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서론
1. 이벤트의 개념 및 정의 ---------------------------------------------- 2 ~ 7
Ⅰ. 이벤트의 어원과 개념
Ⅱ. 이벤트의 정의
Ⅲ. 이벤트의 목적
Ⅳ. 이벤트에 관한 다양한 접근
Ⅴ. 이벤트의 구성 요소 및 특성
- 본론
2. 이벤트의 발달배경 --------------------------------------------------- 8 ~ 12
Ⅰ. 이벤트의 성장요인
Ⅱ. 국내외 이벤트 발달과정
3. 이벤트의 효과 ------------------------------------------------------- 12 ~ 16
Ⅰ. 긍정적 효과
Ⅱ. 부정적 효과
4. 이벤트의 분류 ------------------------------------------------------- 16 ~ 18
Ⅰ. 형태에 따른 분류
Ⅱ. 프로그램에 따른 분류
Ⅲ. 주최자에 따른 분류
Ⅳ. 참가자에 따른 분류
Ⅴ. 기타 이벤트 분류
5. 지역이벤트 소개 및 사례분석 -------------------------------------- 18 ~ 30
Ⅰ. 지역이벤트의 정의
Ⅱ. 지역이벤트의 특성 및 목적
Ⅲ. 지역이벤트의 중요성
Ⅳ. 지역이벤트의 관광적 효과
Ⅴ. 국내 사례 개요
Ⅵ. 국외 사례
- 결론
6. 이벤트 산업의 문제점과 활성화 방안 ----------------------------- 31 ~ 34
Ⅰ. 세계 3대축제 관련 동영상
Ⅱ. 이벤트 산업의 문제점
Ⅲ. 이벤트 산업의 활성화 방안
♣ 참고 자료 ♣ ------------------------------------------ 35
1. 이벤트의 개념 및 정의 ---------------------------------------------- 2 ~ 7
Ⅰ. 이벤트의 어원과 개념
Ⅱ. 이벤트의 정의
Ⅲ. 이벤트의 목적
Ⅳ. 이벤트에 관한 다양한 접근
Ⅴ. 이벤트의 구성 요소 및 특성
- 본론
2. 이벤트의 발달배경 --------------------------------------------------- 8 ~ 12
Ⅰ. 이벤트의 성장요인
Ⅱ. 국내외 이벤트 발달과정
3. 이벤트의 효과 ------------------------------------------------------- 12 ~ 16
Ⅰ. 긍정적 효과
Ⅱ. 부정적 효과
4. 이벤트의 분류 ------------------------------------------------------- 16 ~ 18
Ⅰ. 형태에 따른 분류
Ⅱ. 프로그램에 따른 분류
Ⅲ. 주최자에 따른 분류
Ⅳ. 참가자에 따른 분류
Ⅴ. 기타 이벤트 분류
5. 지역이벤트 소개 및 사례분석 -------------------------------------- 18 ~ 30
Ⅰ. 지역이벤트의 정의
Ⅱ. 지역이벤트의 특성 및 목적
Ⅲ. 지역이벤트의 중요성
Ⅳ. 지역이벤트의 관광적 효과
Ⅴ. 국내 사례 개요
Ⅵ. 국외 사례
- 결론
6. 이벤트 산업의 문제점과 활성화 방안 ----------------------------- 31 ~ 34
Ⅰ. 세계 3대축제 관련 동영상
Ⅱ. 이벤트 산업의 문제점
Ⅲ. 이벤트 산업의 활성화 방안
♣ 참고 자료 ♣ ------------------------------------------ 35
본문내용
을에 집중되는 수요의 계절적 변동과 단순형, 일과성 이벤트가 많은 상황에서 이벤트 대행업체들의 건전한 성장을 기대하기 어렵다.
5) 이벤트 평가의 곤란성
이벤트 운영상의 기술력 그리고 이벤트 종료 후의 효과를 객관적 과학적으로 평가하여 제시하기 어렵기 때문에 대중에게 인정받거나 기술적 차별성을 입증하는 일이 굉장히 어렵다.
6) 주최측의 목적의식 불명확
이벤트를 유행에의 편승 또는 단순한 자기과시, 전시효과 등의 숨은 목적으로 추진하는 주최자들이 많아, 정작 표면에 부각되어야 할 목적의식이 흐려지는 경우가 많다. 특히 관광이벤트는 고위층 초청 인사들이 많아 권위적 의례적으로 흐르게 되면 대중들의 호응을 받기가 힘들다.
