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01 놀부 기업소개
1. 회사 개요
2. 회사 연혁
3. 해외진출현황
02 놀부 재무분석
1. 기업 재무제표 분석
03 HR 인적자원관리
04생산 및 물류
1. 생산
2. 물류
05 영업 및 마케팅전략
1. 국내전략
1) 전통음식의 프랜차이즈화
2) 옛 향수를 자극하는 감성 마케팅
3) PPL을 통한 마케팅과 광고
4) 가격
5) 고객만족경영
2. 해외전략
1) 미국에서 놀부의 실패요인
2) 중국에서 놀부의 성공요인
06 놀부 국내성공요인 분석
1. 한식의 프랜차이즈화
2. 가맹전개 전략
3. 문화 마케팅
07 놀부 해외의 성공/실패요인분석
1. 현지화의 차이
2. 관리의 차이
3. 타겟 설정의 차이
4. 현지인들의 관심도의 차이
08 해결방안 01 놀부 기업소개
1. 회사 개요
2. 회사 연혁
3. 해외진출현황
02 놀부 재무분석
1. 기업 재무제표 분석
03 HR 인적자원관리
04생산 및 물류
1. 생산
2. 물류
05 영업 및 마케팅전략
1. 국내전략
1) 전통음식의 프랜차이즈화
2) 옛 향수를 자극하는 감성 마케팅
3) PPL을 통한 마케팅과 광고
4) 가격
5) 고객만족경영
2. 해외전략
1) 미국에서 놀부의 실패요인
2) 중국에서 놀부의 성공요인
06 놀부 국내성공요인 분석
1. 한식의 프랜차이즈화
2. 가맹전개 전략
3. 문화 마케팅
07 놀부 해외의 성공/실패요인분석
1. 현지화의 차이
2. 관리의 차이
3. 타겟 설정의 차이
4. 현지인들의 관심도의 차이
08 해결방안
1. 회사 개요
2. 회사 연혁
3. 해외진출현황
02 놀부 재무분석
1. 기업 재무제표 분석
03 HR 인적자원관리
04생산 및 물류
1. 생산
2. 물류
05 영업 및 마케팅전략
1. 국내전략
1) 전통음식의 프랜차이즈화
2) 옛 향수를 자극하는 감성 마케팅
3) PPL을 통한 마케팅과 광고
4) 가격
5) 고객만족경영
2. 해외전략
1) 미국에서 놀부의 실패요인
2) 중국에서 놀부의 성공요인
06 놀부 국내성공요인 분석
1. 한식의 프랜차이즈화
2. 가맹전개 전략
3. 문화 마케팅
07 놀부 해외의 성공/실패요인분석
1. 현지화의 차이
2. 관리의 차이
3. 타겟 설정의 차이
4. 현지인들의 관심도의 차이
08 해결방안 01 놀부 기업소개
1. 회사 개요
2. 회사 연혁
3. 해외진출현황
02 놀부 재무분석
1. 기업 재무제표 분석
03 HR 인적자원관리
04생산 및 물류
1. 생산
2. 물류
05 영업 및 마케팅전략
1. 국내전략
1) 전통음식의 프랜차이즈화
2) 옛 향수를 자극하는 감성 마케팅
3) PPL을 통한 마케팅과 광고
4) 가격
5) 고객만족경영
2. 해외전략
1) 미국에서 놀부의 실패요인
2) 중국에서 놀부의 성공요인
06 놀부 국내성공요인 분석
1. 한식의 프랜차이즈화
2. 가맹전개 전략
3. 문화 마케팅
07 놀부 해외의 성공/실패요인분석
1. 현지화의 차이
2. 관리의 차이
3. 타겟 설정의 차이
4. 현지인들의 관심도의 차이
08 해결방안
본문내용
양한 고객의 니즈를 만족시켰다. 또한 일부 메뉴에 점심할인 제도를 도입함으로써 고객을 끌어들였다.
