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해결중심 단기가족치료 모델의 주요개념
1) 철학적 기저
2) 원리와 관점
(1) 원리
(2) 관점
3) 치료목표 및 치료과정
(1) 치료목표
(2) 내담자와의 관계형성
(3) 협동적 목표설정
(4) 치료과정
(5) 치료자
2. 해결중심 단기가족치료 모델의 치료전략
1) 상담 전 변화의 질문
2) 예외질문
3) 기적질문
4) 척도질문
5) 대처질문
6) 관계성 질문
7) 악몽질문
8) 간접적인 칭찬
참고문헌
1) 철학적 기저
2) 원리와 관점
(1) 원리
(2) 관점
3) 치료목표 및 치료과정
(1) 치료목표
(2) 내담자와의 관계형성
(3) 협동적 목표설정
(4) 치료과정
(5) 치료자
2. 해결중심 단기가족치료 모델의 치료전략
1) 상담 전 변화의 질문
2) 예외질문
3) 기적질문
4) 척도질문
5) 대처질문
6) 관계성 질문
7) 악몽질문
8) 간접적인 칭찬
참고문헌
본문내용
견하여 강화하면 해결
- “최근 문제가 일어나지 않은 때는 언제였습니까?”
- “문제가 해결된다면 어떤 일이 일어났을 때죠.”
3) 기적질문
- 문제 자체를 제거시키거나 감소시키지 않고 떨어지게 함으로 해결책을 상상하게 해줌
- 문제중심에서 해결중심으로 전환하게 함
- “좀 색다른 질문을 해보겠습니다. 오늘 집에 돌아가 잠을 잤습니다. 그리고 아침에 일어났습니다. 그런데 놀랍게도 기적이 일어나 고민하던 문제가 다 해결되버리고 말았습니다. 그렇다면 아침에 일어났을 때 어떤 것(상황)을 보면 문제가 해결되었다고 느낄 수 있을까요?”
4) 척도질문
- 숫자를 사용하여 문제의 심각성, 문제 해결에 대한 희망, 자아존중감, 변화하기 위한 의지, 문제가 해결된 정도 등을 표현하도록 하는 방법
- 내담자의 해결에 대한 태도를 더욱 정확하게 알 수 있음
- “1부터 10까지의 척도 중에서 1은 문제가 가장 심각할 때이고 10은 문제가 다 해결된 상태라고 가정한다면, 지금 몇 점입니까?”
- “6점에서 7점으로 올라간다면 무엇이 달라질까요
5) 대처질문
- 자신의 미래에 대해 매우 절망적이어서 아무런 희망이 없다는 내담자에게 주로 사용
- 이런 절망적인 상황에 빠져 있는 내담자에게 희망을 주기란 쉽지 않음
- 대처 방안에 대한 질문은 그런 내담자에게 성공을 느낄 수 있게 해줌
- 이 질문으로 치료자가 의도하는 것은 내담자 자신이 이미 대처 방안을 가지고 있음을 깨닫게 함
- “어머님, 그렇게 어려운 상황 속에서 어떻게 지금까지 견딜 수 있었어요.”
- “어떻게 하셨길래 상황이 더 나빠지지 않을 수 있었죠?”
6) 관계성 질문
- 내담자와 중요한 관계에 있는 사람들이 갖는 생각, 의견, 지각 등에 대한 물음
- “선생님의 부인이 지금 여기 계신다면, 제가 그 분에게 선생님의 문제가 해결되면 무엇이 다라졌겠느냐고 묻는다면 그분은 뭐라고 대답하실까요?”
7) 악몽질문
- 기적질문과 비슷하나 문제중심 질문(유일한 문제중심 질문)
- 상담 전 변화에 대한 질문을 할 때 사용
- 예외질문, 기적질문이 효과가 없을 때 사용
- 섣불리 사용하면 안 됨
- “오늘 잠자리에 들었어요. 악몽을 꿔서 문제가 더 복잡하게 되버렸어요. 그런데 이 악몽이 정말로 온 거에요. 아침에 무엇을 보면 이 악몽같은 인생을 살고 있다고 생각하실까요?”
8) 간접적인 칭찬
- “어떻게 그렇게 하실 수 있었습니까?”
- “어머님은 자녀모두를 특별하게 대하는 것이 중요
- “최근 문제가 일어나지 않은 때는 언제였습니까?”
