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멸균의 방법
1. 물리적 멸균법
1) 기계적 방법
① 여과 멸균법
② 초음파 멸균
③ 동결, 용해
2) 열에 의한 멸균
① 건열 멸균법
② 습열 멸균법
③ 간헐 멸균법
④ 고압증기 멸균법
2. 화학적 멸균방법
1) EO(ethylene oxide)가스멸균법
① 장단점
② 방법
2) 액체화학멸균법
① Sodium hypochlorite
② Glutaraldehyde(Wydex)
③ Activated dialdehyde(Surgikos)
④ Instrument solution
★중앙부의 물품관리 및 공급절차
1. 물리적 멸균법
1) 기계적 방법
① 여과 멸균법
② 초음파 멸균
③ 동결, 용해
2) 열에 의한 멸균
① 건열 멸균법
② 습열 멸균법
③ 간헐 멸균법
④ 고압증기 멸균법
2. 화학적 멸균방법
1) EO(ethylene oxide)가스멸균법
① 장단점
② 방법
2) 액체화학멸균법
① Sodium hypochlorite
② Glutaraldehyde(Wydex)
③ Activated dialdehyde(Surgikos)
④ Instrument solution
★중앙부의 물품관리 및 공급절차
본문내용
domonas, TB, Hepatitis, MRSA : 부서에서 물품 사용 후 즉시 포에 싸서 부서, 품명을 종이에 라벨 후 중앙공급실에 보내면 고압증기멸균 후 세척, 포장, 멸균한다.
가능한 1회용물품을 사용
AIDS : 가운, 마스크, 안경, 비닐 에프론은 set로 준비하여 사용 후 소각하고, 기계류는 격리용 물품 처리 방법과 동일하며 가능한 1회용 물품을 사용
린넨류 : 오염용 비닐에 넣고 세탁공장에 보내어 격리세탁
3) 오염구역 관리
오염된 물품을 처리하는 구역과 깨끗한 물품을 취급하는 구역은 구분하되 서로 관련된 업무는 인접해있어 동선을 최소화해야 한다.
바닥은 물세척이 가능하고 미끄러지지 않아야 한다.
작업대는 표면이 매끄러워야 한다.
쓰레기는 쌓이지 않아야 된다.
4) 멸균 물품 보관장
보관장은 최소한 바닥에서 20~35 cm 이상 천정에서 45cm 이상 외벽에서 5cm 이상 떨어진 곳에 위치해야한다. 보관장은 청소하기 용이하도록 부드러운 표면을 갖추며 모서리는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형태, 깨끗하며 건조한 상태로 유지되어야 한다.
2. 멸균 물품 · 기구의 총괄적 관리
* 공급
처방 발행 → 회계도장 → Set 장부 확인 → Set 공급
↓
환자성명, 병실, 가져간 사람, 준 사람
* 반환
처방발행 → 반환도장 → 회계확인→ Set 반납
↓
가져온 사람, 받은 사람
① 병동에서 1차 세척 : 1차 세척을 하지 않을 경우, 피나 농성 분비물이 물품에 붙어 떨어지지 않을 수 있다.
② 물품 교환시간에 교환한 물품들을 장부와 비교하여 개수를 세고 일반 오염 물품과 격리 물품 등으로 분류해놓는다.
이상 발견 시 즉시 해당 부서에 연락한다.
* 물품 교환시간
병동 : 1일 3회 (08:00~08:30, 14:00~14:30, 16:30~17:00)
외래 : 1일 2회 (전날 16:00~17:00에 중앙공급실에 가져다 놓으면 다음날 8:00에 외래에 가져다줌)
③ 일반 오염 물품과 격리 물품으로 나눈 물품을 각자의 방법에 맞게 세척 및 처리한다
④ 물품을 포장한다.
- 포장지가 찢어지지 않도록 주의
- 멸균 후 오염 방지를 위하여 정확한 크기의 포장재 선택
- 파열을 피하기 위하여 Pack의 과잉공기를 제거
- 포장 후 Chemical Indicator를 붙임
- 큰 Package에는 Internal Indicator를 넣어야 함
⑤ Cart 적재 및 멸균기 적재
- 가볍고 깨지 쉬운 것 주의, 무거운 것 아래에 놓지 않음
- 기구들을 꽉 차게 적재하지 않음 (스팀이 골고루 기구에 들어갈 수 있도록)
- 종류별로 적재하여 물품 확인을 편리하도록 함
⑥ 멸균이 끝난 후 공급하도록
- 컨베이어 공급 : 깨끗하게 관리하고 균형있고 알맞게 물품을 적재한다.
글러브나 카테터류는 포에 싸서 보냄
ICU, ER, NR 등은 컨베이어 공급이 안되므로 직접 방문토록 한다.
전염력이 있는 환자의 물품은 컨베이어를 이용하지 않는다.
- 직접 공급 : 물품이 급하게 필요하면 (ex: 수술방) 직접 와서 받아간다.