7) 이벤트하드웨어 부족
메가 이벤트를 유치하거나 자체적으로 기획하여 실시 할 경우에는 대형 이벤트 시설( 예를 들어 국제회의의 경우 전시회의 시설) 및 부대 기술 장비의 확충이 필수적이다.
8) 아이디어 권리확보 미흡
이벤트 기획의 첫걸음은 획기적인 아이디어 발굴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스스로 독자적인 아이디어를 구상하지 않고 다른 나라, 다른 지방에서 성공을 거둔 이벤트를 무조건 따라 복제하는 경향이 많다. 이는 이벤트업의 쇠퇴를 야기 시킨다.
9) 전통문화의 상업화
문화가 관광객들로부터 돈을 벌어들일 수 있는 일종의 상품이 된다는 사실을 관광지의 주민들이 알게 되면서 때때로 성스러운 행사를 일반 사람들이 쉽게 재연하고 즐길 수 있는 여흥으로 변모시키는 부작용이 종종 나타나고 있다.
10) 사회문제 발생
이벤트는 군중의 집중을 전제로 한 것이기 때문에 사회문제 발생의 소지가 많다. 지역 내 교통 혼잡, 안전사고, 폭력등의 범죄를 초래할 수 있기에 대중의 부정적 시각으로 이벤트업의 발전에 제약을 받고 있다.
Ⅲ. 이벤트 산업의 활성화 방안
1) 다양한 소재 및 아이디어 발굴
① 기존의 지역이벤트 활용
한국적 전통을 바탕으로 하는 자생적인 행사들을 지방자치단체 및 경제인단체의 지원과 협력으로 육성해 나간다면, 세계적으로 유명한 축제로 발돋움하여 관광객의 유치증진에 크게 기여할 것이다.
② 기존의 관광자원을 활용한 다양한 이벤트 개발
고유의 놀이문화나 민속 스포츠, 지방생업현장, 관광시설물 등 고유 관광자원을 적절히 활용하여 이벤트와 연계시킨다면, 외국 관광객에게 무한한 매력과 함께 즐거운 볼거리를 줄 수 있을 것이다.
2) 지역 활성화 차원의 이벤트 육성
현재 이벤트는 지역을 활성화하고 발전시키기 위한 행정의 한 방법으로 실시되고 있다.
이벤트 진행에 대한 지방의 아낌없는 지원으로, 지역의 문화와 역사, 생활양식들에 관한 폭넓은 지식을 가지고 있는 이벤트 전문가가 이벤트를 기획한다면, 지역주민들의 자발적 참여와 이벤트의 성공을 이끌어 낼 수 있을 것이다.
3) 전문 이벤트 프로듀서의 양성
이벤트를 기획하는 일에서부터 연출, 제작, 개최에 이르기 까지 스텝을 총괄할 뿐만 아니라 제작을 전적으로 책임지는 사람으로서 굉장한 능력을 가져야 하는 사람이 바로 이벤트 프로듀서이다. 성공적인 이벤트를 위해서라면 당연히 뛰어난 프로듀서를 전문적으로 양성해야 할 것이다.
4) 치밀한 사전계획의 수립
실제 운영에 대한 과학적인 철저한 사전준비와 계획을 작성해야만 이벤트 운영이 원활하게 이루어 질 것이다.
5) 스폰서의 적극적 유치
이벤트에서 스폰서는 행사의 성공을 좌우할 정도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대규모 행사일 지라고 정부나 공공단체의 기부금뿐 만 아니라 사기업의 스폰서 자금조성을 유치하여 이벤트의 질을 좀더 높여야 할 것이다.
6) 이벤트 내용의 질적 향상
이벤트를 성공으로 이끌기 위해 진정한 축제분위기, 기초욕구 충족, 독특함, 진실성, 전통, 유연성, 친절성, 확실성, 주제, 상징성, 적합성, 편리성을 충족시키는 수준 높은 내용을 갖추어야 할 것이다.
7) 효율적인 행사장 관리 도모
이벤트 행사장 관리는 적합한 행사장소 선정, 군중통제 및 안전, 교통수단 관리, 현장통제, 행사 지역의 공간적 제한등과 같은 점을 항상 염두 해 두어야 한다.
8) 이벤트의 효율적 홍보
9) 이벤트의 효율적인 평가방법 확립
평가는 이벤트 전체의 계획과 마케팅 절차를 조정하는 기능을 하여 이벤트의 질을 향상 시킬 수 있고, 더 배울 수 있는 수단이 된다. 그러므로 이벤트를 평가하는 방법을 마련하여 결과에 미흡한 점을 보완하는 체제를 갖추어야 할 것이다.
