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본문화의 특징과 민속
Ⅰ.서론
Ⅱ.본론
1. 衣食住 文化
⑴의생활-기모노
⑵음식문화
⑶주거문화
2. 일본의 명절, 연중행사
⑴설날(오쇼가츠)
⑵세쯔분(節分)
⑶히나마쯔리
(4)어린이날
(5)성인식
3. 마쯔리문화
4. 일본의 결혼문화
5. 일본의 전통문화
⑴가부키
⑵분라쿠
⑶노(能:の)
⑷다도(茶道)
⑸스모(すもう)
6.일본의 생활문화
⑴목욕
(2)선물주기
⑶ 하나미(はなみ)
⑷꽃꽂이(いけばな)
⑸자전거타기
7.일본의 대중문화
⑴대중가요
⑵애니메이션
Ⅲ. 결론
Ⅰ.서론
Ⅱ.본론
1. 衣食住 文化
⑴의생활-기모노
⑵음식문화
⑶주거문화
2. 일본의 명절, 연중행사
⑴설날(오쇼가츠)
⑵세쯔분(節分)
⑶히나마쯔리
(4)어린이날
(5)성인식
3. 마쯔리문화
4. 일본의 결혼문화
5. 일본의 전통문화
⑴가부키
⑵분라쿠
⑶노(能:の)
⑷다도(茶道)
⑸스모(すもう)
6.일본의 생활문화
⑴목욕
(2)선물주기
⑶ 하나미(はなみ)
⑷꽃꽂이(いけばな)
⑸자전거타기
7.일본의 대중문화
⑴대중가요
⑵애니메이션
Ⅲ. 결론
본문내용
있다. 일본의 주된 요리를 알 아보기로 하자.
①나베모노(なべもの 냄비요리, 국물요리
냄비에 여러 가지 재료를 넣고 다시 국물을 부어 끓인 것으로 대표적인 요리로는 샤브샤브가 있다. 샤브샤브는 얇게 썬 쇠고기를 끓는 국물 속에 넣어 가볍게 익혀 먹는데 고기의 지방질이 빠져 맛있게 먹을 수 있다. 배추, 쑥갓, 버섯, 곤약, 당면등 도 같이 살짝 데쳐 먹는다.
②스시(すし) 초밥
식초, 소금, 미링으로 조미한 밥에 생선이나 야채를 넣거나 얹어서 먹는 음식이다. 모양도 원형또는 여러 가지 모양으로 만들며 손으로 간장에 찍어 먹는다.
③덴뿌라(でんぷら) 튀김
새우, 오징어, 생선, 붕장어등을 혼합한 재료에 계란과 밀가루를 섞어 묽은 반죽을 만든 후 재료를 담갔다가 튀겨낸 음식이다.
④사시미(さしみ) 회
일본의 일품요리의 대표로서 살아있는 생선을 썰어 간장에 찍어먹는 것으로 계절에 따라 쓰이는 생선이 다르고 생선의 종류에 따라 써는 방법도 여러 가지여서 사시미 문화라는 말이 있을 정도이다.
⑤소바(そば) 메밀국수
계란과 고구마전분을 첨가한 메밀가루로 만든 갈색의 국수로 뜨겁게 또는 차게 해 서 묽은 간장에 찍어 먹는다.
⑥라멘(らめん)
일본인 입맛에 맞게 양념한 중국식 밀가루 국수를 간장소스나 된장맑은 국물에 말 아 먹으며 얇게 저며 구운 돼지고기와 콩나물을 곁들여 먹는다.
이 밖에도 일본의 음식으로는 스이모노(국), 스노모노(초무침), 쯔께모노(김치류)등 과 식사전 먹는 쯔께다시(곁들인 안주), 우리나라 음식으로서 일본인에게 인기있는 야키니쿠(불고기), 바쁜 직장인이나 학생에게 인기있는 밴또(도시락), 일본의 전통음 식이 아니면서도 일본의 가장 대중적인 음식이 되어버린 카레와 돈까스가 있다.
⑶주거문화
일본의 건물은 높지않은 목조건물이 많은데 이것은 지진의 피해를 최대한 줄이기 위한 것이다. 건물이 낮을수록 무너질 확률이 낮고 콘크리트보다 목조건물이 흔들림에 강하기 때문이라고 한다. 그러나 목조건물이 화재에는 취약하며 방음이 되지 않아 소음에 노출되 기 쉬운 단점이 있다. 일본의 집이 대체로 좁은 것은 일본의 심각한 주택난에 기인한 것 이다.
구조적 특징으로는 첫째로 다다미로서 일본이 다다미문화가 된데는 그럴만한 이유가 있 다.다다미는 습기나 냉기조절에 뛰어나 습기가 많고 바닥에 불을 때지 않는 일본의 주택 에 잘 맞고 무릎을 꿇고 앉는 것이 일반적인 일본인에게 쿠션역할을 한다.
두 번째 특징으로 도코노마가 있는데 다다미방 벽면에 작은 공간을 만들고 바닥을 약간 높혀 족자를 걸고 화병이나 장식품을 두는데 집이 생활하기도 비좁기 때문에 접차 사라지 고 있다. 세 번째는 일본의 유일한 난방기구로서 고다쓰가 있다. 낮은 책상같이 생긴 것에 적외선 등을 달고 이불을 덮은 뒤 이불 위에 또 윗판을 덮고 식탁이나 책상등으로 다양하 게 사용할 수 있으며 함께 모여 담소를 나누고 책도 읽을 수 있는 가족공동 생활공간이다. 그리고 불상이나 조상의 위패를 모셔두는 불단이 있는데 요즘은 일본인의 가정에서 이 불 단이 급격히 사라지고 있다고 한다.
