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인의 미의식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일본인의 미의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2000년대 초이지만 바로크 음악과 파이프 오르간 악기에 대한 지식을 종횡무진 자랑하면서 전개되는 추리소설이다. 두 작품에는 일본적 체취가 조금도 풍기지 않아 세계화한 작품이라는 생각이 든다.
(4) 일본의 대표 전통미술 - 우키요에 (浮世)
1) 우키요에의 유래와 역사
우키요에는 \'우키요\'를 그린 그림이다. 중세 전기의 전국시대, 계속되는 전란으로 비참한 생활을 이어가던 서민들이 불교의 염세사상에 따라 현세를 덧없는 세상 즉 \'우키요(憂き世)\'라 생각하게 되었다. 불교 사상의 확산으로 현세를 무상한 세상, 또는 임시 세상으로 여기는 경향이 강해진 것이 \'뜬구름 같은 세상\'(浮世)이란 표기가 정착한 배경이다. 피안이 아닌 현세, 과거도 미래도 바로 현재의 세상을 뜻한 것은 물론 호색과 탐욕 등 세속적 관심이 지배하는 세상이라는 등의 복합적인 의미를 띠었다. 그러다가 중세 말기에 이르러 신흥무가로 지배권이 옮겨가 현세는 순간일 뿐이라는 사고가 팽배해지고 향락을 추구하는 풍조가 널리 퍼지면서 \'우키요(憂き世)\'는 어느새 \'우키요(浮世)\' 즉 속세, 현실이라는 의미로 바뀌게 되었고, 당시 유행하던 그림 형태에 우키요에라는 이름이 붙었다. 우키요에는 에도시대 서민들에 의해 발생한 민화이다. 에도시대 초기부터 막부시대 말까지 교토를 중심으로 한 서민의 풍속 및 생활, 자연풍경을 사실적으로 묘사한 그림을 말한다. 교토 서민생활을 중심으로 한 그림에서 시작되었으며, 대중화되어 많은 사람들에게 퍼진 것은 18세기 에도 시대가 되고 나서부터이다. 단색판화에서 시작한 목판화의 기술이 다색판화로 향상되면서 가부키 배우, 도회의 여성, 서민들의 풍속 등 생활 가까이에서 접할 수 있는 소재가 그려졌고, 때마침 책 등의 읽을거리가 유행하자 우키요에가 그 옆에 그려지면서 더욱 대중화되었다. 우키요에는 서민의 그림으로서 당시 사람들의 오락의 제재로 취급되었다. 가부키배우를 그린 그림은 현재의 연예인 브로마이드 같은 것이었고, 미인화는 당시의 이상적인 여성상을 형상화한 것이었다. 자연풍경이 우키요에에 그려진 게 된 것은 서민의 생활이 풍요로워져 여행을 즐길 여유가 생기게 되었기 때문이며, 이것은 당시의 그림엽서 같은 역할을 했다. 또한 그 대중화에 의해 우키요에는 근세에 들어서 판화기업에 의해 기업화되면서 일본의 출판문화시대를 열기도 했다. 하지만 점점 하층계급의 미술로 전락하면서 메이지 시대의 근대 문명 성장과 함께 쇠퇴의 길을 걷게 되었고, 2차 세계대전 이후에 이르러서야 다시 주목을 받기 시작했다.
 2) 우키요에의 특징
250년의 우키요에의 역사를 돌아 볼 때 우키요에의 발생에서 종말에 이르기까지 항상 현실의 인간생활에서 일보도 떨어지지 않았던 것을 알 수 있다. 풍경화라하여도 현실의 생활과 불가분의 관계에 있고, 거기에는 인간체취가 분분히 느껴진다. 현실의 살아 있는 인간성을 벗어나 우키요에는 존재하지 않는다. 우키요에가 추구한 것은 각시대의 인간상이며 표현된 것은 인간의 미였다. 더욱이 육필로 絹위에 그려진 것이 아니고 칼과 馬連(baren. 판목에 먹을 칠해 종이를 덮고 문지르는 도구) 의해 판목위에 재현된 것이다. 예리한 철선과 같은 선묘사, 紙背에 까지 스며드는 듯한 부드러운 색채, 그 두가지의 새로운 표현기법에 의해 우키요에는 다른 일본미술에서는 볼 수 없는 특이한 미의 세계를 구현하였다. 에도 시대에 발달하였으며 육필화로 시작, 1765년 다색판화가 나오면서 황금기를 이루었다.
