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가여요론] 「제망매가(祭亡妹歌)」에 대한 연구와 감상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향가여요론] 「제망매가(祭亡妹歌)」에 대한 연구와 감상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제망매가」에 대한 해독

2.「제망매가」에 대한 연구
 1) 작가 월명사(月明師)
 2) 작품에 드러난 사상 : 주술과 불교
 3) 작품에 사용된 표현 : 비유

3. 「제망매가」에 대한 감상 및 평가

본문내용

월명사의 의지가 돋보이며, 자신의 슬픔을 절제, 서술함으로써 정제된 아름다움을 표현해 내고 있다. 또한 제망매가는 세 부분으로 나눌 수 있는데, 제 1구~제 4구, 제 5구~제 8구, 제 9구~제 10구까지가 바로 그것이다. 여기서 주목할 점은 제망매가가 10구체 향가의 특징이라 불리는 제 9구가 차사로 시작한다는 점으로 제망매가가 10구체 향가임이 증명된다.
그렇다면 제망매가를 어떻게 해독해야 할까? 사실 제망매가의 경우, 비교적 다른 향가에 비해 해독과 향가의 파악에 어려움이 없다. 다만, 향가 연구가 20C 초인 일제 강점기 시기, 가나자와 쇼사부로를 비롯한 일본 학자들에 의해 이루어지다가 ‘오구라 신페이’와 ‘양주동’의 연구를 통해 등장한 것에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당시 국내의 상황은 내선일체를 주장하며 당시 식민지 정책을 정당화하는데 앞장섰던 상황이었기에, 이를 올바르게 해석했는가에 대한 의문이 남는 것이다. 하지만, 필자는 잠시 이 경우를 미뤄두고, 다음과 같이 해독하였다.
원문
해독문
현대역
1
生死路隱
生死 길흔
생사(生死)의 길은
2
此矣有阿米次伊遣
이에 잇어 매줄이견
이에 있으면서 맺어진 것이니
3
吾隱去內如辭叱都
“나난 가나다”

추천자료

  • 가격1,3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14.01.20
  • 저작시기2012.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0256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