5. 고객만족경영
외식업에서 성공하기 위해서는 음식의 질, 직원의 서비스, 청결도등이 기본이고 다른 곳에는 없는 특별한 가치가 더해져야 한다. 고객은 자신이 지불한 가격에 비해 상회하는 이익을 얻었다고 판단될 때 재방문을 하고 이는 실제적인 이익이 된다. 이러한 점에서 놀부는 일반 개인 한식당의 서비스와 가게 분위기를 예상한 고객에게 한 차원 높은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고객에게 만족을 준다.
영업 및
마케팅
해외전략
놀부는 놀부보쌈으로 1991년 국내 외식업계 최초로 말레이시아에 진출하였고 1992년에 미국 LA에도 매장을 냈지만 실패를 하였다. 이 경험을 통해 해외시장에서 보쌈으로는 성공을 거두기 어렵다고 판단하고 ‘항아리 갈비’를 런칭하였다. 국내에서 성공을 거둔 항아리 갈비 브랜드로 일본과 중국에 진출하였고 싱가폴, 태국에도 매장을 오픈하였다.
1. 미국에서 놀부의 실패요인
1992년 놀부보쌈으로 미국LA에 가맹점을 개설했다. 미국LA지점은 한인의 비율이 높은 지역에 위치하였고, 또한 미국에서 한국에 대한 인지도가 높아지고 있는 시기였기 때문에 매력적인 지점이었다. 하지만 다소 성급한 시장 진입과 현지화 전략의 실패로 약5년 후에 가맹 권을 다른 사람에게 넘기면서 미국시장에서 철수 하였다.
1) 성급한 진출
놀부가 미국시장에 진출하게 된 것은 조사에 의하면 미국 내에서 놀부를 프랜차이즈 하고 싶어 하는 사람이 있었고, 놀부는 이 사람에게 가맹점을 제공한 형태로 첫 진출을 한 것으로 파악됐다. 결국 미국 시장에 대한 아무런 사전 조사나 경험을 통한 지식이 없이 진출한 형태가 되어버렸고, 이는 결과적으로 실패의 가장 큰 원인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만일 철저한 시장 조사를 한 후에 미국 시장에 진출 했다면 결과는 달라졌을 수 도 있었을 것이다.
2) 현지화 전략의 실패
미국인들은 대체적으로 한국인에 비하여 덜 맵고 더 단 음식을 선호한다. 또한 김치는 좋아하지만 마늘냄새는 싫어하는 미국인들이 많아 아예 김치를 먹지 않는다고 한다. 이와 같이 한식 특유의 음식냄새 뿐 만 아니라 음식을 주문하고 제공받을 때 까지 소요되는 긴 조리시간은 간단하게 식사를 해결하는 것을 선호하는 그들의 문화와 맞지 않았다. 한 그릇에 섞여 있어도 각각의 음식 맛을 느낄 수 있는 양식과는 달리 한 그릇에 음식을 담으면 음식 각각의 본래의 맛을 잃어버리는 한식의 특성과 젓가락을 사용하는 등의 식문화의 차이로 먹기 불편했던 방식 등 미국인에 대한 현지화 노력이 부족했다.
3) 매장관리의 어려움
국내에서 충북 음성의 CK를 통해 신선한 재료를 안전하게, 적시에 제공받을 수 있는 것과는 달리, 미국시장 내에서 식재료를 구입하는 데 애를 먹었다. 또한 미국 내 한식 다른 한식당과 마찬가지로 현지인을 아르바이트 형태로 고용하기 때문에 일관된 서비스 제공이 힘들었고 제대로 교육시킬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되어 있지 못했다는 점 등, 인력관리 부분에서 발생하는 문제로 인해 매장관리에 실패했다.
4) 잘못된 입지 선정
LA한인타운에 오픈할 경우 놀부의 상권이 LA한인타운에 한정되기 때문에 교포들이 이용하는데 유리한 반면 현지인들의 접근성이 낮아진다.
2. 중국에서 놀부의 성공요인
놀부는 2006년 항아리 갈비 직영점을 베이징에 오픈하고 2007년 상하이, 우시에 가맹점을 개설하였다.
