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uenza virus, adenovirus, respiratory syncytial virus 등
2) 병태생리
점막의 부종, 분비물, 근육경련 : 기도의 염증과정에서 나타남
다양한 기도폐쇄 : 좁은 기도와 염증과정과 관련된 복합적인 요소로 나타남
흡기시 성문의 허탈 : 부종과 근육경련에 대한 반응으로 나타남
흡기시 기도의 폐쇄 흡기 시 stridor의 원인이 됨
아동이 충분한 산소를 마시기 위해 노력하는 모습 : 호흡곤란의 증상으로 나타남
3) 임상증상
일반적으로 증상이 심하지 않으나 호흡에 대한 노력이 증가되면 에너지를 고갈시키고,
호흡근육을 피곤하게 만드는 원인이 될 수 있음
쉰목소리 또는 개 짖는 소리와 같은 기침, 비강분비물, 인후통, 미열 등
빈맥과 빈호흡 : 질병의 중증도 파악
흡기성 stridor : 기도폐쇄의 정도에 따라 청진기를 사용하지 않고도 청진 가능
목, 늑간근, 흉골조직의 견축
하부 기도 폐쇄시 천명음
기관내 삽관과 인공환기는 생명을 유지하기에는 불충분한 호흡 시 적용
4) 진단
아동의 질병과정과 신체검진 결과, 흉부사진, 백혈구수치와 백혈구 감별치 결과로 진단
5) 치료
① 에피네프린
- 속효성 기관지 확장제이며 기도의 충혈을 감소시켜 조직의 부종 감소
- 분무화된 에피네프린 : 호흡부전을 보이는 저산소증 아동에게 사용됨
② corticosteroid
- 전신 또는 분무요법으로 투여 가능하며, 중등도의 크룹 아동에게 사용됨
- 분무화된 corticosteroid는 전신으로 투여되는 것보다 효과적이며 부작용도 적음
③ 수액요법
- 기도 분비물의 수분을 유지하고 기도로부터 분비물 배출을 용이하게 함
④ 침상안정
- 대사요구를 감소시켜 불안을 최소화함
⑤ 찬 수증기 치료 ☞크롭의 전통적인 치료방법이지만 효과는 논쟁의 여지가 남아있음
- 장점 : 분비물을 부드럽게 해주고, 배출을 용이하게 하며, 혈관 수축에 유용하다고 함
- 단점 : 찬 수증기 텐트는 축축하며, 춥고 불편감을 주고 가습기는 박테리아 성장의
배지로 작용할 수 있음, 가습화된 공기는 기도 저항성을 증가시켜 결과적으로 호흡의
노력을 증가시킴
- 찬 가습기를 적용시켜야 할 때 텐트나 마스크를 통하는 것보다 간헐적으로 아동의 얼굴
앞쪽에서 수증기를 흡입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함
- 부모는 밤에 아동을 산책하게 하면서 습기가 많은 찬 공기를 마시게 할 수 있음
2. 세기관지염(Bronchiolitis)
바이러스에의한 세기관지의 급성감염
어린 아동에게 자주 나타나는 질병으로 세기관지 염증을 일으킴
1) 발생빈도와 원인
대부분의 아동이 2세전 경험하며, 병원체가 유행하는 겨울과 이른 봄에 호발
주된 원인 : RSV이며, 다른 원인으로 Adenovirus, Parainfluenza, influenze 등이 있음
2) 병태생리
기도부종과 점액과 세포조각을 축척하는 감염 염증 세기관지를 좁게 만들거나
폐쇄 공기가 갇혀 폐포의 과대팽창, 무기폐 아동은 과소환기를 경험
3) 임상증상
흔한증상 : 천명음(부종과 분비물로 인해 기도가 막혀서 생김)
임상증상 : 상기도 감염과 비슷한 증상(콧물, 재채기, 식욕저하, 미열, 기침), 빈호흡
비강팽창, 견축, 악설음, 호기의 연장, 간헐적인 청색증
합병증 : 무호흡, 무기폐, 이차세균감염, 호흡기능부전
4) 진단
주된 방법은 신체검사, 병력이며, 백혈구수는 일반적으로 정상
흉부촬영 : 공기가 차있는게 보이고 침윤물과 무기폐를 보여줌
원인균 확인 : 인두분비물 배양, 항체분석
5) 치료
① 가정과 병원치료
가정
병원치료
- 약 95%가 가정에서 관리를 받음
- 충분한 휴식, 적절한 양의 수분섭취,
열 조절
- 호흡곤란, 탈수증상시 병원으로 가야함
- 습화된 산소, 정맥을 통한 수액공급
- 호흡 기능부전 아동 : 인공호흡기사용
- 이차세균 감염에 의한 폐렴이 나타나면 항생제 치료
② Ribavirin (Virazole)
- RSV에 의한 세기관지염의 유용한 치료제
