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양사 국가고시) 탄수화물, 지질, 단백질 요약정리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영양사 국가고시) 탄수화물, 지질, 단백질 요약정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탄수화물
2. 지질
3. 단백질

본문내용

ein) : 지방을 수용성인 혈액 내에서 운반
트랜스페린(transferrin) : 혈액을 통한 철분 운반 단백질
세포막 운반 단백질 : 포도당, 아미노산 등 운반
6] 단백질의 대사
1) 아미노산의 대사
아미노산풀 : 세포내로 유입되는 아미노산
클때 : 에너지, 포도당, 지방생성에사용
작을때 : 세포내 단백질 분해
2)아미노기전이반응
한 아미노산 탄소골격에 아미노기(예:피리독살인산 PLP)를 전달하여 새로운 아미노산을 형성하는 반응
VitB6 로부터 PLP로 전환, 불필수 아미노산 합성, 포도당 신생합성, 에너지 생성을 위해 일어남
예>
알라닌 아미노기전이반응 피루브산
α케토글루타르산 PLP 글루탐산
3) 탈아미노반응
요소 생성을 위해 아미노기를 잃어 암모니아 형태로된다.
글루탐산 α-케토글루타르산 + NH+
NAD+ NADH+H+
4)탈아미노반응대사
-H2 -H2O
α-amino acid → α-amino acid → α-keto acid + NH3
아미노산대사경로에 따른 분류(α-keto acid의 운명)
- 포도당 생성(당원성)아미노산
: TCA회로를 거쳐 옥살산, 피루브산을 거쳐 포도당과 글리코겐을 생성하는 아미노산
- 알라닌, 세린, 아스파라긴, 시스테인, 글리신
- 케톤체생성(케톤원성)아미노산 (당질섭취부족이나 당뇨병): 루신, 리신
아세토아세틱산, 아세톤, β-히드록시 부티르산 아세틸 CoA를 경유하여 지방질 대사경로
- 케톤 생성 및 포도당 아미노산: 이소루신, 페닐알라닌, 티로신, 트립토판
5)요소회로
-2NH³ + CO2 → CO(NH2) + H2O
-암모니아 → 간으로 이동 (Carbamoyl생성)
2NH³ + CO2 → Carbamoyl(카마모일) + Ornithine(오르니틴)→ Citrulline(시트룰린) + aspartic acid(아스파르트산) → arginine(아르기닌) + arginase → 요소생성
6] 단백질과 영양
1)질소평형 = 소변질소측정 → 단백질의 산화된 량
§ 질소평형 의의
- 질소평형 = N섭취 = N배설 : 조직의 유지와 보수, 건강한성인
- 양의 질소평형 = N섭취 > N배설 : 성장, 임신, 질병으로부터의 회복기, 인슐린 및 성장호르몬 분비증가, 운동의 훈련효과로 근육 증가
- 음의 질소평형 = N섭취 < N배설 : 신체의 소모, 체중감소, 발열, 화상, 감염
오랜 기간 병상에 누워 있을 때, 단백질 섭취부족, 에너지
섭취부족, 단백질 손실증가, 갑상선호르몬 분비 증가
7] 단백질 영양가 판정
§생물학적 평가법
1)단백질 효율
단백질 영양가 측정 = 단백질 1g에 대한 체중증가
단백질 효율(PER) = 증가한 체중의양(g)/섭취한 단백질의 양(g)
2)생물가
생체 내에서의 단백질 이용률
생물가(BV) = 보류된 질소의 양/흡수된 질소의 양 100
3)단백질 실이용률(NPU)
섭취한 단백질이 몸 안에서 이용된 비율
진정단백질 이용률(NPU) = 생물가 소화흡수율
§화학적 평가법
1)단백가
