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론
1. 노인의 건강 개념
2. 노인의 신체건강 필요성
Ⅱ. 본 론
1. 노인이 겪고 있는 만성질환의 실태, 현황
1) 만성질환 유병률
2) 사망원인 순위
2. 노인의 만성질환
1) 퇴행성관절염
2) 골다공증
3) 뇌졸중
4) 고혈압
5) 당뇨병
6) 요실금
7) 백내장
3.일상수행능력의 개념, 현황
1) 일상수행능력의 개념
2) 일상수행능력의 현황
4. 건강증진차원으로 우리나라에서 이루어지는 서비스 현황
1) 노인장기요양보험
(1) 노인장기요양보험의 개념
(2) 의의
(3) 기존 건강보험과 노인장기요양보험의 차이
(4) 급여의 종류
2) 노인복지법
(1) 제1조
(2) 제2조
(3) 제27조
(4) 제30조
Ⅲ. 결 론
1. 정부의 한계와 대책
2. 민간체계의 한계와 대책
Ⅲ. 참 고 문 헌
1. 노인의 건강 개념
2. 노인의 신체건강 필요성
Ⅱ. 본 론
1. 노인이 겪고 있는 만성질환의 실태, 현황
1) 만성질환 유병률
2) 사망원인 순위
2. 노인의 만성질환
1) 퇴행성관절염
2) 골다공증
3) 뇌졸중
4) 고혈압
5) 당뇨병
6) 요실금
7) 백내장
3.일상수행능력의 개념, 현황
1) 일상수행능력의 개념
2) 일상수행능력의 현황
4. 건강증진차원으로 우리나라에서 이루어지는 서비스 현황
1) 노인장기요양보험
(1) 노인장기요양보험의 개념
(2) 의의
(3) 기존 건강보험과 노인장기요양보험의 차이
(4) 급여의 종류
2) 노인복지법
(1) 제1조
(2) 제2조
(3) 제27조
(4) 제30조
Ⅲ. 결 론
1. 정부의 한계와 대책
2. 민간체계의 한계와 대책
Ⅲ. 참 고 문 헌
본문내용
목 차
Ⅰ. 서 론
1. 노인의 건강 개념
2. 노인의 신체건강 필요성
Ⅱ. 본 론
1. 노인이 겪고 있는 만성질환의 실태, 현황
1) 만성질환 유병률
2) 사망원인 순위
2. 노인의 만성질환
1) 퇴행성관절염
2) 골다공증
3) 뇌졸중
4) 고혈압
5) 당뇨병
6) 요실금
7) 백내장
3.일상수행능력의 개념, 현황
1) 일상수행능력의 개념
2) 일상수행능력의 현황
4. 건강증진차원으로 우리나라에서 이루어지는 서비스 현황
1) 노인장기요양보험
(1) 노인장기요양보험의 개념
(2) 의의
(3) 기존 건강보험과 노인장기요양보험의 차이
(4) 급여의 종류
2) 노인복지법
(1) 제1조
(2) 제2조
(3) 제27조
(4) 제30조
Ⅲ. 결 론
1. 정부의 한계와 대책
2. 민간체계의 한계와 대책
Ⅲ. 참 고 문 헌
Ⅰ. 서 론
1. 노인의 건강 개념
건강에 대한 개념의 시대의 흐름 속에 언제나 유동적이고 각 시대의 양식과 생명에 대한 의식에 따라 여러 가지로 표현되어 왔다.
즉, 인간이 살아온 그 시대의 민족, 지역, 환경, 문화를 토대로 해서 서로 다른 건강관이 형성되었던 것이다(안병철외, 1992).
그러나 오래전부터 건강에 대한 일반적인 개념은 “질병이 없는 상태”로 알려져 왔다. 하지만 ‘증상’이란 그 개념 자체가 그리 당연한 것이 아니다. 즉 질환이 어떤 개인에게 생겼다 해도 환자가 증상을 나타내지 않고 호소가 없으면 증상으로 인정되지 않기 때문이다(양지묘, 1984).