우키요에의 가장 큰 특성은 표현 형식이 목판화였다는 점이다. 화가의 육필화는 상업자본이 지배하는 제작 과정의 한 요소였을 뿐이었다. 그림을 그리고, 이를 목판에 새기고, 색을 칠해 떠내는 3단계의 작업이 상인자본 아래서 분업을 통해 이뤄졌다. 대개 200~300장을 찍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밑그림은 먹으로 테두리만을 그리는 예가 많았고 원화의 색감을 살리는 경우에도 소비자의 기호에 따라 색깔의 변화가 있었다. 우키요에는 독립하기 전 오랫동안 목판본의 삽화에 머물렀다. 그림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대중소설이나 경전 등에 작게 실렸던 삽화가 점점 커졌고 나중에는 아예 그림이 주가 되고 글은 양념으로 곁들이게 됐다. 용도도 대단히 실용적이었다. 유곽의 유녀들은 요염한 모습을 담은 초상화를 브로마이드처럼 선전기념용으로 뿌렸고, 가부키(歌舞伎) 극단은 유명 배우의 모습을 담은 그림을 오늘날의 영화 포스터처럼 이용했다. 순수한 감상용으로 벽을 장식하는 예도 있었지만 오늘날의 \'이발소 그림\'처럼 대중적이고 초보적인 감상 수요를 겨냥한 것이었다. 17세기 후반부터 발달하기 시작했던 우키요에도 시민 계급과 상공업의 발달이 유발시켰던 미술이다. 처음에는 간단한 흑백판화로 시작했으나 곧 채색판화가 등장했고 이어 다색판화로 발전함에 따라 널리 사랑 받게 되었다. 스즈키 하루노부[鈴木春信]는 소녀 같은 일본 미인을, 도리이 기요나가[鳥居淸長]는 성숙한 미인을, 그리고 우타마로는 미인의 상반신만을 묘사하는 등 기모노를 입은 일본 여인의 아름다움을 잘 묘사했다. 18세기 후반에 들어 우키요에 판화는 인물화뿐 아니라 산수도 다루게 됨에 따라 더욱 성장하는데 호쿠사이[北齊]와 히로시게[廣重]가 특히 우수한 작품을 많이 남겼다. 그들이 수십 개의 연작을 제작한 것을 볼 때 그들의 인기도를 미루어 짐작할 수 있다. 우키요에 판화는 또 서양에 전해져 인상파 화가에게도 영향을 미쳤음은 특기할 사실이다. 또한 나가사키 항구를 통해 들어온 중국의 명청나라 회화에 자극을 받아 일어난 남화(南畵)도 중요한 화파이다. 처음에는 다소 모방적이었으나 이케노 다이가[池大雅]와 요사 부손[與謝蕪村]이 일본적으로 소화된 그림을 그리면서 남화가 발전하기 시작했다. 후에는 보다 중국적인 수묵산수화로 돌아가려는 움직임도 있었지만 지쿠덴[竹田], 가잔[華山], 뎃사이[鐵齊]와 같은 화가들이 출현함으로써 남화는 일본적인 색채를 계속 유지해 나갈 수 있었다. 이밖에도 개성이 돋보였던 이토 자쿠추[伊藤若沖]나 소가 쇼하쿠[曾我蕭白]가 기발한 작품을 많이 남겼으며, 서양의 정교한 사실적 기법을 동양적 수묵 처리와 결합시킨 마루야마 오쿄[円山應擧]와 그의 제자 고
  • 가격2,2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13.12.12
  • 저작시기2013.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9701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