2. 일본의 명절, 연중행사
⑴설날(오쇼가츠)
1월1일은 새해 첫날이므로 중요한 날이다. 밝아오는 미래를 향해 새로운 설계를 하며 그것이 이루어지도록 기원하는 의미가 부여된 날인만큼 여러 가지 일을 하고 특별한 음 식도 준비한다. 일본도 우리처럼 설날을 최대의 명절로 지내는데 일본의 설 연휴는 보 통 일주일정도로 길고 성대하게 보낸다. 설날의 민속을 보면 집의 출입문 양쪽에 가도 마쯔 라고 하는 소나무로 만든 장식물을 세우고, 출입문 위에는 시메가와라는 장식물을 걸어두는데 이는 신이 머무는 신성한 장소임을 나타내는 상징물이다. 또 찹쌀로
①나베모노(なべもの 냄비요리, 국물요리
냄비에 여러 가지 재료를 넣고 다시 국물을 부어 끓인 것으로 대표적인 요리로는 샤브샤브가 있다. 샤브샤브는 얇게 썬 쇠고기를 끓는 국물 속에 넣어 가볍게 익혀 먹는데 고기의 지방질이 빠져 맛있게 먹을 수 있다. 배추, 쑥갓, 버섯, 곤약, 당면등 도 같이 살짝 데쳐 먹는다.
②스시(すし) 초밥
식초, 소금, 미링으로 조미한 밥에 생선이나 야채를 넣거나 얹어서 먹는 음식이다. 모양도 원형또는 여러 가지 모양으로 만들며 손으로 간장에 찍어 먹는다.
③덴뿌라(でんぷら) 튀김
새우, 오징어, 생선, 붕장어등을 혼합한 재료에 계란과 밀가루를 섞어 묽은 반죽을 만든 후 재료를 담갔다가 튀겨낸 음식이다.
④사시미(さしみ) 회
일본의 일품요리의 대표로서 살아있는 생선을 썰어 간장에 찍어먹는 것으로 계절에 따라 쓰이는 생선이 다르고 생선의 종류에 따라 써는 방법도 여러 가지여서 사시미 문화라는 말이 있을 정도이다.
⑤소바(そば) 메밀국수
계란과 고구마전분을 첨가한 메밀가루로 만든 갈색의 국수로 뜨겁게 또는 차게 해 서 묽은 간장에 찍어 먹는다.
⑥라멘(らめん)
일본인 입맛에 맞게 양념한 중국식 밀가루 국수를 간장소스나 된장맑은 국물에 말 아 먹으며 얇게 저며 구운 돼지고기와 콩나물을 곁들여 먹는다.
이 밖에도 일본의 음식으로는 스이모노(국), 스노모노(초무침), 쯔께모노(김치류)등 과 식사전 먹는 쯔께다시(곁들인 안주), 우리나라 음식으로서 일본인에게 인기있는 야키니쿠(불고기), 바쁜 직장인이나 학생에게 인기있는 밴또(도시락), 일본의 전통음 식이 아니면서도 일본의 가장 대중적인 음식이 되어버린 카레와 돈까스가 있다.
⑶주거문화
일본의 건물은 높지않은 목조건물이 많은데 이것은 지진의 피해를 최대한 줄이기 위한 것이다. 건물이 낮을수록 무너질 확률이 낮고 콘크리트보다 목조건물이 흔들림에 강하기 때문이라고 한다. 그러나 목조건물이 화재에는 취약하며 방음이 되지 않아 소음에 노출되 기 쉬운 단점이 있다. 일본의 집이 대체로 좁은 것은 일본의 심각한 주택난에 기인한 것 이다.
구조적 특징으로는 첫째로 다다미로서 일본이 다다미문화가 된데는 그럴만한 이유가 있 다.다다미는 습기나 냉기조절에 뛰어나 습기가 많고 바닥에 불을 때지 않는 일본의 주택 에 잘 맞고 무릎을 꿇고 앉는 것이 일반적인 일본인에게 쿠션역할을 한다.
두 번째 특징으로 도코노마가 있는데 다다미방 벽면에 작은 공간을 만들고 바닥을 약간 높혀 족자를 걸고 화병이나 장식품을 두는데 집이 생활하기도 비좁기 때문에 접차 사라지 고 있다. 세 번째는 일본의 유일한 난방기구로서 고다쓰가 있다. 낮은 책상같이 생긴 것에 적외선 등을 달고 이불을 덮은 뒤 이불 위에 또 윗판을 덮고 식탁이나 책상등으로 다양하 게 사용할 수 있으며 함께 모여 담소를 나누고 책도 읽을 수 있는 가족공동 생활공간이다. 그리고 불상이나 조상의 위패를 모셔두는 불단이 있는데 요즘은 일본인의 가정에서 이 불 단이 급격히 사라지고 있다고 한다.
2. 일본의 명절, 연중행사
⑴설날(오쇼가츠)
1월1일은 새해 첫날이므로 중요한 날이다. 밝아오는 미래를 향해 새로운 설계를 하며 그것이 이루어지도록 기원하는 의미가 부여된 날인만큼 여러 가지 일을 하고 특별한 음 식도 준비한다. 일본도 우리처럼 설날을 최대의 명절로 지내는데 일본의 설 연휴는 보 통 일주일정도로 길고 성대하게 보낸다. 설날의 민속을 보면 집의 출입문 양쪽에 가도 마쯔 라고 하는 소나무로 만든 장식물을 세우고, 출입문 위에는 시메가와라는 장식물을 걸어두는데 이는 신이 머무는 신성한 장소임을 나타내는 상징물이다. 또 찹쌀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