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뜻을 갖는 말은 어떠한 것인가 : 의미표현의 단위
1-1 발화란?
1-2 발화의 구성
4. 뜻을 맞는 짝을 찾기가 쉬운가 : 단어의 의미 관계
2-1 한단어의 다양한 의미 관계
2-2 의미관계의 종류
5. 뜻으로 뭉친 단어의 조직 세계 : 단어의 의미 체계
5-1 낱말밭과 의미 성분 분석 개관
5-2 의미에 관한 여러 학설
5-3 낱말밭과 부분밭, 낱말밭 이론의 심화설명
5-4 의미 성분 분석 – 공통성분과 시차성분(유의어/반의어/이원적 분류)
5-5 상하관계, 동위관계
6. 단어의 뜻에도 개성은 있다: 단어의 의미
6-1 단어가 갖는 여러 가지 의미
7. 말에 담긴 뜻을 얼마나 찾았나: 의미 연구 일반
7-1 의미와 속내
7-2 의미의 의미 규정
7-3 의미론
7-4 의미 연구의 방법론
8 참고문헌
1-1 발화란?
1-2 발화의 구성
4. 뜻을 맞는 짝을 찾기가 쉬운가 : 단어의 의미 관계
2-1 한단어의 다양한 의미 관계
2-2 의미관계의 종류
5. 뜻으로 뭉친 단어의 조직 세계 : 단어의 의미 체계
5-1 낱말밭과 의미 성분 분석 개관
5-2 의미에 관한 여러 학설
5-3 낱말밭과 부분밭, 낱말밭 이론의 심화설명
5-4 의미 성분 분석 – 공통성분과 시차성분(유의어/반의어/이원적 분류)
5-5 상하관계, 동위관계
6. 단어의 뜻에도 개성은 있다: 단어의 의미
6-1 단어가 갖는 여러 가지 의미
7. 말에 담긴 뜻을 얼마나 찾았나: 의미 연구 일반
7-1 의미와 속내
7-2 의미의 의미 규정
7-3 의미론
7-4 의미 연구의 방법론
8 참고문헌
본문내용
유의어, 반의어의 규정과 문법에서 일치, 모순, 변칙 등을 자연스럽게 설명해줄 수 있으며, 전체 낱말밭을 상하관계, 유의관계, 반의관계 등으로 나눌 수 있다.
5-4 의미 성분 분석 공통성분과 시차성분(유의어/반의어/이원적 분류)
단어는 의미의 최소단위인 의미소의 집합체이다. 예를 들자면 ‘남편’, ‘아내’ 두 단어는 다음과 같이 분석될 수 있다.
남편 : [남성], [성인], [사람], [기혼]
아내 : [여성], [성인], [사람], [기혼]
위 단어들의 의미 성분 중에서 [성인], [사람], [기혼]은 공통적인 요소이고, [남성]과 [여성] 두 의미 성분은 차이를 보인다. 관련이 있는 단어들이 공유하는 성분을 공통 성분(common component)이라고 하며, 구별되는 성분은 시차 성분(diagnostic component)이라고 한다.
[남성]과 [여성]처럼 이원적인 성격을 갖는 의미 성분은 ‘+’와 ‘-’로 두드러지게 표시하기도 한다. 이와 같은 이원적 분류 방법은 음운론뿐만 아니라 통사론과 의미론 등 언어학 전반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국어의미론』, 윤평현 저, 역락, 2008년 111쪽
이원적 분류에 의해 ‘남편’과 ‘아내’의 의미 성분을 표시하면 다음과 같다.
남편 : [+사람] [+남성] [+성인] [+기혼]
아내 : [+사람] [-남성] [+성인] [+기혼]
의미 성분분석 결과, 동일한 공통 성분을 가진 두 단어는 유의어(類義語)로 여겨진다. 동의어(同義語)가 아니라 유의어로 칭하는 까닭은 완벽하게 동일한 의미를 지녔고, 문맥에 관계없이 치환이 가능한 단어는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가령 ‘죽다’와 ‘돌아가다(死)’는 어떤 문장에서나 치환이 가능한 것처럼 보이지만 상황에 따라서 완곡하게 표현해야할 경우에는 ‘돌아가다’를 써야 한다.
시차 성분에 의해 의미가 대립되는 단어는 반의어라고 하는데, 반의어 관계인 단어 내 모든 의미 성분이 대립하는 것은 아니다. 위에서 예시로 든 ‘남편’과 ‘아내’의 의미 성분 중에서 [성인], [사람], [기혼]은 공통적인 부분이며, [남성]과 [여성] 두 의미 성분의 차에 의해 두 단어의 반의관계가 성립한다.