- 분무형 항 바이러스 약물
- 감염으로 호흡부전이 일어 날수 있는 아동에게 사용(미숙아, 면역 결핍아동, 기관지이형
성증, 섬유성 낭종)
③ RSV를 예방하기 위한 2가지 약물
- RSV 면역 글로불린(RSV-IGIV 혹은 RespiGam) : 기관지폐형성증, 미숙아의 과거력을 가지고 있는 24개월 보다 어린 아동이나 영아에 사용
- Synagis : 세기관지염의 합병증이 예상되는 고위험 아동에게 사용
6) 간호관리
① 간호사정
산소포화도 검사를 포함한 지속적인 호흡기계 사정이 중요
주의깊은 관찰을 통해 호흡 곤란의 증상을 조기에 확인
빠른 중재는 호흡부전의 위험을 최소화
② 간호진단
air trapping과 점액분비물의 증가로 인한 비효율적인 기도 청결
열과 부족한 수분 공급으로 인한 체액 부족
질병과 관리에 대한 생소함과 관련된 양육자의 지식 부족
③ 간호계획과 수행
가정 : 가족교육이 중점
응급실 : 적절한 환기와 체액균형 유지
비인두 흡입 : 흡입 카테터, 밸브 주사기를 이용하며, 기도청결을 위해 이용
산소 공급 : 비강케뉼라, 산소후드(영아)
적절한 체위 : 침상머리를 올려줌(머리 상승은 가슴확장을 증가)
분비물 배출 촉진 : 적절한 환기위해 실시
양육자가 아동의 간호에 참여 격려 : 아동의 숨쉬는 노력과 스트레스를 감소시킴
정맥주입 : 아동이 구강으로 적절한 수분 섭취할 수 있을때 까지 시행
해열제 투여
간호사는 분무 요법으로 투여하는 약물이 처방 되었는지 확인, 체위배액 실시
RSV에 의한 세기관지염 : 다른 아동에게 전파를 막기 위해 지속적인 손씻기를 실시
④ 간호평가
간호계획이 아동과 가족의 요구를 충족시키는데 효과적이 었는지 결정
깨끗한 폐음은 부적절한 기도청결이라는 진단이 해결됐는지 평가하는 중요한 척도
촉촉한 점막 물질과 정상적인 소변배출량으로 수액 섭취 평가
아픈아동을 돌보기 위해서는 세기관지염의 이해와 관리방법을 보호자가 알아야 함
7) 가족교육
보호자에게 필요한 아동의 병에 대한 정보와 어떻게 관리하는지 알려주어야 함
구체적인 증상을 알아야 갑자기 증상을 보일
2) 병태생리
점막의 부종, 분비물, 근육경련 : 기도의 염증과정에서 나타남
다양한 기도폐쇄 : 좁은 기도와 염증과정과 관련된 복합적인 요소로 나타남
흡기시 성문의 허탈 : 부종과 근육경련에 대한 반응으로 나타남
흡기시 기도의 폐쇄 흡기 시 stridor의 원인이 됨
아동이 충분한 산소를 마시기 위해 노력하는 모습 : 호흡곤란의 증상으로 나타남
3) 임상증상
일반적으로 증상이 심하지 않으나 호흡에 대한 노력이 증가되면 에너지를 고갈시키고,
호흡근육을 피곤하게 만드는 원인이 될 수 있음
쉰목소리 또는 개 짖는 소리와 같은 기침, 비강분비물, 인후통, 미열 등
빈맥과 빈호흡 : 질병의 중증도 파악
흡기성 stridor : 기도폐쇄의 정도에 따라 청진기를 사용하지 않고도 청진 가능
목, 늑간근, 흉골조직의 견축
하부 기도 폐쇄시 천명음
기관내 삽관과 인공환기는 생명을 유지하기에는 불충분한 호흡 시 적용
4) 진단
아동의 질병과정과 신체검진 결과, 흉부사진, 백혈구수치와 백혈구 감별치 결과로 진단
5) 치료
① 에피네프린
- 속효성 기관지 확장제이며 기도의 충혈을 감소시켜 조직의 부종 감소
- 분무화된 에피네프린 : 호흡부전을 보이는 저산소증 아동에게 사용됨
② corticosteroid
- 전신 또는 분무요법으로 투여 가능하며, 중등도의 크룹 아동에게 사용됨
- 분무화된 corticosteroid는 전신으로 투여되는 것보다 효과적이며 부작용도 적음
③ 수액요법
- 기도 분비물의 수분을 유지하고 기도로부터 분비물 배출을 용이하게 함
④ 침상안정
- 대사요구를 감소시켜 불안을 최소화함
⑤ 찬 수증기 치료 ☞크롭의 전통적인 치료방법이지만 효과는 논쟁의 여지가 남아있음
- 장점 : 분비물을 부드럽게 해주고, 배출을 용이하게 하며, 혈관 수축에 유용하다고 함
- 단점 : 찬 수증기 텐트는 축축하며, 춥고 불편감을 주고 가습기는 박테리아 성장의
배지로 작용할 수 있음, 가습화된 공기는 기도 저항성을 증가시켜 결과적으로 호흡의
