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기 화학] Aldol condensation(알돌축합) : 디벤잘아세톤을 벤즈알데히드와 아세톤을 이용하여 제조하므로써 알돌축합반응을 이해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유기 화학] Aldol condensation(알돌축합) : 디벤잘아세톤을 벤즈알데히드와 아세톤을 이용하여 제조하므로써 알돌축합반응을 이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Introduction
1-1. 실험목적
1-2. 이론적인 해석
1-2-1. 알돌축합
1-2-2. 카르보닐화합물
1-2-3. 아세톤
1-2-3-1. 아세톤의 용도
1-2-3-2. 아세톤의 제법
1-2-4. 벤즈알데히드
1-2-5. α수소의 반응성
1-3. 물리상수 ․
1-4. 안전 및 유의사항

2. Experimental
2-1. 실험 기구 및 시약
2-2. 실험 방법

3. Results & Discussion
3-1. Raw data
3-2. Data calculation
3-3. Discussion

REFERENCES

본문내용

& Discussion
3-1. Raw data
Table 2. 측정된 시료의 무게
거름 종이 +증발접시의 무게(g)
80.23
건조 후 무게(g)
80.91
시료의 무게(g)
0.68
Table 2는 측정한 실험값이며 시료의 무게는 [건조 후 무게] - [거름 종이 무게 + 증발접시의 무게]로 얻은 값이다.
3-2. Data calculation
아세톤과 벤즈알데히드는 1 : 2 몰비로 반응해서 1몰의 벤잘아세톤을 생성한다. 여기서 이론상 얻고자 하는 시료의 무게를 계산하면 아세톤 0.004mol, 벤즈알데히드 0.008mol 반응시켜 나오는 벤잘아세톤은 0.004mol 생성을 하므로
234g
×
0.004mole
= 0.936g
mol
수율(%) =
실험을 통해 얻은 시료의 무게
× 100
이론상 얻고자 하는 시료의 무게
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그러므로 계산을 하면
수율(%)=
0.68
× 100
= 72.65
0.936
3-3. Discussion
이번 실험은 알돌축합의 대표적인 반응으로 벤즈알데히드와 아세톤과 2 : 1 몰비로 반응시켜 디벤잘아세톤을 생성하는 실험이였다. 먼저 건조가 잘 되어진 100mL
의 삼각플라스크에 수산화나트륨과 95% 에탄올을 각각 2mL를 넣은 후 벤즈알데히드 0.008mol, 아세톤 0.004mol을 넣고 10분정도 흔들어주었다. 시간이 흐름에 따라 하얗게 죽모양처럼 하얀고체물질이 형성되었는데 이것이 디벤잘아세톤이였다. 반응이 충분히 일어났다고 생각하고 뷰너깔대기를 사용하여 디벤잘아세톤을 걸러내고, 디벤잘아세톤에 묻어있는 불순물(수산화나트륨)을 제거하기 위해서 에탄올과 물로 씻어낸 후 물을 증발시키기위해 건조대에 하루정도 방치한 후 무게를 측정하여
0.68g을 얻을 수 있었다.
디벤잘아세톤을 만드는 메카니즘보면에서 부반응이 거의 없기 때문에 이론상으로 얻을 수 있는 값(0.936g)과 거의 비슷하게 나올 줄 알고 90%이상의 수율을 얻으리라 예상했으나 72.65%밖에 되지않았다. 이렇게 낮은 수율의 값을 얻은 이유는 벤즈알데히드와 아세톤의 반응이 완전히 일어나지 못했기 때문이였다. 10분동안 흔들어서 대충 반응이 다 일어났다고 생각한 우리조의 큰 실수였던 것 같다. 또 생성된디벤잘아세톤도 역반응을 하여 다시 벤즈알데히드와 아세톤을 생성하므로 낮은 수율값을 얻는 오차가 되었다. 디벤잘아세톤을 세척할 때 물과 에탄올을 충분히 차갑게해야 했는데 충분히 차갑게 하지 못해서 디벤잘아세톤이 씻겨나갔기 때문에 낮은 수율의 값을 얻은 오차가 되었고, 미량의 디벤잘아세톤이 뷰너깔대기에 거를때 거름종이를 빠져나간 것도 오차의 원인이 되었다. 그리고 반응물들의 몰수를 정확히 측정하여 넣었어야하는데 반응하는 몰수가 작아서 나름대로 잘 측정하여 반응시켰다고 생각했지만 정밀하게 측정하지 못한것도 낮은 수율을 얻는 오차가 되었다.
이런 오차의 요인들을 잘 고려하여 실험한다면 높을 수율을 얻을 것이라 생각된다.
REFERENCES
[1] 김완영, 공업화학실험1, 전북대학교 화학공학부, Chapter 3, 2004.
[2] http://100.naver.com/100.php?id=107289
[3] http://100.naver.com/100.php?id=150009
[4] http://100.naver.com/100.php?id=151427
[5] http://100.naver.com/100.php?id=105063
[6] http://100.naver.com/100.php?id=74808
[7] http://100.naver.com/100.php?id=74824
[8] http://100.naver.com/100.php?id=133492
  • 가격1,8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3.12.27
  • 저작시기2013.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9973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