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택 반응 시간의 측정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선택 반응 시간의 측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실험 목적 1

Ⅱ. 실험 배경 이론 1

2-1 인간의 정보처리 과정 1
2-2 반응시간과 동작시간 1
2-3 신경계 이론 3
2-4 예상과 예고신호의 효과 5
2-5 작업동작의 개선 5

Ⅲ. 실험계획 및 방법 6

3-1 실험계획 6
3-2 실험방법 6

Ⅳ. 실험기구 및 피실험자 7

4-1 실험기구 7
4-2 피실험자 8

Ⅴ. 실험결과 및 정리 9

5-1 시력 특성의 분류 9
5-2 반응시간 분산분석 11
5-3 동작시간 분산분석 12

Ⅵ. 고찰 14

Ⅶ. 결론 및 추후 연구과제 15

참고문헌 16

본문내용

5에서 귀무가설은 기각된다. 그러므로 자극의 종류에 따른 평균 반응시간의 차이가 있다고 할 수 있다. Red와 Green일 때의 반응시간이 청각의 자극일 때의 반응시간보다 현저히 느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5-3 동작시간 분산분석
(1) 반응 손에 따른 쌍체 비교
동작시간 측정값에서 왼손과 오른손의 평균에 차이가 있는지는 짝을 이룬 표본이므로 다음 쌍체 비교를 통하여 알아보았다.
구 분
왼 손
오 른 손
평 균
0.361
0.372
분 산
0.010
0.012
관 측 수
131
131
가설 평균차
0
자 유 도
224
t 통계량
-2.099
P(T<=t) 단측 검정
0.018
t 기각치 단측 검정
1.652
P(T<=t) 양측 검정
0.037
t 기각치 양측 검정
1.971
유의수준이 0.05일 때 P 양측검정 값이 0.037로 유의수준보다 작으므로 모평균의 차이가 0이라는 가설을 기각한다. 그러므로 반응 손에 따른 비교에서 왼손과 오른손의 평균 동작시간에 대한 차이가 있다고 볼 수 있다. 결국 반응시간 결과와는 반대로 왼손에 비해 오른손의 반응시간이 느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2) cue delay time에 따른 분석
자극 지연 시간에 따른 모평균의 차이가 있는지 여부는 다음 표 5-8의 분산분석을 통하여 알아보았다.
인자의 수준
관 측 수

평 균
분 산
1 초
131
54.882
0.366
0.011
3 초
131
54.313
0.362
0.009
5 초
131
55.792
0.372
0.012
변동의 요인
제곱합
자유도
제곱 평균
F 비
P-값
F 기각치
처 리
0.007
2
0.004
0.342
0.711
3.016
잔 차
4.849
447
0.011

4.856
449
우선 인자의 수준간에 차이가 없다는 귀무가설을 세웠다. 위의 표 5-8의 cue delay time에 대한 평균 동작시간의 분산분석을 보면 검정통계량 F값이 0.342이고 그 기각치가 3.016이므로 유의수준 α=0.05에서 귀무가설은 채택된다. 그러므로 cue delay time에 따른 평균 동작시간의 차이가 없다고 할 수 있다. 인간의 동작시간은 cue delay time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결과를 얻었다.
(3) 자극의 종류에 따른 분석
자극의 종류에 따른 모평균의 차이가 있는지 여부는 다음 표 5-9의 분산분석을 통하여 알아보았다.
인자의 수준
관 측 수

평 균
분 산
Red
131
63.595
0.424
0.004
Green
131
63.736
0.425
0.005
청각
131
37.656
0.251
0.003
변동의 요인
제곱합
자유도
제곱 평균
F 비
P-값
F 기각치
처 리
3.007
2
1.503
363.425
2.019
3.123
잔 차
1.850
447
0.004

