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김동인 <배따라기>
1. 들어가며
여기에서는 김동인의 <배따라기>(『창조』,1921.5)을 검토 대상으로 삼아서, 그것이 ‘무엇을’‘어떻게’ 이야기하고 있는가를 구체적으로 파악해 보도록 할 것이다. 그리고 작가의 생애와 작가의 다른 작품들과 연관 지어서 <배따라기>의 가치를 전체적으로 판단해 볼 것이다. 과연 [배따라기]가 무엇을 말하려고 했고 어떻게 표현하여 그 가치를 드러냈는지 알아보자.
2. <배따라기>는 무엇을 이야기하고 있는가
<배따라기>는 한 뱃사람의 인생 역정에 이 작품 전체의 비중이 실려 있고 이를 작품 전체로 보면 현재에서 과거로 다시 과거에서 현재로 돌아오는 역순행적 구성법을 취하고 있다. <배따라기>의 서사 단락을 간략히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① 나는 봄날 모란봉에서 봄 경치를 즐기다가 배따라기를 부르는 그를 찾아내어 그의 사 연을 듣게 된다. (제1의 외부이야기)
② 그는 영유 사람으로 아우 내우와 이웃하여 살고 있었다. (내부 이야기)
③ 그는 예쁘고 쾌활한 아내와 사이가 좋았지만 아우에게 친절한 아내를 질투하여 때리고 괴롭힌다.
④ a. 아우가 첩을 두었다는 소문이 있는데, 형이 말리지 않았다고 아내가 다그치자 그는 아내를 내
1. 들어가며
여기에서는 김동인의 <배따라기>(『창조』,1921.5)을 검토 대상으로 삼아서, 그것이 ‘무엇을’‘어떻게’ 이야기하고 있는가를 구체적으로 파악해 보도록 할 것이다. 그리고 작가의 생애와 작가의 다른 작품들과 연관 지어서 <배따라기>의 가치를 전체적으로 판단해 볼 것이다. 과연 [배따라기]가 무엇을 말하려고 했고 어떻게 표현하여 그 가치를 드러냈는지 알아보자.
2. <배따라기>는 무엇을 이야기하고 있는가
<배따라기>는 한 뱃사람의 인생 역정에 이 작품 전체의 비중이 실려 있고 이를 작품 전체로 보면 현재에서 과거로 다시 과거에서 현재로 돌아오는 역순행적 구성법을 취하고 있다. <배따라기>의 서사 단락을 간략히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① 나는 봄날 모란봉에서 봄 경치를 즐기다가 배따라기를 부르는 그를 찾아내어 그의 사 연을 듣게 된다. (제1의 외부이야기)
② 그는 영유 사람으로 아우 내우와 이웃하여 살고 있었다. (내부 이야기)
③ 그는 예쁘고 쾌활한 아내와 사이가 좋았지만 아우에게 친절한 아내를 질투하여 때리고 괴롭힌다.
④ a. 아우가 첩을 두었다는 소문이 있는데, 형이 말리지 않았다고 아내가 다그치자 그는 아내를 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