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목차
없음
본문내용
유압계와 같이 사용온도범위가 넓은 용도에 대하여 개발된 유압유이다. 난연성 유압유에는 윤활성이 떨어지는 것, 유압기기용의 재료, 도료 또는 다른 종류의 유압유와의 적합성에 문제가 있는 것, 여과에 특별한 고려를 필요로 하는 것 등이 있기 때문에, 사용할 때에는 신중을 기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 난연성 유압유는 가격면에서도 문제점이 있으나, 최근 이에 대한 요구가 증가되고 있으며, 미국에서는 그 사용도가 석유계 유압유의 4~5%에 이르고 있는 상태이다.
대표적인 난연성 유압유를 들면 다음과 같다.
난연성
유압유
│
│
│
함수영 유압유
│
부화액
수중유형 유화액(O/W)(oil-in-water-emulsion)
유중수형 유화액(W/O)(water-in-oil-emulsion)
물-글라이콜용액(water-glycol hyrauic oil)
합성형
유압유
│
│
연산(然酸) 에스텔(phosphater ester)
염화 탄화수소(chlorinated hydrocarbon)
인산 에스텔 + 염화 탄화수소
함수형 유압유(water-base hydraulic oil)의 난연성은 액 중의 물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물의 함유비율을 점검하는 일이 중요하다. 수중유형 유화유(O/W)는 수용성의 기름을 물에 수[%]현수(懸垂)시킨 유화액으로서, 윤활성이 나쁘고 점도가 낮은 것이 문제점이다. 따라서 플런저 펌프(plunger pump) 이외에는 그다지 사용되지 않고 있다. 유중수형 유압유(W/O)는 석유계 유압유에, 유화제에 의하여 미립자의 상태로 만든 물을 40% 전후 혼입하여 유상(emulsion)으로 만든 유압유이다. 이 유압유의 점도는 조성이나 제법에 따라 다르며, 54~215[cSt](37.78℃에서)의 범위에 있고, 물의 비율을 증가할수록 점도도 커진다. 사용온도는 35~50℃가 바람직하며, 방청과 소포성이 좋고, 윤활성도 양호하나, 화학적 안정성이 좋지 않은 것이 큰 결점이다. O/W를 사용하는 유압계에서는 마그네슘, 코르크 등의 사용을 피하여야 한다.
물-글라이코올계 유압유는 폴리글라이콜, 에틸렌글라이콜, 물 및 첨가제의 혼합액으로서, 약 40%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는 글라이콜수용액이 그 주성분이다. 첨가제로서는 점도증가제, 윤활제, 방청제 등을 가함으로써 유압유의 특성을 부여한다. 이 유압유의 이점은 항창화성이 우수하고, 유동점이 -40℃로서 낮으며, 점도지수가 높아서 수분혼입에 의한 영향이 적은 것 등이다. 사용온도범위는 -20~65℃(최고사용온도는 보통 50℃)로서, 60℃이상의 온도에서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이 유압유를 사용할 때 피해야 할 재료는 아연, 카드뮴, 마그네슘이 있고, 보통의 도료도 사용해서는 안된다.
합성형 유압유(synthetic hydraulic oil)의 내화성은 기제(基劑)의 화학적 성질에 달려 있어서, 물에 의하여 내화성을 높이고 있는 함수형 유압유와는 본절적으로 다르다. 첨가제를 함유하지 않은 합성형 유압유는 점도지수가 낮고, 저점도의 기제로 만들어지지 않는 이상 저온에서의 사용에는 적합하지 않으며, 실용상 석유계 유압유보다 낮은 온도에 있어서는 사용할 수가 없다. 점도는 점도지수향상제를 첨가하지 않을 경우 안정되며, 전단에 의하여 점도가 저하하는 일은 없다. 윤활성은 난연성 유압유 중에서 가장 좋다. 사용해서는 안 되는 재료로서는 보통의 고무와 도료가 있다.
표 2에 각종 유압유의 성질을 비교 표시한다.
표 2 각종 유압유의 성질
(수치는 1을 최량으로 하고 5를 사용불능으로 하는 5점법)
기름의
종 류
명 칭
물글
라이콜
유중수
유화액
수중유
유화액
염화탄
화수소
인 산
에스텔
인산에스텔+
염화탄화수소
석유계
VI제
투입
VI제
없음
저온유동성
점도안전성
1~2
1
3
2
4
1
4
1
3
1
1~2
4
3~4
1
1~2
1~3
기름의
종 류
명 칭
물글
라이콜
유중수
유화액
수중유
유화액
염화탄
화수소
인 산
에스텔
인산에스텔+
염화탄화수소
석유계
VI제
투입
VI제
없음
펌
프
마
모
방
지
성
베 인
2
2
5
1~2
1~2
2
1~2
1
플런저
경사판식
2
2
3
1~2
1~2
1~2
1~2
1
경사축식
4
3
5
1~2
1~2
2
1~2
1
기 어
내외접형
4
2
5
1~2
1~2
2
1~2
1
지로터형
4
1
3
1~2
1~2
1~2
1~2
1
1
1
1
1~2
1~2
1
1~2
1
산 화 안 정 성
2
2
2
1~2
1~2
2~3
1~2
1
항 분 리 성
1
2
3
1
1
1
1
1
방청, 방식성(액체)
2
2
2~3
1~2
1~2
1~2
1~2
1~2
방 청 성 ( 증 기 )
3
2~4
4
4
4
4
4
4
내 화 성
2
2~3
1
1
1
2
1
5
가 격
(고급석유계를 100으로한)
225~
300
100
20
450
510
535
510
100
* VI : 점도지수 향상제
표 3은 유압유의 일반성상을 비교한 것이다.