10) 수익성 높은 메가 이벤트 유치를 위한 대형전시 회의시설 확충
11) 이벤트 전시기술 향상
아직까지 우리나라는 전시기술면이 다른 나라에 비해 떨어지므로, 기술력 개발과 전문성 확보에 주력을 하여, 눈앞의 흥행만을 보고 오는 사람들을 위해 외국기술과 자본으로 치루어지는 행사를 점차 줄여 나가야 할 것이다.
참고 자료
- 고승익,문성종, 부석현, 진현식, 관광이벤트 경영론, 백산출판사 - 2002
- 김춘식, 남치호, 세계축제경영, 김영사 - 2005
- 김희진, IMC 시대의 이벤트 기획론, 커뮤니케이션북스 - 2005
- 박정선, 이벤트론, 형설출판사 - 2001
- 송정일, 이벤트플래닝, 백산출판사 - 2002
- 이종은, 이벤트 프로모션론, 글로벌 - 2000
- dl.nanet.go.kr/ - 국회전자도서관
http://academic.naver.com/view.nhn?doc_id=38820357&dir_id=0&page=0&query=%EC%9D%B4%EB%B2%A4%ED%8A%B8%EC%82%B0%EC%97%85
http://www.cyworld.com/jangman22/2023948
http://kin.naver.com/qna/detail.nhn?d1id=13&dirId=130102&docId=28736421&qb=7J2067Kk7Yq47IKw7JeF7ZiE7Zmp&enc=utf8§ion=kin&rank=3&search_sort=0&spq=0&pid=gX7JW35Y7ZhssaTIvl8ssc--045239&sid=TuLVjvjM4k4AADlhOxM
http://blog.naver.com/hoon0802?Redirect=Log&logNo=113565850
http://www.tutudisk.com/
5) 이벤트 평가의 곤란성
이벤트 운영상의 기술력 그리고 이벤트 종료 후의 효과를 객관적 과학적으로 평가하여 제시하기 어렵기 때문에 대중에게 인정받거나 기술적 차별성을 입증하는 일이 굉장히 어렵다.
6) 주최측의 목적의식 불명확
이벤트를 유행에의 편승 또는 단순한 자기과시, 전시효과 등의 숨은 목적으로 추진하는 주최자들이 많아, 정작 표면에 부각되어야 할 목적의식이 흐려지는 경우가 많다. 특히 관광이벤트는 고위층 초청 인사들이 많아 권위적 의례적으로 흐르게 되면 대중들의 호응을 받기가 힘들다.
7) 이벤트하드웨어 부족
메가 이벤트를 유치하거나 자체적으로 기획하여 실시 할 경우에는 대형 이벤트 시설( 예를 들어 국제회의의 경우 전시회의 시설) 및 부대 기술 장비의 확충이 필수적이다.
8) 아이디어 권리확보 미흡
이벤트 기획의 첫걸음은 획기적인 아이디어 발굴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스스로 독자적인 아이디어를 구상하지 않고 다른 나라, 다른 지방에서 성공을 거둔 이벤트를 무조건 따라 복제하는 경향이 많다. 이는 이벤트업의 쇠퇴를 야기 시킨다.
9) 전통문화의 상업화
문화가 관광객들로부터 돈을 벌어들일 수 있는 일종의 상품이 된다는 사실을 관광지의 주민들이 알게 되면서 때때로 성스러운 행사를 일반 사람들이 쉽게 재연하고 즐길 수 있는 여흥으로 변모시키는 부작용이 종종 나타나고 있다.
10) 사회문제 발생
이벤트는 군중의 집중을 전제로 한 것이기 때문에 사회문제 발생의 소지가 많다. 지역 내 교통 혼잡, 안전사고, 폭력등의 범죄를 초래할 수 있기에 대중의 부정적 시각으로 이벤트업의 발전에 제약을 받고 있다.
Ⅲ. 이벤트 산업의 활성화 방안
1) 다양한 소재 및 아이디어 발굴
① 기존의 지역이벤트 활용
한국적 전통을 바탕으로 하는 자생적인 행사들을 지방자치단체 및 경제인단체의 지원과 협력으로 육성해 나간다면, 세계적으로 유명한 축제로 발돋움하여 관광객의 유치증진에 크게 기여할 것이다.