1) 현지화
중국에서 놀부의 브랜드 네임은 ‘뤄버(樂佰)’이다. 놀부라는 캐릭터가 생소한 중국인에게 친근하고 쉽게 불릴 수 있는 ‘즐거운 아저씨’라는 뜻의 ‘뤄버‘를 브랜드 네임으로 정한 것이다.
철저한 현지시장 조사로 중국인이 육류를 즐겨 먹는다는 사실을 간파하여 갈비와 구이를 주 메뉴로 선정했다. 돼지고기를 주로 취급하는 한국과 달리 중국인들은 다양한 고기를 먹는다는 점을 감안하여 쇠고기, 양고기, 해물 등 다양한 메뉴를 마련하여 현지 중국인들로부터 좋은 반응을 이끌어내고 있다.
또한 식사 시 주류를 즐기는 중국 현지인들의 음식문화에 맞추어 각 지점마다 칵테일 바를 설치하여 식사와 함께 간단한 주류를 즐길 수 있도록 했다. 놀부는 칵테일바를 혼합한 퓨전 레스토랑 형태로 오래된 왕관을 전면에 배치해 한국 전통 문화를 표현함과 동시에 붉은 계열의 인테리어 색감을 살려 모던함을 추구한 모던 존, 갈대숲과 원시림을 디자인해서 자연미를 추구한 BAR를 설치하여 칵테일과 와인을 마실 수 있도록 만든 웨스턴 존, 실루엣과 비즈 장식 등으로 동양적인 신비감을 가미한 인테리어를 한 오리엔탈 존 등 공간별로 테마를 두어 동서양을 아우르는 인테리어와 분위기를 보여주었다. 또한 좌식에 익숙하지 않은 중국 문화를 고려하여 모든 좌석이 테이블로 구성하였다.
이처럼 현지의 식문화에 맞춘 보다 유연한 상품구성 전략을 통해 중국인들에게 친근히 다가갈 수 있도록 노력했다. 그러나 중국인들이 한국음식점을 찾는 이유가 자신들이 평소에 먹던 것과는 다른 이국적인 맛을 느끼기 위함이라고 판단하여 메뉴 구성에서는 현지화를 채택했지만 음식의 맛에서는 한식 맛을 유지하면서 한식의 특색을 중국인들에게 어필했다.
촉진 전략에 있어서 놀부는 매체를 통한 광고보다는 구전마케팅을 사용하였다. 초기에 한인들이 많이 거주하는 지역에 배포되는 잡지에 광고를 냈고 한국인이 중국인을 동반하여 매장을 방문하거나 말로 전달하게 하여 어느 정도 정보가 전달되었을 때 중국인들이 많이 구독하는 잡지에 광고를 내는 전략을 사용하였다. 주변인의 경험이나 직접 경험을 통해 제품을 구매하는 경향이 강한 중국인의 소배패턴과 맞아떨어져 성공적인 마케팅이 이루어졌다.
2) 고급화
소득 수준이 비교적 높고 기관이나 기업 단위의 고객 비중이 높은 것으로 고려하여 고가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 그들이 평범한 식당보다는 이국적이고 색다른 분위기를 원한다는 것을 파악하여 한식과 서구의 퓨전적 인테리어를 통해 그러한 분위기를 연출함으로써 타겟 고객층의 니즈를 적절히 만족시켰다. 이렇게 색다른 공간을 제공해 줌으로써 놀부만의 고급스럽고 독특한 테마를 통해 고급 음식점의 이미지를 구축했다. 그리고 중국에는 ‘
5. 고객만족경영
외식업에서 성공하기 위해서는 음식의 질, 직원의 서비스, 청결도등이 기본이고 다른 곳에는 없는 특별한 가치가 더해져야 한다. 고객은 자신이 지불한 가격에 비해 상회하는 이익을 얻었다고 판단될 때 재방문을 하고 이는 실제적인 이익이 된다. 이러한 점에서 놀부는 일반 개인 한식당의 서비스와 가게 분위기를 예상한 고객에게 한 차원 높은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고객에게 만족을 준다.