노력을 증가시킴
- 찬 가습기를 적용시켜야 할 때 텐트나 마스크를 통하는 것보다 간헐적으로 아동의 얼굴
앞쪽에서 수증기를 흡입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함
- 부모는 밤에 아동을 산책하게 하면서 습기가 많은 찬 공기를 마시게 할 수 있음
2. 세기관지염(Bronchiolitis)
바이러스에의한 세기관지의 급성감염
어린 아동에게 자주 나타나는 질병으로 세기관지 염증을 일으킴
1) 발생빈도와 원인
대부분의 아동이 2세전 경험하며, 병원체가 유행하는 겨울과 이른 봄에 호발
주된 원인 : RSV이며, 다른 원인으로 Adenovirus, Parainfluenza, influenze 등이 있음
2) 병태생리
기도부종과 점액과 세포조각을 축척하는 감염 염증 세기관지를 좁게 만들거나
폐쇄 공기가 갇혀 폐포의 과대팽창, 무기폐 아동은 과소환기를 경험
3) 임상증상
흔한증상 : 천명음(부종과 분비물로 인해 기도가 막혀서 생김)
임상증상 : 상기도 감염과 비슷한 증상(콧물, 재채기, 식욕저하, 미열, 기침), 빈호흡
비강팽창, 견축, 악설음, 호기의 연장, 간헐적인 청색증
합병증 : 무호흡, 무기폐, 이차세균감염, 호흡기능부전
4) 진단
주된 방법은 신체검사, 병력이며, 백혈구수는 일반적으로 정상
흉부촬영 : 공기가 차있는게 보이고 침윤물과 무기폐를 보여줌
원인균 확인 : 인두분비물 배양, 항체분석
5) 치료
① 가정과 병원치료
가정
병원치료
- 약 95%가 가정에서 관리를 받음
- 충분한 휴식, 적절한 양의 수분섭취,
열 조절
- 호흡곤란, 탈수증상시 병원으로 가야함
- 습화된 산소, 정맥을 통한 수액공급
- 호흡 기능부전 아동 : 인공호흡기사용
- 이차세균 감염에 의한 폐렴이 나타나면 항생제 치료
② Ribavirin (Virazole)
- RSV에 의한 세기관지염의 유용한 치료제
- 분무형 항 바이러스 약물
- 감염으로 호흡부전이 일어 날수 있는 아동에게 사용(미숙아, 면역 결핍아동, 기관지이형
성증, 섬유성 낭종)
③ RSV를 예방하기 위한 2가지 약물
- RSV 면역 글로불린(RSV-IGIV 혹은 RespiGam) : 기관지폐형성증, 미숙아의 과거력을 가지고 있는 24개월 보다 어린 아동이나 영아에 사용
- Synagis : 세기관지염의 합병증이 예상되는 고위험 아동에게 사용
6) 간호관리
① 간호사정
산소포화도 검사를 포함한 지속적인 호흡기계 사정이 중요
주의깊은 관찰을 통해 호흡 곤란의 증상을 조기에 확인
빠른 중재는 호흡부전의 위험을 최소화
② 간호진단
air trapping과 점액분비물의 증가로 인한 비효율적인 기도 청결
열과 부족한 수분 공급으로 인한 체액 부족
질병과 관리에 대한 생소함과 관련된 양육자의 지식 부족
③ 간호계획과 수행
가정 : 가족교육이 중점
응급실 : 적절한 환기와 체액균형 유지
비인두 흡입 : 흡입 카테터, 밸브 주사기를 이용하며, 기도청결을 위해 이용
산소 공급 : 비강케뉼라, 산소후드(영아)
적절한 체위 : 침상머리를 올려줌(머리 상승은 가슴확장을 증가)
분비물 배출 촉진 : 적절한 환기위해 실시
양육자가 아동의 간호에 참여 격려 : 아동의 숨쉬는 노력과 스트레스를 감소시킴
정맥주입 : 아동이 구강으로 적절한 수분 섭취할 수 있을때 까지 시행
해열제 투여
간호사는 분무 요법으로 투여하는 약물이 처방 되었는지 확인, 체위배액 실시
RSV에 의한 세기관지염 : 다른 아동에게 전파를 막기 위해 지속적인 손씻기를 실시
④ 간호평가
간호계획이 아동과 가족의 요구를 충족시키는데 효과적이 었는지 결정
깨끗한 폐음은 부적절한 기도청결이라는 진단이 해결됐는지 평가하는 중요한 척도
촉촉한 점막 물질과 정상적인 소변배출량으로 수액 섭취 평가
아픈아동을 돌보기 위해서는 세기관지염의 이해와 관리방법을 보호자가 알아야 함
7) 가족교육
보호자에게 필요한 아동의 병에 대한 정보와 어떻게 관리하는지 알려주어야 함
구체적인 증상을 알아야 갑자기 증상을 보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