5-5 상하관계, 동위관계
5-3의 도식에서 ‘산양’의 의미 성분을 분석하여보면 [산], [양], [초식동물]로 나뉜다. ‘산양’의 상위 층에 있는 부분밭(Telifeld)인 ‘양’의 의미 성분은 [양], [초식동물]이다. ‘산양’은 ‘양’의 의미를 함의하고 있지만, ‘양’은 ‘산양’의 의미를 함의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양’은 ‘산양’의 상의어(上意語)이다.
이와 같이 의미 성분이 많은 단어는 의미 성분이 적은 어휘보다 더 하의어이며, 상의어는 하의어보다 의미적으로 더욱 포괄적이다. 이처럼 단어 사이의 의미적 상하관계를 성분 분석을 이용하여 명확하게 정의할 수 있다.『의미론 개론』, 이익환 저, 한신문화사, 1986년 81쪽
상하관계에 대해서 부연 설명을 하자면, ‘초식동물’은 ‘양’보다도 더 넓은 의미영역을 가진다. 따라서 ‘초식동물’ 역시 ‘산양’의 의미를 포괄한다. 이 때 ‘산양’은 ‘양’과는 직접적인 상하관계이고, ‘초식동물’과는 간접적인 상하관계에 있다. ‘사슴’과 ‘양’은 어휘장 내에서 동일한 선상의 의미층위에 속해있는데, 이러한 관계는 동위관계라고 한다.
6. 단어의 뜻에도 개성은 있다: 단어의 의미
6-1 단어가 갖는 여러 가지 의미
우리 한 사람에게는 단 하나의 의미보다는 사회적 관계에서 파생되는 폭넓은 의미의 이름을 갖고 있다. 아래 글을 보자.
강보성은 하나가 아니다. 보성은 자유관 1115방의 두 번째 방돌이 이고, 나와는 좋은 학우 보성이고, 보성의 아버지에게는 사랑하는 자식이며, 선생님의 관심 받는 학생이고, 그리고 누군가에게는 사랑하는 연인인 보성이다. 그리고 그 모든 것이 강보성 그 자신이다.
보성
가. 방돌이(←기숙사 동료) 나. 학우(←학교 친구들) 다. 자식(←아버지) 라. 학생(←선생님) 마. 연인(←애인)
보성은 분명 한 사람이지만, 그는 다른 이와의 여러 관계 속에서 방돌이, 학우, 자식, 학생 등의 다양한 의미를 갖는다. 그러나 그 이름이 각기 다른 사람이라고 말할 수 는 없다. 그 이름들은 다른 사람과의 관계에 따라 하나의 보성을 달리 표현한 것일 뿐이다. 단어가 가지는 뜻도 이와 같다.
① 이의미와 의미소, 기본 의미와 파생 의미
다음은 동사 ‘가다’의 의미 이다.
1.옮겨 움직이다(도서관에 가다 / 조치원에서 서울 가는 기차)
2.지향점을 가지고 나아가다(민주주의로 가는 길)
3.복무하거나 종사하기 위하여 다니다(군대에 가다 / 그는 일요일이면 교회에 간다)
4.자리를 옮기다.(그는 삼성에 스카웃되어 부장으로 갔다.)
etc.
특정한 단어에 연관 짓지 않고 국어에서 사용되는 개개의 뜻을 ‘의미(seme)’라고 하는데, 앞서 ‘가다’의 뜻은 쓰이는 환경에 따라 달리 해석되는 ‘가다’의 의미들이다. 우리가 사용하는 ‘가다’의 의미는 이 가운데 하나인데, 이들 각각을 ‘가다’의 ‘이의미(異意味 alloseme)’라고 하며, 이들 묶음을 ‘가다’의 ‘의미소(sememe)’라고 한다. ‘이의미’는 특정 단어에 현실적으로 존재하는 개개의 의미들이며, 의미소는 특정 단어가 갖는 의미들의 무리이다.
의미(seme) : 특정한 단어에 연관 짓지 않고 사용되는 개개의 뜻
이의미(異意味 alloseme): 실제 의사소통 하는 가운데 사용되는 각 의미
의미소(sememe): 이의미의 묶음
여기에서 어떤 한 단어가 여러 의미를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우리가 일반적으로 그 단어의 뜻을 이야기 할 때 한 의미만을 언급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그 단어의 이의미 가운데에서 대표적인 것을 지칭하는 것으로서 ‘기본 이의미’ 또는 ‘기본 의미’라고 한다.
기본 의미는 그 단어가 갖는 의미 중 가장 기본적인 것으로 인정되는 것으로, 비가시적인 것보다는 가시적인 것, 추상적인 것보다는 구체적인 것, 제한적인 것보다는 일반적인 것이다.