표 3 유압유의 성상비교
기름의 종류
항 목
석유계유압유
유중수형유화
유압유
물글라이콜계
유압유
인산에스텔계
합성유압유
비 중(15℃)
0.85~0.9
0.92
1.10
1.15
점도[cSt](38℃)
40~70
76~98
43
43
점 도 지 수 VI
95~100
130~150
140~165
32
유 동 점 [℃]
-20이하
-8~25
-30~52
-20
수 분[Wt%]
-
40
35~45
-
인 화 점[℃]
200이상
없 음
없 음
600
산화 및 열안정성
70℃이하
66℃이하
66℃이하
70℃이하에서는 석유계보다 양호
내 마 모 성
양 호
양호한 편
양호한 편
양호한 편
부 식 성
양 호
Cd, Mg 등
외에는 양호
Cd, Mg, Zn
이외에는 양호
열분해하지 않으면 금속에 대해서는 양호
소 모 성(消耗性)
양 호
양 호
양 호
양 호
대 누 설(對漏洩)
보 통
조금 엄중
조금 엄중
엄 중
유 압 유 의 보 급
보 통
다른 규격의 것과의 혼합을 엄중이 피한다.
정 화
보 통
1. 거의 40μ의 필터로 다른 유화색에 나쁜영향이 거의 없는 것을 쓸 것.
2. 일반으로 용해성이 강하므로 도료나 패칭제에는 충분이 주의할 것.
대 케 비 테 이 션
보 통
수분이 있어서 케
대표적인 난연성 유압유를 들면 다음과 같다.
난연성
유압유
│
│
│
함수영 유압유
│
부화액
수중유형 유화액(O/W)(oil-in-water-emulsion)
유중수형 유화액(W/O)(water-in-oil-emulsion)
물-글라이콜용액(water-glycol hyrauic oil)
합성형
유압유
│
│
연산(然酸) 에스텔(phosphater ester)
염화 탄화수소(chlorinated hydrocarbon)
인산 에스텔 + 염화 탄화수소
함수형 유압유(water-base hydraulic oil)의 난연성은 액 중의 물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물의 함유비율을 점검하는 일이 중요하다. 수중유형 유화유(O/W)는 수용성의 기름을 물에 수[%]현수(懸垂)시킨 유화액으로서, 윤활성이 나쁘고 점도가 낮은 것이 문제점이다. 따라서 플런저 펌프(plunger pump) 이외에는 그다지 사용되지 않고 있다. 유중수형 유압유(W/O)는 석유계 유압유에, 유화제에 의하여 미립자의 상태로 만든 물을 40% 전후 혼입하여 유상(emulsion)으로 만든 유압유이다. 이 유압유의 점도는 조성이나 제법에 따라 다르며, 54~215[cSt](37.78℃에서)의 범위에 있고, 물의 비율을 증가할수록 점도도 커진다. 사용온도는 35~50℃가 바람직하며, 방청과 소포성이 좋고, 윤활성도 양호하나, 화학적 안정성이 좋지 않은 것이 큰 결점이다. O/W를 사용하는 유압계에서는 마그네슘, 코르크 등의 사용을 피하여야 한다.
물-글라이코올계 유압유는 폴리글라이콜, 에틸렌글라이콜, 물 및 첨가제의 혼합액으로서, 약 40%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는 글라이콜수용액이 그 주성분이다. 첨가제로서는 점도증가제, 윤활제, 방청제 등을 가함으로써 유압유의 특성을 부여한다. 이 유압유의 이점은 항창화성이 우수하고, 유동점이 -40℃로서 낮으며, 점도지수가 높아서 수분혼입에 의한 영향이 적은 것 등이다. 사용온도범위는 -20~65℃(최고사용온도는 보통 50℃)로서, 60℃이상의 온도에서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이 유압유를 사용할 때 피해야 할 재료는 아연, 카드뮴, 마그네슘이 있고, 보통의 도료도 사용해서는 안된다.