* 공급 원칙
필요한 부서에서는 비품을 확보함
Set 사용 시 부족된 물품이 발견되면 즉시 중앙공급실에 연락함
Set는 부서에서 직접 중앙공급실에 와 공급 받음
사용 후에는 즉시 반납
기계 확인은 Set속의 라벨을 참조
⑦ 멸균품 보관, 관리
· 깨끗하고 건조한 곳에 저장한다
· 보관장소는 통기가 잘되는 30 ~ 60%정도의 습도, 채광이 필요하다
· 물품정리 시 오래된 것 앞쪽에 저장한다
· 유효기간 확인한다
· 유효기간이 지난 것은 확인하여 재소독 한다
· 떨어뜨린 것, 열은 것, 다른 곳에 닿은 것, 젖은 것은 오염으로 간주한다
가능한 1회용물품을 사용
AIDS : 가운, 마스크, 안경, 비닐 에프론은 set로 준비하여 사용 후 소각하고, 기계류는 격리용 물품 처리 방법과 동일하며 가능한 1회용 물품을 사용
린넨류 : 오염용 비닐에 넣고 세탁공장에 보내어 격리세탁
3) 오염구역 관리
오염된 물품을 처리하는 구역과 깨끗한 물품을 취급하는 구역은 구분하되 서로 관련된 업무는 인접해있어 동선을 최소화해야 한다.
바닥은 물세척이 가능하고 미끄러지지 않아야 한다.
작업대는 표면이 매끄러워야 한다.
쓰레기는 쌓이지 않아야 된다.
4) 멸균 물품 보관장
보관장은 최소한 바닥에서 20~35 cm 이상 천정에서 45cm 이상 외벽에서 5cm 이상 떨어진 곳에 위치해야한다. 보관장은 청소하기 용이하도록 부드러운 표면을 갖추며 모서리는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형태, 깨끗하며 건조한 상태로 유지되어야 한다.
2. 멸균 물품 · 기구의 총괄적 관리
* 공급
처방 발행 → 회계도장 → Set 장부 확인 → Set 공급
↓
환자성명, 병실, 가져간 사람, 준 사람
* 반환
처방발행 → 반환도장 → 회계확인→ Set 반납
↓
가져온 사람, 받은 사람
① 병동에서 1차 세척 : 1차 세척을 하지 않을 경우, 피나 농성 분비물이 물품에 붙어 떨어지지 않을 수 있다.
② 물품 교환시간에 교환한 물품들을 장부와 비교하여 개수를 세고 일반 오염 물품과 격리 물품 등으로 분류해놓는다.
이상 발견 시 즉시 해당 부서에 연락한다.
* 물품 교환시간
병동 : 1일 3회 (08:00~08:30, 14:00~14:30, 16:30~17:00)
외래 : 1일 2회 (전날 16:00~17:00에 중앙공급실에 가져다 놓으면 다음날 8:00에 외래에 가져다줌)
③ 일반 오염 물품과 격리 물품으로 나눈 물품을 각자의 방법에 맞게 세척 및 처리한다
④ 물품을 포장한다.
- 포장지가 찢어지지 않도록 주의
- 멸균 후 오염 방지를 위하여 정확한 크기의 포장재 선택
- 파열을 피하기 위하여 Pack의 과잉공기를 제거
- 포장 후 Chemical Indicator를 붙임
- 큰 Package에는 Internal Indicator를 넣어야 함
⑤ Cart 적재 및 멸균기 적재
- 가볍고 깨지 쉬운 것 주의, 무거운 것 아래에 놓지 않음
- 기구들을 꽉 차게 적재하지 않음 (스팀이 골고루 기구에 들어갈 수 있도록)
- 종류별로 적재하여 물품 확인을 편리하도록 함
⑥ 멸균이 끝난 후 공급하도록
- 컨베이어 공급 : 깨끗하게 관리하고 균형있고 알맞게 물품을 적재한다.
글러브나 카테터류는 포에 싸서 보냄
ICU, ER, NR 등은 컨베이어 공급이 안되므로 직접 방문토록 한다.
전염력이 있는 환자의 물품은 컨베이어를 이용하지 않는다.
- 직접 공급 : 물품이 급하게 필요하면 (ex: 수술방) 직접 와서 받아간다.
* 공급 원칙
필요한 부서에서는 비품을 확보함
Set 사용 시 부족된 물품이 발견되면 즉시 중앙공급실에 연락함
Set는 부서에서 직접 중앙공급실에 와 공급 받음
사용 후에는 즉시 반납
기계 확인은 Set속의 라벨을 참조
⑦ 멸균품 보관, 관리
· 깨끗하고 건조한 곳에 저장한다
· 보관장소는 통기가 잘되는 30 ~ 60%정도의 습도, 채광이 필요하다
· 물품정리 시 오래된 것 앞쪽에 저장한다
· 유효기간 확인한다
· 유효기간이 지난 것은 확인하여 재소독 한다
· 떨어뜨린 것, 열은 것, 다른 곳에 닿은 것, 젖은 것은 오염으로 간주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