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료실험(금속조직 실험)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재료실험(금속조직 실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금속조직을 하는이유

2. 금속조직을 하여서 얻은 결과를 활용할 수 있는 방법

3. 부식액의 성분과 특성

4. 전기용접에서 나타나는 연강의 조직

본문내용

이트를 흙색으로 침식하고, 또, 트루스타이트, 소르바이트, 마텐자이트를 부식시키는데 적합하며 Nital액에 비교하여 부식 작용이 완만하고, 조절이 용이하다.
정제, 건조 피클린산 결정 5g을 알코올 100cc에 용해하여 만든다.
-여러 금속들의 부식액의 성분과 특성-
※ 전기용접에서 나타나는 연강의 조직
1. 용접 금속부[완전 용융부-1500°C] : 용융·응고한 부분으로 Dendrite(수지상)형태의 조직을 나타낸다.
2. Bond부[용접 경계부 조직(반용융부)-1400°C] : 모재의 일부가 녹고 일부는 고체 그대로 아주 조립한 Widmanststten(비드만시퇴텐)조직을 나타낸다.
▶ Widmanststten(비드만시퇴텐)조직이란?
- 오스테나이트(Austenite) 기지의 특정 결정면을 따라 기하학적인 모양으로 냉각변태한 조직으로 재질은 탄소량 0.45% 함유한 중탄소강이다. 탄소강을 서냉하면 페라이트(Ferrite)조직이 오스테나이트(Austenite)조직의 결정립계에 먼저 발생하여 이것이 입내방향 및 입계에 따라서 성장하므로 망상의 페라이트(Ferrite)가 생성한다. 그리고 탄소 농도가 증가 또는 감소하여 공석성분(0.8%)에 가까워진 입 중앙부의 남은 오스테나이트(Austenite) 상 내에는 펄라이트(Pearlite)가 생성하여 불림조직이 된다. 그러나 냉각속도를 조금 빨리 하여 과냉된 온도에서 변태를 일으키면 오스테나이트(Austenite)의 결정립계 뿐만 아니라 입내에서도 핵이 생성한다. 조직의 모양도 침상 또는 판상의 형태를 띤다. 1000°C 이상의 고온으로 가열한 뒤 냉각시켜도 이 조직이 나타난다. 그래서 과열조직이라고도 한다.
3. 조립부[1100°C] : 1250~1450°C의 과열로 조립화 한다. 일부는 비드만시퇴텐 조직으로 나타나고 급랭 경화함으로 경도가 최대인 구역이다(2.8mm)
4. 미립부[세립부,미세부-900°C] : 균질한 조립역을 보인다(불림처리의 미세화-Ac3이상으로 가열) 따라서 인성이 크다 ← 노말라이징 미세립(3.3mm)
5. 입상 Pearlite부(700°C) : Pearlite가 세립상으로 분해된 부분(Ac1~Ac3범위로 가열-4.8mm)
6. 1)취화부(500°C) : 기계적 성질이 취화하나 현미경 조직검사로는 거의 변화가 없는 구역
2)모재부 : 응접열의 영향을 받지 않는 모재의 조직
7. 원질부(200°C~상온) : 용접열을 받지 않는 소재부분이다.

키워드

  • 가격1,2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3.12.01
  • 저작시기2012.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9560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