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복지론] 해결중심 가족치료 모델 - 해결중심 단기가족치료모델의 주요개념과 치료전략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가족복지론] 해결중심 가족치료 모델 - 해결중심 단기가족치료모델의 주요개념과 치료전략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해결중심 단기가족치료 모델의 주요개념
 1) 철학적 기저
 2) 원리와 관점
  (1) 원리
  (2) 관점
 3) 치료목표 및 치료과정
  (1) 치료목표
  (2) 내담자와의 관계형성
  (3) 협동적 목표설정
  (4) 치료과정
  (5) 치료자

2. 해결중심 단기가족치료 모델의 치료전략
 1) 상담 전 변화의 질문
 2) 예외질문
 3) 기적질문
 4) 척도질문
 5) 대처질문
 6) 관계성 질문
 7) 악몽질문
 8) 간접적인 칭찬

참고문헌

본문내용

견하여 강화하면 해결
- “최근 문제가 일어나지 않은 때는 언제였습니까?”
- “문제가 해결된다면 어떤 일이 일어났을 때죠.”
3) 기적질문
- 문제 자체를 제거시키거나 감소시키지 않고 떨어지게 함으로 해결책을 상상하게 해줌
- 문제중심에서 해결중심으로 전환하게 함
- “좀 색다른 질문을 해보겠습니다. 오늘 집에 돌아가 잠을 잤습니다. 그리고 아침에 일어났습니다. 그런데 놀랍게도 기적이 일어나 고민하던 문제가 다 해결되버리고 말았습니다. 그렇다면 아침에 일어났을 때 어떤 것(상황)을 보면 문제가 해결되었다고 느낄 수 있을까요?”
4) 척도질문
- 숫자를 사용하여 문제의 심각성, 문제 해결에 대한 희망, 자아존중감, 변화하기 위한 의지, 문제가 해결된 정도 등을 표현하도록 하는 방법
- 내담자의 해결에 대한 태도를 더욱 정확하게 알 수 있음
- “1부터 10까지의 척도 중에서 1은 문제가 가장 심각할 때이고 10은 문제가 다 해결된 상태라고 가정한다면, 지금 몇 점입니까?”
- “6점에서 7점으로 올라간다면 무엇이 달라질까요
5) 대처질문
- 자신의 미래에 대해 매우 절망적이어서 아무런 희망이 없다는 내담자에게 주로 사용
- 이런 절망적인 상황에 빠져 있는 내담자에게 희망을 주기란 쉽지 않음
- 대처 방안에 대한 질문은 그런 내담자에게 성공을 느낄 수 있게 해줌
- 이 질문으로 치료자가 의도하는 것은 내담자 자신이 이미 대처 방안을 가지고 있음을 깨닫게 함
- “어머님, 그렇게 어려운 상황 속에서 어떻게 지금까지 견딜 수 있었어요.”
- “어떻게 하셨길래 상황이 더 나빠지지 않을 수 있었죠?”
6) 관계성 질문
- 내담자와 중요한 관계에 있는 사람들이 갖는 생각, 의견, 지각 등에 대한 물음
- “선생님의 부인이 지금 여기 계신다면, 제가 그 분에게 선생님의 문제가 해결되면 무엇이 다라졌겠느냐고 묻는다면 그분은 뭐라고 대답하실까요?”
7) 악몽질문
- 기적질문과 비슷하나 문제중심 질문(유일한 문제중심 질문)
- 상담 전 변화에 대한 질문을 할 때 사용
- 예외질문, 기적질문이 효과가 없을 때 사용
- 섣불리 사용하면 안 됨
- “오늘 잠자리에 들었어요. 악몽을 꿔서 문제가 더 복잡하게 되버렸어요. 그런데 이 악몽이 정말로 온 거에요. 아침에 무엇을 보면 이 악몽같은 인생을 살고 있다고 생각하실까요?”
8) 간접적인 칭찬
- “어떻게 그렇게 하실 수 있었습니까?”
- “어머님은 자녀모두를 특별하게 대하는 것이 중요
  • 가격1,8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3.11.04
  • 저작시기2013.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9034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