② 기존의 관광자원을 활용한 다양한 이벤트 개발
고유의 놀이문화나 민속 스포츠, 지방생업현장, 관광시설물 등 고유 관광자원을 적절히 활용하여 이벤트와 연계시킨다면, 외국 관광객에게 무한한 매력과 함께 즐거운 볼거리를 줄 수 있을 것이다.
2) 지역 활성화 차원의 이벤트 육성
현재 이벤트는 지역을 활성화하고 발전시키기 위한 행정의 한 방법으로 실시되고 있다.
이벤트 진행에 대한 지방의 아낌없는 지원으로, 지역의 문화와 역사, 생활양식들에 관한 폭넓은 지식을 가지고 있는 이벤트 전문가가 이벤트를 기획한다면, 지역주민들의 자발적 참여와 이벤트의 성공을 이끌어 낼 수 있을 것이다.
3) 전문 이벤트 프로듀서의 양성
이벤트를 기획하는 일에서부터 연출, 제작, 개최에 이르기 까지 스텝을 총괄할 뿐만 아니라 제작을 전적으로 책임지는 사람으로서 굉장한 능력을 가져야 하는 사람이 바로 이벤트 프로듀서이다. 성공적인 이벤트를 위해서라면 당연히 뛰어난 프로듀서를 전문적으로 양성해야 할 것이다.
4) 치밀한 사전계획의 수립
실제 운영에 대한 과학적인 철저한 사전준비와 계획을 작성해야만 이벤트 운영이 원활하게 이루어 질 것이다.
5) 스폰서의 적극적 유치
이벤트에서 스폰서는 행사의 성공을 좌우할 정도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대규모 행사일 지라고 정부나 공공단체의 기부금뿐 만 아니라 사기업의 스폰서 자금조성을 유치하여 이벤트의 질을 좀더 높여야 할 것이다.
6) 이벤트 내용의 질적 향상
이벤트를 성공으로 이끌기 위해 진정한 축제분위기, 기초욕구 충족, 독특함, 진실성, 전통, 유연성, 친절성, 확실성, 주제, 상징성, 적합성, 편리성을 충족시키는 수준 높은 내용을 갖추어야 할 것이다.
7) 효율적인 행사장 관리 도모
이벤트 행사장 관리는 적합한 행사장소 선정, 군중통제 및 안전, 교통수단 관리, 현장통제, 행사 지역의 공간적 제한등과 같은 점을 항상 염두 해 두어야 한다.
8) 이벤트의 효율적 홍보
9) 이벤트의 효율적인 평가방법 확립
평가는 이벤트 전체의 계획과 마케팅 절차를 조정하는 기능을 하여 이벤트의 질을 향상 시킬 수 있고, 더 배울 수 있는 수단이 된다. 그러므로 이벤트를 평가하는 방법을 마련하여 결과에 미흡한 점을 보완하는 체제를 갖추어야 할 것이다.
10) 수익성 높은 메가 이벤트 유치를 위한 대형전시 회의시설 확충
11) 이벤트 전시기술 향상
아직까지 우리나라는 전시기술면이 다른 나라에 비해 떨어지므로, 기술력 개발과 전문성 확보에 주력을 하여, 눈앞의 흥행만을 보고 오는 사람들을 위해 외국기술과 자본으로 치루어지는 행사를 점차 줄여 나가야 할 것이다.
참고 자료
- 고승익,문성종, 부석현, 진현식, 관광이벤트 경영론, 백산출판사 - 2002
- 김춘식, 남치호, 세계축제경영, 김영사 - 2005
- 김희진, IMC 시대의 이벤트 기획론, 커뮤니케이션북스 - 2005
- 박정선, 이벤트론, 형설출판사 - 2001
- 송정일, 이벤트플래닝, 백산출판사 - 2002
- 이종은, 이벤트 프로모션론, 글로벌 - 2000
- dl.nanet.go.kr/ - 국회전자도서관
http://academic.naver.com/view.nhn?doc_id=38820357&dir_id=0&page=0&query=%EC%9D%B4%EB%B2%A4%ED%8A%B8%EC%82%B0%EC%97%85
http://www.cyworld.com/jangman22/2023948
http://kin.naver.com/qna/detail.nhn?d1id=13&dirId=130102&docId=28736421&qb=7J2067Kk7Yq47IKw7JeF7ZiE7Zmp&enc=utf8§ion=kin&rank=3&search_sort=0&spq=0&pid=gX7JW35Y7ZhssaTIvl8ssc--045239&sid=TuLVjvjM4k4AADlhOxM
http://blog.naver.com/hoon0802?Redirect=Log&logNo=113565850
http://www.tutudisk.com/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