4.856
449
위의 표 5-9의 자극의 종류에 대한 평균 동작시간의 분산분석을 보면 검정통계량 F값이 363.425이고 그 기각치가 3.123이므로 유의수준 α=0.05에서 귀무가설은 기각된다. 그러므로 자극의 종류에 따른 평균 반응시간의 차이가 있다고 할 수 있다. Red와 Green일 때의 동작시간이 청각의 자극일 때의 반응시간보다 상당한 차이로 느리다는 결과를 얻었다.
Ⅵ. 고찰
인간은 시각, 청각, 후각, 촉각, 미각 총 5가지의 감각기관을 가지고 있다. 이중에서 인간은 시각에 대한 반응을 가장 잘 느낄 수 있다. 하지만 반응속도에 있어서는 청각이 시각에 비해서 빠른속도를 가지고 있다. 이점을 이용해서 위험을 감지할 수 있는 장치에 청각적인것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
이번 실험은 시각과 청각에 있어서 반응 시간과 동작 시간을 측정한 뒤 이 두 가지가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실험이었다. 실험 결과를 통해 청각이 시각보다 반응속도가 더 빠르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실험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주위의 소음이나 눈의 피로등이 있었다. 하지만 이 변수들은 실제로 작업자가 작업을 하는 상황에서도 변수가 될 수 있기 때문에 오차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에서 제외하였다.
작업 현장에서 작업자는 사고의 위험에 항상 노출 되어있다. 이런 상황에서 사고가 발생 하였을 때, 작업자는 신속하게 그 사고에 대처하여 피해를 줄여야 한다. 이 부분에서 반응속도와 동작속도의 개념이 들어가게 된다. 사고가 발생하였을 때, 뉴런이 그 사고에 대해 감지하는 속도가 반응속도이다. 반응시간의 경우 뉴런을 거치기 때문에 어떠한 조치를 취한다 해도 변할 수가 없다. 하지만 동작시간의 경우에는 연습이나 숙련을 통해서 빠르게 앞당길 수 있다. 이점에서 안전 관리자들은 사고유형을 연구한 후에 동작 시간을 줄이는 법에 대하여 연구해야 한다. 동작시간은 반응시간 후 사람이 동작하는 데에 걸린 시간이다. 따라서 이 시간을 줄이면 피해는 확실히 줄일 수 있다.
실험 데이터 분석을 해 보았을 때에는, 첫째 왼손 과 오른손 사이의 반응 시간과 동작 시간에 있어서 그 차이가 상당히 미세하였다. 이는 두가지 요인이 작용하였다고 불 수 있다. 먼저 피실험자 중에 왼쪽의 신체적 기능이 발달한 사람이 있기 때문에 이런 결과가 나온 것이다. 다른 요인은 인간은 한쪽의 신체가 더 많이 발달한다고는 하지만 그 차이가 상당히 미세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미세한 차이에도 불구하고 오른손의 반응속도가 더 빠른것을 알 수 있었다. 이 결과로 보았을 때, 평균적으로 오른손의 반응이 왼손의 반응보다 빠른 결과가 나왔다. 두 번째 결과분석은 변수(cue delay time)에 있어서의 차이가 있었다. 시간변수는 1초, 3초, 5초 이렇게 총 3가지의 변수로 실험을 하였다. 이 결과에서는 반응시간과 동작 시간 모두 3초, 5초, 1초순으로 빠르기가 나타났다. 하지만 이 데이터에서는 분산과 평균치 모두 미세한 차이를 보였다. 세 번째 결과 분석은 자극의 종류에 따른 반응시간의 차이였다. Red와 Green에서는 미세한 차이가 있었다. 하지만 시각적인 자극과 청극적인 자극의 차이에 있어서는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이는 청각적인 자극일 경우 반응속도와 동작속도에서 월등히 빠른 속도를 보인다. 여기서 안전적인 측면으로 접근해 보았다. 위험한 요소가 발생 하였을
  • 가격9,66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13.12.29
  • 저작시기2013.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0047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