아들은 개의 입장을 이해하게 되고 어떻게 하는 것이 진정으로 개를 사랑하는 방법인지를 체득하게 된다.
(5) 정서에 관한 것
- 정서란 지적 활동과는 다른 속성을 가지고 있다. 정서는 여러 가지 종류의 욕구와 결부된 체험이다. 예를 들면 배가 고픈 영아는 공복에 의해서 생기는 정서를 경험한다. 유아들의 행동은 희로애락과 같은 반응의 영향에 따라 동기화되는 경향이 있다.
예) 마키타 신지의 「틀려도 괜찮아」는 멋지게 대답하고 싶지만 틀릴까봐, 답이 틀렸다고 친구들이 웃지는 않을까 하는 생각 때문에 손들기를 망설이는 초등학교 신입생들에게 교실은 틀려도 괜찮은 곳, 틀리면서 정답을 찾아가는 곳이라는 것을 깨닫게 함으로써 즐거운 마음으로 학교 생활을 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6) 자연에 대한 흥미의 발달
- 유아는 태어나면서부터 자연에 대한 흥미와 호기심을 갖게 된다. 유아는 자신을 둘러싸고 있는 환경을 인식하면서부터 환경과의 상호교류를 통하여 신체의 각종 기능을 발달시켜 나간다.
예)「누가 내 머리에 똥 쌌어?」는 두더쥐 머리에 떨어진 똥의 주인공을 찾아가는 과정에서 비둘기, 말, 소, 돼지, 염소의 똥의 모양과 소리를 간접적으로 알 수 있게 된다.
(7) 상상과 모험
- 인간은 미지의 세계를 극복함으로써 현재의 삶의 방향을 바람직하게 설정하며 미지의 세계를 극복하기 위한 다양한 체험을 통해서 구체적으로 배우고 성장한다. 상상과 모험에 관한 내용을 다루고 있는 그림이야기책은 메르세 콤파니의 「달나라에 간 임금님」이 있다.
내용) 어느 날 임금님이 달에 가고 싶어 신하에게 백성들의 의자와 책상은 모조리 가져오게 명령하여 책상과 의자가 모두 오자 그것을 차곡차곡 쌓아 올렸다. 그리하여 만들어진 사닥다리를 보름달이 있는 곳으로 옮겼으나 달에 닿지 못해 임금님은 올라가자 실망하게 된다. 그때 어느 여자 아이가 난 올라가는 법을 안다면서 임금님 손에 풍선을 달아 주어 임금님이 기뻐한다는 이야기다.
(8) 유머
- 성인이나 유아 모두 웃는 것을 좋아한다. 유머는 유아들이 일상생활로부터 갖게 되는 스트레스를 완화시켜주고 그들의 정서적·사회적·지적 발달을 지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유머의 소재로는 기발한 착상, 예기치 않은 일의 발발과 해결, 과정 등이 있으며 그 이야기는 결국 행복한 결말을 갖게 된다. 유머를 다룬 그림책은 「검피아저씨의 뱃놀이」 「코가 늘어나는 임금님」 「누가 내 머리에 똥 쌌어?」가 있다.
(9) 장애
- 고정욱의 「아주 특별한 우리형」은 장애에 대한 편견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