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허용 '한국어교육개론' 요약 리포트.
1. 한국어 품사와 문장성분
1.1. 낱말의 품사
1.2. 문장의 성분
2. 다의어와 동음이의어
2.1. 多義語 : 의미(뜻)이 여러개인 단어 -
2.2. 同音異義語
2.3. 우리말의 계통, 형태에 따른 분류
3. 세계의 주요 어족
3.1. 한국어의 기원
4. 훈민정음 창제 원리-모음과 자음
4.1. <훈민정음 해례본>
5. 주체 높임, 상대 높임, 객체 높임의 개념과 예시
6. 시간 관계 연결어미 '-고'와 ' - 아서/어서'
7. 불규칙 용언
1. 한국어 품사와 문장성분
1.1. 낱말의 품사
1.2. 문장의 성분
2. 다의어와 동음이의어
2.1. 多義語 : 의미(뜻)이 여러개인 단어 -
2.2. 同音異義語
2.3. 우리말의 계통, 형태에 따른 분류
3. 세계의 주요 어족
3.1. 한국어의 기원
4. 훈민정음 창제 원리-모음과 자음
4.1. <훈민정음 해례본>
5. 주체 높임, 상대 높임, 객체 높임의 개념과 예시
6. 시간 관계 연결어미 '-고'와 ' - 아서/어서'
7. 불규칙 용언
본문내용
1. 한국어 품사와 문장성분
1. 낱말의 품사
품사란, 공통된 성질을 지닌 단어끼리 모아 놓은 단어의 갈래를 말한다.
- 기능에 따라 : 체언, 관계언, 용언, 수식언, 독립언으로 분류
- 의미에 따라(9품사) : 명사, 대명사, 수사, 조사, 동사, 형용사, 관형사, 부사, 감탄사
큰명수가 체대 감독이라니, 형동생이 용하네, 관계를 조사하니 관부에서 수작했네.
대,명,수/체언 감탄사/독립언 형용,동사/용언 관계언/조사 관형사,부사/수식언
(체언) (관계언) (용언) (수식언) (독립언)
⑴ 체언(명사류) : 문장에서 주로 주체의 기능을 하는 낱말.
- 명사, 대명사, 수사
⑵ 관계언 : 조사 (-가, -에게, -을, -부터, -와 등)
⑶ 용언(동사류) : 주어를 서술하는 기능의 낱말(동사, 형용사, ‘이다’).
⑷ 수식언 : 문장에서 다른 말을 꾸며 주는 구실(관형사, 부사).
* 관형사 : 체언을 꾸며 주는 구실을 하는 낱말(이, 그, 저, 헌, 새, 한, 두 등)
* 부사 : 주로 용언을 꾸며 주는 구실을 하는 낱말(아주, 매우, 갑자기, 꼭 등)
⑸ 독립언 : 감탄사(아! 나의 대왕이시여...)
놀람, 느낌, 부름이나 대답 - 어머나, 오냐, 여보게, 네
2. 문장의 성분
[주성분] 주어, 서술어, 목적어, 보어
1. 주어 : 문장의 주체가 되는 성분, \'누가\', \'무엇이\'
2. 서술어 : 주어의 동작, 작용, 상태 등을 설명하는 성분, \'어찌하다\', \'어떠하다\', \'무엇이다\'
· 꽃이 핀다. (주어+서술어)
· 날씨가 따뜻하다. (주어+서술어)
· 이것이 꽃이다. (주어+서술어)
3. 목적어 : 서술어의 동작이나 대상이 되는 성분으로, \'무엇을\'
· 철수가 노래를 부른다. (주어+목적어+서술어)
· 동생이 책을 읽는다. (주어+목적어+서술어)
4. 보어 : 불완전한 서술어를 보충해주는 성분, \'되다\', \'아니다\' 앞에 오는 \'누가\', \'무엇이\'
· 수가 반장이 되었다. (되었다 앞에 오는 말)
· 그는 과학자가 아니다. (아니다 앞에 오는 말)
[부속성분]
5. 관형어 : 체언을 꾸며서 그 의미를 한정해 주는 성분, \'어떠한\', \'무엇의\'
· 새 구두가 예쁘다.
· 누나의 책을 빌렸다.
6. 부사어 : 주로 용언이나 다른 부사어를 꾸미는 성분, \'어떻게\', \'어찌\'
· 해송대왕은 매우 위대(胃大)하다.
· 그래서 밥을 엄청나게 / 잘 먹는다.