합성형 유압유(synthetic hydraulic oil)의 내화성은 기제(基劑)의 화학적 성질에 달려 있어서, 물에 의하여 내화성을 높이고 있는 함수형 유압유와는 본절적으로 다르다. 첨가제를 함유하지 않은 합성형 유압유는 점도지수가 낮고, 저점도의 기제로 만들어지지 않는 이상 저온에서의 사용에는 적합하지 않으며, 실용상 석유계 유압유보다 낮은 온도에 있어서는 사용할 수가 없다. 점도는 점도지수향상제를 첨가하지 않을 경우 안정되며, 전단에 의하여 점도가 저하하는 일은 없다. 윤활성은 난연성 유압유 중에서 가장 좋다. 사용해서는 안 되는 재료로서는 보통의 고무와 도료가 있다.
표 2에 각종 유압유의 성질을 비교 표시한다.
표 2 각종 유압유의 성질
(수치는 1을 최량으로 하고 5를 사용불능으로 하는 5점법)
기름의
종 류
명 칭
물글
라이콜
유중수
유화액
수중유
유화액
염화탄
화수소
인 산
에스텔
인산에스텔+
염화탄화수소
석유계
VI제
투입
VI제
없음
저온유동성
점도안전성
1~2
1
3
2
4
1
4
1
3
1
1~2
4
3~4
1
1~2
1~3
기름의
종 류
명 칭
물글
라이콜
유중수
유화액
수중유
유화액
염화탄
화수소
인 산
에스텔
인산에스텔+
염화탄화수소
석유계
VI제
투입
VI제
없음
펌
프
마
모
방
지
성
베 인
2
2
5
1~2
1~2
2
1~2
1
플런저
경사판식
2
2
3
1~2
1~2
1~2
1~2
1
경사축식
4
3
5
1~2
1~2
2
1~2
1
기 어
내외접형
4
2
5
1~2
1~2
2
1~2
1
지로터형
4
1
3
1~2
1~2
1~2
1~2
1
1
1
1
1~2
1~2
1
1~2
1
산 화 안 정 성
2
2
2
1~2
1~2
2~3
1~2
1
항 분 리 성
1
2
3
1
1
1
1
1
방청, 방식성(액체)
2
2
2~3
1~2
1~2
1~2
1~2
1~2
방 청 성 ( 증 기 )
3
2~4
4
4
4
4
4
4
내 화 성
2
2~3
1
1
1
2
1
5
가 격
(고급석유계를 100으로한)
225~
300
100
20
450
510
535
510
100
* VI : 점도지수 향상제
표 3은 유압유의 일반성상을 비교한 것이다.
표 3 유압유의 성상비교
기름의 종류
항 목
석유계유압유
유중수형유화
유압유
물글라이콜계
유압유
인산에스텔계
합성유압유
비 중(15℃)
0.85~0.9
0.92
1.10
1.15
점도[cSt](38℃)
40~70
76~98
43
43
점 도 지 수 VI
95~100
130~150
140~165
32
유 동 점 [℃]
-20이하
-8~25
-30~52
-20
수 분[Wt%]
-
40
35~45
-
인 화 점[℃]
200이상
없 음
없 음
600
산화 및 열안정성
70℃이하
66℃이하
66℃이하
70℃이하에서는 석유계보다 양호
내 마 모 성
양 호
양호한 편
양호한 편
양호한 편
부 식 성
양 호
Cd, Mg 등
외에는 양호
Cd, Mg, Zn
이외에는 양호
열분해하지 않으면 금속에 대해서는 양호
소 모 성(消耗性)
양 호
양 호
양 호
양 호
대 누 설(對漏洩)
보 통
조금 엄중
조금 엄중
엄 중
유 압 유 의 보 급
보 통
다른 규격의 것과의 혼합을 엄중이 피한다.
정 화
보 통
1. 거의 40μ의 필터로 다른 유화색에 나쁜영향이 거의 없는 것을 쓸 것.
2. 일반으로 용해성이 강하므로 도료나 패칭제에는 충분이 주의할 것.
대 케 비 테 이 션
보 통
수분이 있어서 케
키워드
추천자료
도로공학
북한의 과학기술 연구에 관한 고찰
[ 화공 실험 ] 액 액 추출 (LIQUID & LIQUID EXTRACTION) / McCabe 예비 자료 보고서(화...
디지털 시대의 의공학의 미래 전망
건축, 공학, 구조시스템, 건물에 작용하는 하중과 그에 대한 저항력 구성 원리
구미서관 제4판 상하수도공학 4-5장 연습문제
[지체장애학생연구] 보조공학
[화학공학] 알루미늄 정량
[신소재공학] X-ray Diffraction (XRD : X선회절) 장비의 이해보고서
[정보통신공학] 공학설계 홈시어터 조사 및 설계 (Home Theater)
안전공학 (현황, 사고사례 분석 및 제시, 국내 교통사고 유형 분석, 스마트폰 이용으로 인한 ...
제조공학 및 실습 범용 선반 실습 보고서 [제조공학 및 실습]
블루투스 스마트 도어락(컴퓨터 공학/전기/전자/컴공/it/캡스톤/졸작/정보통신/프로젝트/아두...
기계공학응용실험 - PLC의 활용 결과보고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