한편 문명이 발달하고 사회가 점점 복잡해짐에 따라 건강의 제반 문제도 신체적심리적 측면을 넘어서 사회적 측면이라는 새로운 차원에서 생각하지 않으면 안 되게 되었다.
그리하여 세계 보건기구 WHO 헌장 전문에서 밝힌 정의는 “건강이란 질병이 없고 허약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육체적으로나 정신적으로 그리고 사회적으로 완전한 상태”를 의미한다고 규정하고 있다(권이형,1982)
건강은 개인의 자연적 현상과 사회적 환경과의 관계에서 정의 되었다고 보며, 이 관계란 개인과 집단의 상호관계적인 결과라고 말 할 수 있다. 그러므로 건강은 각 개인의 사회적 환경 속에서 생활하고 봉사할 수 있는 개인의 최적에 기능을 최대한도로 발휘하고 있는 상태라고 정의 할 수 있다(채현구, 1985).
2. 노인의 신체 건강 필요성
21세기는 지금껏 경험해보지 못한 고령화 사회로서, 노인들의 만성퇴행성 질환 및 장애가 가장 중요한 사회문제로 대두될 것으로 전망된다. 즉 거동할 수 없는 노인이나 치매환자와 같이 일상생활을 하는데 있어서 누군가의 도움에 의존해야 하는 노인들이 증가하게 된다. 만성퇴행성 질환은 생활행태와 관련이 높으며 대부분 여러 복합요인에 의하여 유발된다. 의존적인 노인들의 대부분은 복합적인 욕구를 가지고 있을 뿐 아니라 이러한 욕구가 장기화되는 경향이 있어 노년기의 삶의 질뿐만 아니라 노인의료비의 급증으로 인해 환자, 가족 그리고 국가의 경제적 부담이 크게 증가할 것이다. 따라서 노인의 질병에 대한 관리 사업은 단순한 치료서비스의 차원을 넘어 예방, 조기발견과 조기치료, 추후관리 재할 및 요양 등 종합된 범국가적인 사업으로 추진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Ⅱ. 본 론
1. 노인이 겪고 있는 만성질환의 실태, 현황
(1) 만성질환 유병률
OECD(27개) 국가 중 뇌졸중 사망률은 4번째로 높고, 당뇨 사망률은 10만명당 31.5명으로서 1위이다.
「2004년 전국 노인생활실태 및 복지욕구조사」에 따르면, 65세 이상 노인 중 90.9%가 만성퇴행성 질환을 가지고 있으며, 질병별로는 관절염(43.1%), 고혈압(40.8%), 요골, 좌골통(30.6%), 신경통(22.1%), 골다공증(18.9%), 백내장(18.1%), 소화성궤양(16.5%), 빈혈(15.9%), 당뇨병(13.8%), 디스크(12.6%)의 순서로 유병률이 나타났다.
이러한 만성질환을 앓고 있는 노인 중에서 만성질병으로 인하여 힘든 점이 있다는 노인이 50.8%이며, 그 어려움으로는 일상생활수행의 제한이 43.3%로 가장 많았다. 노인에게서 일단 만성 퇴행성질환이 발생하게 되면 이 질환의 특성으로 인해 일상생활에서도 자립성과 활동성을 상실하게 되어 다시 회복할 수 없는 삶의 질 저하를 초래한다.