- “문제가 해결된다면 어떤 일이 일어났을 때죠.”
3) 기적질문
- 문제 자체를 제거시키거나 감소시키지 않고 떨어지게 함으로 해결책을 상상하게 해줌
- 문제중심에서 해결중심으로 전환하게 함
- “좀 색다른 질문을 해보겠습니다. 오늘 집에 돌아가 잠을 잤습니다. 그리고 아침에 일어났습니다. 그런데 놀랍게도 기적이 일어나 고민하던 문제가 다 해결되버리고 말았습니다. 그렇다면 아침에 일어났을 때 어떤 것(상황)을 보면 문제가 해결되었다고 느낄 수 있을까요?”
4) 척도질문
- 숫자를 사용하여 문제의 심각성, 문제 해결에 대한 희망, 자아존중감, 변화하기 위한 의지, 문제가 해결된 정도 등을 표현하도록 하는 방법
- 내담자의 해결에 대한 태도를 더욱 정확하게 알 수 있음
- “1부터 10까지의 척도 중에서 1은 문제가 가장 심각할 때이고 10은 문제가 다 해결된 상태라고 가정한다면, 지금 몇 점입니까?”
- “6점에서 7점으로 올라간다면 무엇이 달라질까요
5) 대처질문
- 자신의 미래에 대해 매우 절망적이어서 아무런 희망이 없다는 내담자에게 주로 사용
- 이런 절망적인 상황에 빠져 있는 내담자에게 희망을 주기란 쉽지 않음
- 대처 방안에 대한 질문은 그런 내담자에게 성공을 느낄 수 있게 해줌
- 이 질문으로 치료자가 의도하는 것은 내담자 자신이 이미 대처 방안을 가지고 있음을 깨닫게 함
- “어머님, 그렇게 어려운 상황 속에서 어떻게 지금까지 견딜 수 있었어요.”
- “어떻게 하셨길래 상황이 더 나빠지지 않을 수 있었죠?”
6) 관계성 질문
- 내담자와 중요한 관계에 있는 사람들이 갖는 생각, 의견, 지각 등에 대한 물음
- “선생님의 부인이 지금 여기 계신다면, 제가 그 분에게 선생님의 문제가 해결되면 무엇이 다라졌겠느냐고 묻는다면 그분은 뭐라고 대답하실까요?”
7) 악몽질문
- 기적질문과 비슷하나 문제중심 질문(유일한 문제중심 질문)
- 상담 전 변화에 대한 질문을 할 때 사용
- 예외질문, 기적질문이 효과가 없을 때 사용
- 섣불리 사용하면 안 됨
- “오늘 잠자리에 들었어요. 악몽을 꿔서 문제가 더 복잡하게 되버렸어요. 그런데 이 악몽이 정말로 온 거에요. 아침에 무엇을 보면 이 악몽같은 인생을 살고 있다고 생각하실까요?”
8) 간접적인 칭찬
- “어떻게 그렇게 하실 수 있었습니까?”
- “어머님은 자녀모두를 특별하게 대하는 것이 중요
추천자료
틱장애 아동을 둔 부모에 대한 MRI의 상호작용적 가족치료모델과 ...
해결중심의 단기 가족치료
해결중심 단기 가족치료에 대하여
안면기형을 앓고 있는 연주네 가족을 사티어 가족치료모델로 접근
사티어의 의사소통 가족치료모델에 적용한 사례연구 보고서
해결중심단기가족치료에서 문제해결을 위해 사용하는 (1) 질문기법들의 개념과 (2) 각 기법들...
가족치료의 이론적 모델 중 해결중심 가족치료의 기본개념과 치료목표, 치료기법을 기술하고 ...
해결중심단기가족치료의 원리와 적용
전략적가족치료 상담사례
사티어 경험적가족치료 PPT(Satir, 경험적가족치료모델, 의사소통가족치료) 파워포인트
[경험적 가족치료모델] 경험적 가족치료의 주요개념과 이론적 기초, 경험적 가족치료 상담목...
해결중심 단기가족치료에서 나의 자원으로 장점 20개를 찾고, 지금까지 지나온 나의 성공적 ...
사회복지실천모델(4체계모델,생활모델,생태체계모델,문제해결모델,과제중심모델,인지행동모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