1.영이는 학교에 간다.
2.달나라로 가는 우주인.
3.회사에 가면 전화를 걸겠소.
위에 예문들에서 ‘가다’는 ‘개체가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이동하다’의
5-4 의미 성분 분석 공통성분과 시차성분(유의어/반의어/이원적 분류)
단어는 의미의 최소단위인 의미소의 집합체이다. 예를 들자면 ‘남편’, ‘아내’ 두 단어는 다음과 같이 분석될 수 있다.
남편 : [남성], [성인], [사람], [기혼]
아내 : [여성], [성인], [사람], [기혼]
위 단어들의 의미 성분 중에서 [성인], [사람], [기혼]은 공통적인 요소이고, [남성]과 [여성] 두 의미 성분은 차이를 보인다. 관련이 있는 단어들이 공유하는 성분을 공통 성분(common component)이라고 하며, 구별되는 성분은 시차 성분(diagnostic component)이라고 한다.
[남성]과 [여성]처럼 이원적인 성격을 갖는 의미 성분은 ‘+’와 ‘-’로 두드러지게 표시하기도 한다. 이와 같은 이원적 분류 방법은 음운론뿐만 아니라 통사론과 의미론 등 언어학 전반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국어의미론』, 윤평현 저, 역락, 2008년 111쪽
이원적 분류에 의해 ‘남편’과 ‘아내’의 의미 성분을 표시하면 다음과 같다.
남편 : [+사람] [+남성] [+성인] [+기혼]
아내 : [+사람] [-남성] [+성인] [+기혼]
의미 성분분석 결과, 동일한 공통 성분을 가진 두 단어는 유의어(類義語)로 여겨진다. 동의어(同義語)가 아니라 유의어로 칭하는 까닭은 완벽하게 동일한 의미를 지녔고, 문맥에 관계없이 치환이 가능한 단어는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가령 ‘죽다’와 ‘돌아가다(死)’는 어떤 문장에서나 치환이 가능한 것처럼 보이지만 상황에 따라서 완곡하게 표현해야할 경우에는 ‘돌아가다’를 써야 한다.
시차 성분에 의해 의미가 대립되는 단어는 반의어라고 하는데, 반의어 관계인 단어 내 모든 의미 성분이 대립하는 것은 아니다. 위에서 예시로 든 ‘남편’과 ‘아내’의 의미 성분 중에서 [성인], [사람], [기혼]은 공통적인 부분이며, [남성]과 [여성] 두 의미 성분의 차에 의해 두 단어의 반의관계가 성립한다.
5-5 상하관계, 동위관계
5-3의 도식에서 ‘산양’의 의미 성분을 분석하여보면 [산], [양], [초식동물]로 나뉜다. ‘산양’의 상위 층에 있는 부분밭(Telifeld)인 ‘양’의 의미 성분은 [양], [초식동물]이다. ‘산양’은 ‘양’의 의미를 함의하고 있지만, ‘양’은 ‘산양’의 의미를 함의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양’은 ‘산양’의 상의어(上意語)이다.
이와 같이 의미 성분이 많은 단어는 의미 성분이 적은 어휘보다 더 하의어이며, 상의어는 하의어보다 의미적으로 더욱 포괄적이다. 이처럼 단어 사이의 의미적 상하관계를 성분 분석을 이용하여 명확하게 정의할 수 있다.『의미론 개론』, 이익환 저, 한신문화사, 1986년 81쪽
상하관계에 대해서 부연 설명을 하자면, ‘초식동물’은 ‘양’보다도 더 넓은 의미영역을 가진다. 따라서 ‘초식동물’ 역시 ‘산양’의 의미를 포괄한다. 이 때 ‘산양’은 ‘양’과는 직접적인 상하관계이고, ‘초식동물’과는 간접적인 상하관계에 있다. ‘사슴’과 ‘양’은 어휘장 내에서 동일한 선상의 의미층위에 속해있는데, 이러한 관계는 동위관계라고 한다.
6. 단어의 뜻에도 개성은 있다: 단어의 의미
6-1 단어가 갖는 여러 가지 의미
우리 한 사람에게는 단 하나의 의미보다는 사회적 관계에서 파생되는 폭넓은 의미의 이름을 갖고 있다. 아래 글을 보자.
강보성은 하나가 아니다. 보성은 자유관 1115방의 두 번째 방돌이 이고, 나와는 좋은 학우 보성이고, 보성의 아버지에게는 사랑하는 자식이며, 선생님의 관심 받는 학생이고, 그리고 누군가에게는 사랑하는 연인인 보성이다. 그리고 그 모든 것이 강보성 그 자신이다.