(단위 : %)
구분
전치
성별
연령(세)
남
여
65~69
70~74
75이상
없다
9.1
15.6
5.0
10.3
7.9
8.7
있다
90.9
84.4
95.0
89.7
92.1
91.3
1개
17.1
25.9
11.5
20.9
15.6
13.4
2개
19.0
21.3
17.5
18.9
17.4
20.7
3개 이상
54.8
37.1
66.0
49.8
59.1
57.2
계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명)
3,029
1,171
1,858
1,214
903
911
한국보건사업연구원, 2004년도 전국노인생활실태 및 복지욕구조사 자료
※ 65세 이상 노인의 다빈도 만성질환
(단위 : %)
질환명
전체
남자
여자
관절염
43.1
21.8
56.6
고혈압
40.8
34.4
44.8
요통, 좌골통
30.6
18.6
38.1
신경통
22.1
14.9
26.5
고
Ⅰ. 서 론
1. 노인의 건강 개념
2. 노인의 신체건강 필요성
Ⅱ. 본 론
1. 노인이 겪고 있는 만성질환의 실태, 현황
1) 만성질환 유병률
2) 사망원인 순위
2. 노인의 만성질환
1) 퇴행성관절염
2) 골다공증
3) 뇌졸중
4) 고혈압
5) 당뇨병
6) 요실금
7) 백내장
3.일상수행능력의 개념, 현황
1) 일상수행능력의 개념
2) 일상수행능력의 현황
4. 건강증진차원으로 우리나라에서 이루어지는 서비스 현황
1) 노인장기요양보험
(1) 노인장기요양보험의 개념
(2) 의의
(3) 기존 건강보험과 노인장기요양보험의 차이
(4) 급여의 종류
2) 노인복지법
(1) 제1조
(2) 제2조
(3) 제27조
(4) 제30조
Ⅲ. 결 론
1. 정부의 한계와 대책
2. 민간체계의 한계와 대책
Ⅲ. 참 고 문 헌
Ⅰ. 서 론
1. 노인의 건강 개념
건강에 대한 개념의 시대의 흐름 속에 언제나 유동적이고 각 시대의 양식과 생명에 대한 의식에 따라 여러 가지로 표현되어 왔다.
즉, 인간이 살아온 그 시대의 민족, 지역, 환경, 문화를 토대로 해서 서로 다른 건강관이 형성되었던 것이다(안병철외, 1992).
그러나 오래전부터 건강에 대한 일반적인 개념은 “질병이 없는 상태”로 알려져 왔다. 하지만 ‘증상’이란 그 개념 자체가 그리 당연한 것이 아니다. 즉 질환이 어떤 개인에게 생겼다 해도 환자가 증상을 나타내지 않고 호소가 없으면 증상으로 인정되지 않기 때문이다(양지묘, 1984).
한편 문명이 발달하고 사회가 점점 복잡해짐에 따라 건강의 제반 문제도 신체적심리적 측면을 넘어서 사회적 측면이라는 새로운 차원에서 생각하지 않으면 안 되게 되었다.
그리하여 세계 보건기구 WHO 헌장 전문에서 밝힌 정의는 “건강이란 질병이 없고 허약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육체적으로나 정신적으로 그리고 사회적으로 완전한 상태”를 의미한다고 규정하고 있다(권이형,1982)
건강은 개인의 자연적 현상과 사회적 환경과의 관계에서 정의 되었다고 보며, 이 관계란 개인과 집단의 상호관계적인 결과라고 말 할 수 있다. 그러므로 건강은 각 개인의 사회적 환경 속에서 생활하고 봉사할 수 있는 개인의 최적에 기능을 최대한도로 발휘하고 있는 상태라고 정의 할 수 있다(채현구, 1985).
2. 노인의 신체 건강 필요성
21세기는 지금껏 경험해보지 못한 고령화 사회로서, 노인들의 만성퇴행성 질환 및 장애가 가장 중요한 사회문제로 대두될 것으로 전망된다. 즉 거동할 수 없는 노인이나 치매환자와 같이 일상생활을 하는데 있어서 누군가의 도움에 의존해야 하는 노인들이 증가하게 된다. 만성퇴행성 질환은 생활행태와 관련이 높으며 대부분 여러 복합요인에 의하여 유발된다. 의존적인 노인들의 대부분은 복합적인 욕구를 가지고 있을 뿐 아니라 이러한 욕구가 장기화되는 경향이 있어 노년기의 삶의 질뿐만 아니라 노인의료비의 급증으로 인해 환자, 가족 그리고 국가의 경제적 부담이 크게 증가할 것이다. 따라서 노인의 질병에 대한 관리 사업은 단순한 치료서비스의 차원을 넘어 예방, 조기발견과 조기치료, 추후관리 재할 및 요양 등 종합된 범국가적인 사업으로 추진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Ⅱ. 본 론
1. 노인이 겪고 있는 만성질환의 실태, 현황
(1) 만성질환 유병률
OECD(27개) 국가 중 뇌졸중 사망률은 4번째로 높고, 당뇨 사망률은 10만명당 31.5명으로서 1위이다.