단백질을 가수분해한 후 필수아미노산 함량을 분석하여 단백질의 영양가를 판단하는 방법
단백가 = 식품속의 가장 부족한 아미노산 양/표준구성의 그 아미노산 양 × 100
2)소화율이 고려된 아미노산가
생물학적인 방법과 화학적인 방법의 단점을 보완한 것
7] 단백질과 건강
단백질 과잉섭취
신체 : 체온상승, 체중증가, 혈압상승, 피로증가 / 질병 : 요독증, 변비
산성의 황아미노산 대사물질의 중화과정 칼슘손실
단백질 섭취부족
부종, 지방간, 손톱 과 머리카락이 잘 부스러짐, 상처회복 지연
단백질 - 에너지불량 (PEM)
콰시오카 : 단백질부족, 성장저해, 부종, 기초대사저하, 빈혈
마라스무스 : 단백질부족, 에너지부족, 탈수, 체온저하, 설사
콰시워커
마라스무스
시기
이유후, 5세 ~ 급성장어린이
이유기, 유아기
체중
저체중
극소체중
외모
지방간, 피부염, 부종, 머리색변함
근육, 체지방쇠퇴, 애늙은이얼굴
신경계
무감각, 의욕상실
신경질적, 잘놀람
단백질 권장 섭취량
남 : 55g 여 : 45g 성인의 kg당 권장섭취량 0.83g
선천성 대사이상(유전적결함)
페닐케톤뇨증(PKU)
간의 페닐알라닌이 티로신으로 전환되지 못하고 혈액이나 조직에 축적 이것은 페닐피루브산이 되어 소변으로 배설 <조기치료 하지 못하면 뇌손상>
호모시스틴뇨증
메티오닌 → 시스테인 합성시 시스타티오닌 합성효소(cystathionine synthetase) 유전적 결함
이효소의 기질인 호모시스틴이 혈중농도를 높여 소변으로 배설. 동맥경화→사망
치료 : 단백질 섭취량 감소, 엽산, VitB6 섭취량증가→시스타티오닌 합성효소 활성화
단풍당뇨증(단풍시럽뇨증)
루신, 이소루신, 발린의 탈탄소화 효소의 유전적 결함에 의해 아미노산으로부터 생성된 케토산의 농도가 혈액이나 소변에 증가 (뇨에서 단풍시럽냄새)
신생아(생후1주일) 발견해 치료 못하면 신경장애, 지능발달에 영향
아미노산 제한 특수분유 등으로 혈중농도정상유지
8] 단백질 급원
단백질 급원 : 콩, 견과류의 식물성식품. 유제품, 어육류 및 난류의 동물성식품.
특히 영양성 빈혈에 걸린 사람은 계란, 간 등 권장
§제한 아미노산
-식품에 있는 필수아미노산중 인체에 요구되는 양에 비해 제일 적게 들어있는 제한아미노산 이다. 최저량의 아미노산을 제한아미노산이라고 한다.
트립토판, 리신, 메티오닌 → 식물성 단백질에 부족하기 쉬운 아미노산
밀단백질의 제한 아미노산 → 리신과 메티오닌
옥수수 제한 아미노산 : 트립토판, 리신, 트레오닌 (채식위주 식사하는 사람)
콩 제한 아미노산 : 메티오닌곡류 제한 아미노산 : 리신, 트레오닌
채소 제한 아미노산 : 메티오닌견과 종실류 제한아미노산 : 메티오닌
§영양적 분류
완전 단백질 = 생명체의 성장과 유지에 필요한 필수아미노산이 충분히 함유되어있는것.
젤라틴을 제외한 모든 동물성 단백질 육류, 가금류, 달걀, 우유, 생선 등.
부분적 불완전 단백질 = 성장을 돕지 못하나 생명을 유지시키는 단백질 [제한 아미노산]
제한 아미노산을 갖는 단백질 아미노산이 풍부한 식품을 함께 섭취
불완전 단백질 = 성장과유지에 효율적으로 쓰이지 못하는 단백질
젤라틴, [옥수수 = 제인]
  • 가격2,8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14.01.05
  • 저작시기2012.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0108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