[독립성분]
7. 독립어 : 독립적으로 쓰이는 성분, 부르는 말, 대답하는 말, 느낌의 말
· 빙루야, 창문 닫아라. (부르는 말)
· 네, 알았어요. (대답하는 말)
· 어머나, 거 참, 앗, 헐,
1. 낱말의 품사
품사란, 공통된 성질을 지닌 단어끼리 모아 놓은 단어의 갈래를 말한다.
- 기능에 따라 : 체언, 관계언, 용언, 수식언, 독립언으로 분류
- 의미에 따라(9품사) : 명사, 대명사, 수사, 조사, 동사, 형용사, 관형사, 부사, 감탄사
큰명수가 체대 감독이라니, 형동생이 용하네, 관계를 조사하니 관부에서 수작했네.
대,명,수/체언 감탄사/독립언 형용,동사/용언 관계언/조사 관형사,부사/수식언
(체언) (관계언) (용언) (수식언) (독립언)
⑴ 체언(명사류) : 문장에서 주로 주체의 기능을 하는 낱말.
- 명사, 대명사, 수사
⑵ 관계언 : 조사 (-가, -에게, -을, -부터, -와 등)
⑶ 용언(동사류) : 주어를 서술하는 기능의 낱말(동사, 형용사, ‘이다’).
⑷ 수식언 : 문장에서 다른 말을 꾸며 주는 구실(관형사, 부사).
* 관형사 : 체언을 꾸며 주는 구실을 하는 낱말(이, 그, 저, 헌, 새, 한, 두 등)
* 부사 : 주로 용언을 꾸며 주는 구실을 하는 낱말(아주, 매우, 갑자기, 꼭 등)
⑸ 독립언 : 감탄사(아! 나의 대왕이시여...)
놀람, 느낌, 부름이나 대답 - 어머나, 오냐, 여보게, 네
2. 문장의 성분
[주성분] 주어, 서술어, 목적어, 보어
1. 주어 : 문장의 주체가 되는 성분, \'누가\', \'무엇이\'
2. 서술어 : 주어의 동작, 작용, 상태 등을 설명하는 성분, \'어찌하다\', \'어떠하다\', \'무엇이다\'
· 꽃이 핀다. (주어+서술어)
· 날씨가 따뜻하다. (주어+서술어)
· 이것이 꽃이다. (주어+서술어)
3. 목적어 : 서술어의 동작이나 대상이 되는 성분으로, \'무엇을\'
· 철수가 노래를 부른다. (주어+목적어+서술어)
· 동생이 책을 읽는다. (주어+목적어+서술어)
4. 보어 : 불완전한 서술어를 보충해주는 성분, \'되다\', \'아니다\' 앞에 오는 \'누가\', \'무엇이\'
· 수가 반장이 되었다. (되었다 앞에 오는 말)
· 그는 과학자가 아니다. (아니다 앞에 오는 말)
[부속성분]
5. 관형어 : 체언을 꾸며서 그 의미를 한정해 주는 성분, \'어떠한\', \'무엇의\'
· 새 구두가 예쁘다.
· 누나의 책을 빌렸다.
6. 부사어 : 주로 용언이나 다른 부사어를 꾸미는 성분, \'어떻게\', \'어찌\'
· 해송대왕은 매우 위대(胃大)하다.
· 그래서 밥을 엄청나게 / 잘 먹는다.
[독립성분]
7. 독립어 : 독립적으로 쓰이는 성분, 부르는 말, 대답하는 말, 느낌의 말
· 빙루야, 창문 닫아라. (부르는 말)
· 네, 알았어요. (대답하는 말)
· 어머나, 거 참, 앗, 헐,
추천자료
[교육대학원 한국어학과 석사과정-한국어교육개론] 한류 열풍에 따른 세계 속의 한국어교육 현장
[국문학개론] - 동유럽 지역의 한국어 교육과 문법 교육,동유럽 각국 대학교의 한국어 교육, ...
[국문학개론]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에서 문화를 통합시키기 위한 교육적 방안,외국어 교...
[국문학개론] - 한국어교육과 언어문화
[국문학개론] - 한국어교육을 위한 스페인어권의 언어문화 槪觀,스페인어권의 언어문화 개관 ...
[국문학개론] - 일본에서의 한국어교육과 언어문화, 이문화 이해교육, 이질성과 동질성의 문...
[국문학개론] - 중국어권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문법 교육의 현황과 개선 방안,한국어 교육에...
[국문학개론] 그리스 사람과 유교 사상 - 문화간 이해 증진을 위한 한국어교육 -어떤학생들이...
[국문학개론] - 한국어교육능력검정시험 평가 점수의 환산 체계 연구, 기존 원점수 방식의 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