「2004년 전국 노인생활실태 및 복지욕구조사」에 따르면, 65세 이상 노인 중 90.9%가 만성퇴행성 질환을 가지고 있으며, 질병별로는 관절염(43.1%), 고혈압(40.8%), 요골, 좌골통(30.6%), 신경통(22.1%), 골다공증(18.9%), 백내장(18.1%), 소화성궤양(16.5%), 빈혈(15.9%), 당뇨병(13.8%), 디스크(12.6%)의 순서로 유병률이 나타났다.
이러한 만성질환을 앓고 있는 노인 중에서 만성질병으로 인하여 힘든 점이 있다는 노인이 50.8%이며, 그 어려움으로는 일상생활수행의 제한이 43.3%로 가장 많았다. 노인에게서 일단 만성 퇴행성질환이 발생하게 되면 이 질환의 특성으로 인해 일상생활에서도 자립성과 활동성을 상실하게 되어 다시 회복할 수 없는 삶의 질 저하를 초래한다.
(단위 : %)
구분
전치
성별
연령(세)
남
여
65~69
70~74
75이상
없다
9.1
15.6
5.0
10.3
7.9
8.7
있다
90.9
84.4
95.0
89.7
92.1
91.3
1개
17.1
25.9
11.5
20.9
15.6
13.4
2개
19.0
21.3
17.5
18.9
17.4
20.7
3개 이상
54.8
37.1
66.0
49.8
59.1
57.2
계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명)
3,029
1,171
1,858
1,214
903
911
한국보건사업연구원, 2004년도 전국노인생활실태 및 복지욕구조사 자료
※ 65세 이상 노인의 다빈도 만성질환
(단위 : %)
질환명
전체
남자
여자
관절염
43.1
21.8
56.6
고혈압
40.8
34.4
44.8
요통, 좌골통
30.6
18.6
38.1
신경통
22.1
14.9
26.5
고
키워드
추천자료
[노인문제][노인][고령화][고령화사회][노인정책][노인자원봉사활동]노인문제의 실태와 과제 ...
[노인복지]복지패러다임 전환, 노인복지(노인복지정책) 개념,필요성, 지역사회복지 중시, 노...
[노인복지] 치매노인 정의, 개념, 치료, 예방, 실태, 사회적 문제, 치매노인 케어와 사회복지...
[사회복지] 사회복지학에서의 건강의 개념
아동 정신건강 문제, 아동정신건강 사례와 개입방안 보고서 - 정신건강 개념, 정서의 종류와 ...
사회보험법의 개념과 특성에 대하여 서술하시오 - 사회보험법, 국민연금법, 국민건강보험법, ...
[노인복지의 개념] 노인복지의 정의와 관점, 이념, 노인복지학과 노년학, 사회복지사와 노인...
[복지] 사회복지학에서의 건강의 개념
정신건강의 개념과 이론적 관점(생물학적 관점, 심리학적 관점, 사회환경적 관점, 생태체계 ...
[아동정신건강론 兒童精神健康論] 유아기의 발달 (幼兒期 發達) - 신체의 발달, 인지의 발달(...
[보건통계] 보건통계의 개념(사망에 관한 지표-사망률, 질병통계, 인구재생산 지표, 병원통계...
[비영리기관운영관리] 자신이 속한 지역사회에서 가정생활과 관련된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비...
현대사회의 한 사람으로서 나는 누구인가에 대해 자기개념 및 자기존중감(자존감)과 관련하여...
정신보건사회복지의 개념과 과제 정신보건법과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역할 정신보건사회복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