영업 및
마케팅
해외전략
놀부는 놀부보쌈으로 1991년 국내 외식업계 최초로 말레이시아에 진출하였고 1992년에 미국 LA에도 매장을 냈지만 실패를 하였다. 이 경험을 통해 해외시장에서 보쌈으로는 성공을 거두기 어렵다고 판단하고 ‘항아리 갈비’를 런칭하였다. 국내에서 성공을 거둔 항아리 갈비 브랜드로 일본과 중국에 진출하였고 싱가폴, 태국에도 매장을 오픈하였다.
1. 미국에서 놀부의 실패요인
1992년 놀부보쌈으로 미국LA에 가맹점을 개설했다. 미국LA지점은 한인의 비율이 높은 지역에 위치하였고, 또한 미국에서 한국에 대한 인지도가 높아지고 있는 시기였기 때문에 매력적인 지점이었다. 하지만 다소 성급한 시장 진입과 현지화 전략의 실패로 약5년 후에 가맹 권을 다른 사람에게 넘기면서 미국시장에서 철수 하였다.
1) 성급한 진출
놀부가 미국시장에 진출하게 된 것은 조사에 의하면 미국 내에서 놀부를 프랜차이즈 하고 싶어 하는 사람이 있었고, 놀부는 이 사람에게 가맹점을 제공한 형태로 첫 진출을 한 것으로 파악됐다. 결국 미국 시장에 대한 아무런 사전 조사나 경험을 통한 지식이 없이 진출한 형태가 되어버렸고, 이는 결과적으로 실패의 가장 큰 원인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만일 철저한 시장 조사를 한 후에 미국 시장에 진출 했다면 결과는 달라졌을 수 도 있었을 것이다.
2) 현지화 전략의 실패
미국인들은 대체적으로 한국인에 비하여 덜 맵고 더 단 음식을 선호한다. 또한 김치는 좋아하지만 마늘냄새는 싫어하는 미국인들이 많아 아예 김치를 먹지 않는다고 한다. 이와 같이 한식 특유의 음식냄새 뿐 만 아니라 음식을 주문하고 제공받을 때 까지 소요되는 긴 조리시간은 간단하게 식사를 해결하는 것을 선호하는 그들의 문화와 맞지 않았다. 한 그릇에 섞여 있어도 각각의 음식 맛을 느낄 수 있는 양식과는 달리 한 그릇에 음식을 담으면 음식 각각의 본래의 맛을 잃어버리는 한식의 특성과 젓가락을 사용하는 등의 식문화의 차이로 먹기 불편했던 방식 등 미국인에 대한 현지화 노력이 부족했다.
3) 매장관리의 어려움
국내에서 충북 음성의 CK를 통해 신선한 재료를 안전하게, 적시에 제공받을 수 있는 것과는 달리, 미국시장 내에서 식재료를 구입하는 데 애를 먹었다. 또한 미국 내 한식 다른 한식당과 마찬가지로 현지인을 아르바이트 형태로 고용하기 때문에 일관된 서비스 제공이 힘들었고 제대로 교육시킬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되어 있지 못했다는 점 등, 인력관리 부분에서 발생하는 문제로 인해 매장관리에 실패했다.
4) 잘못된 입지 선정
LA한인타운에 오픈할 경우 놀부의 상권이 LA한인타운에 한정되기 때문에 교포들이 이용하는데 유리한 반면 현지인들의 접근성이 낮아진다.
2. 중국에서 놀부의 성공요인
놀부는 2006년 항아리 갈비 직영점을 베이징에 오픈하고 2007년 상하이, 우시에 가맹점을 개설하였다.
1) 현지화
중국에서 놀부의 브랜드 네임은 ‘뤄버(樂佰)’이다. 놀부라는 캐릭터가 생소한 중국인에게 친근하고 쉽게 불릴 수 있는 ‘즐거운 아저씨’라는 뜻의 ‘뤄버‘를 브랜드 네임으로 정한 것이다.