보성
가. 방돌이(←기숙사 동료) 나. 학우(←학교 친구들) 다. 자식(←아버지) 라. 학생(←선생님) 마. 연인(←애인)
보성은 분명 한 사람이지만, 그는 다른 이와의 여러 관계 속에서 방돌이, 학우, 자식, 학생 등의 다양한 의미를 갖는다. 그러나 그 이름이 각기 다른 사람이라고 말할 수 는 없다. 그 이름들은 다른 사람과의 관계에 따라 하나의 보성을 달리 표현한 것일 뿐이다. 단어가 가지는 뜻도 이와 같다.
① 이의미와 의미소, 기본 의미와 파생 의미
다음은 동사 ‘가다’의 의미 이다.
1.옮겨 움직이다(도서관에 가다 / 조치원에서 서울 가는 기차)
2.지향점을 가지고 나아가다(민주주의로 가는 길)
3.복무하거나 종사하기 위하여 다니다(군대에 가다 / 그는 일요일이면 교회에 간다)
4.자리를 옮기다.(그는 삼성에 스카웃되어 부장으로 갔다.)
etc.
특정한 단어에 연관 짓지 않고 국어에서 사용되는 개개의 뜻을 ‘의미(seme)’라고 하는데, 앞서 ‘가다’의 뜻은 쓰이는 환경에 따라 달리 해석되는 ‘가다’의 의미들이다. 우리가 사용하는 ‘가다’의 의미는 이 가운데 하나인데, 이들 각각을 ‘가다’의 ‘이의미(異意味 alloseme)’라고 하며, 이들 묶음을 ‘가다’의 ‘의미소(sememe)’라고 한다. ‘이의미’는 특정 단어에 현실적으로 존재하는 개개의 의미들이며, 의미소는 특정 단어가 갖는 의미들의 무리이다.
의미(seme) : 특정한 단어에 연관 짓지 않고 사용되는 개개의 뜻
이의미(異意味 alloseme): 실제 의사소통 하는 가운데 사용되는 각 의미
의미소(sememe): 이의미의 묶음
여기에서 어떤 한 단어가 여러 의미를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우리가 일반적으로 그 단어의 뜻을 이야기 할 때 한 의미만을 언급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그 단어의 이의미 가운데에서 대표적인 것을 지칭하는 것으로서 ‘기본 이의미’ 또는 ‘기본 의미’라고 한다.
기본 의미는 그 단어가 갖는 의미 중 가장 기본적인 것으로 인정되는 것으로, 비가시적인 것보다는 가시적인 것, 추상적인 것보다는 구체적인 것, 제한적인 것보다는 일반적인 것이다.
1.영이는 학교에 간다.
2.달나라로 가는 우주인.
3.회사에 가면 전화를 걸겠소.
위에 예문들에서 ‘가다’는 ‘개체가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이동하다’의
추천자료
[통사론][구문론][문장론][문법범주][이다][통사구조]통사론(구문론, 문장론)의 문장 구성, ...
[부사][품사][국어 품사][영어 품사][중국어 품사][관계부사][범위부사]국어 품사 부사의 정...
[화법][화법지도][화법교육]화법의 정의, 화법의 유형, 화법지도(화법교육)의 절차, 화법지도...
[판서][판서 의미][판서 유형][판서 기능][판서 시기][판서 기술][판서 방법][판서 효과][판...
조선시대 시조 도산십이곡, 어부가 작품분석, 조선시대 시조 어부사시사, 님 작품분석, 조선...
[된장][된장 유래][된장 종류][된장 규격][된장 성분][된장 효과][된장 제조방법]된장의 유래...
[콩][검정콩][검은콩][팥][서목태][밤콩][강낭콩][땅콩][녹두][완두콩][서리태]콩과 검정콩(...
조선시대 시조 어부사시사, 어부가 작품분석, 조선시대 시조 강호가도, 훈민가 작품분석, 조...
[화성, 화성 기본정보, 화성 유래, 화성 성분, 화성 지형, 화성 무늬, 화성 표면]화성의 기본...
[생산][감자생산][고추생산][단백질생산][석유생산][수돗물생산][쌀생산][종묘생산][에탄올생...
상위인지(메타인지, 초인지)의 정의, 사고형성, 상위인지(메타인지, 초인지)와 프로젝트학습,...
글라소비타민워터 브랜드분석과 비타민워터 마케팅 SWOT,STP,4P전략분석및 향후 방향제안 레포트
프랜차이즈[Franchise] 매장 품질요인의 속성분류 - 국내 외식업을 중심으로
형태소의 형태와 낱말, 단어에 대한 해석 6p 2015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