철저한 현지시장 조사로 중국인이 육류를 즐겨 먹는다는 사실을 간파하여 갈비와 구이를 주 메뉴로 선정했다. 돼지고기를 주로 취급하는 한국과 달리 중국인들은 다양한 고기를 먹는다는 점을 감안하여 쇠고기, 양고기, 해물 등 다양한 메뉴를 마련하여 현지 중국인들로부터 좋은 반응을 이끌어내고 있다.
또한 식사 시 주류를 즐기는 중국 현지인들의 음식문화에 맞추어 각 지점마다 칵테일 바를 설치하여 식사와 함께 간단한 주류를 즐길 수 있도록 했다. 놀부는 칵테일바를 혼합한 퓨전 레스토랑 형태로 오래된 왕관을 전면에 배치해 한국 전통 문화를 표현함과 동시에 붉은 계열의 인테리어 색감을 살려 모던함을 추구한 모던 존, 갈대숲과 원시림을 디자인해서 자연미를 추구한 BAR를 설치하여 칵테일과 와인을 마실 수 있도록 만든 웨스턴 존, 실루엣과 비즈 장식 등으로 동양적인 신비감을 가미한 인테리어를 한 오리엔탈 존 등 공간별로 테마를 두어 동서양을 아우르는 인테리어와 분위기를 보여주었다. 또한 좌식에 익숙하지 않은 중국 문화를 고려하여 모든 좌석이 테이블로 구성하였다.
이처럼 현지의 식문화에 맞춘 보다 유연한 상품구성 전략을 통해 중국인들에게 친근히 다가갈 수 있도록 노력했다. 그러나 중국인들이 한국음식점을 찾는 이유가 자신들이 평소에 먹던 것과는 다른 이국적인 맛을 느끼기 위함이라고 판단하여 메뉴 구성에서는 현지화를 채택했지만 음식의 맛에서는 한식 맛을 유지하면서 한식의 특색을 중국인들에게 어필했다.
촉진 전략에 있어서 놀부는 매체를 통한 광고보다는 구전마케팅을 사용하였다. 초기에 한인들이 많이 거주하는 지역에 배포되는 잡지에 광고를 냈고 한국인이 중국인을 동반하여 매장을 방문하거나 말로 전달하게 하여 어느 정도 정보가 전달되었을 때 중국인들이 많이 구독하는 잡지에 광고를 내는 전략을 사용하였다. 주변인의 경험이나 직접 경험을 통해 제품을 구매하는 경향이 강한 중국인의 소배패턴과 맞아떨어져 성공적인 마케팅이 이루어졌다.
2) 고급화
소득 수준이 비교적 높고 기관이나 기업 단위의 고객 비중이 높은 것으로 고려하여 고가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 그들이 평범한 식당보다는 이국적이고 색다른 분위기를 원한다는 것을 파악하여 한식과 서구의 퓨전적 인테리어를 통해 그러한 분위기를 연출함으로써 타겟 고객층의 니즈를 적절히 만족시켰다. 이렇게 색다른 공간을 제공해 줌으로써 놀부만의 고급스럽고 독특한 테마를 통해 고급 음식점의 이미지를 구축했다. 그리고 중국에는 ‘
추천자료
외식업종사원의 교육훈련 프로그램 개발이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외식기업 종사원의 유니폼 디자인 개발에 관한 연구
외식산업 시장에서의 점유율 우위 확보를 위한 경영전략의 비교
외식산업의 현황
외식산업의 마케팅 활동
외식산업 식문화 패스트 푸드 haccp 롯데리아 레스토랑
외식업계의 Multi - Brands 전략(CJ푸드빌, 제너시스, 해리코리아, 큰들F&B, 놀부)
외식업체의 인재 교육 시스템 보고- ㈜CJ푸드빌과 ㈜놀부
외식업계의 인력난
외식업계의 공동마케팅 사례 분석 및 전망
외식업의 메뉴 마케팅 상품화 전략방안
외식산업 현황과 문제점, 해결방안
외식산업의 현황 및 문제점 분석 보고서
외식 산업 기획서(사업계획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