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스케어,남성건강관리,헬스케어마케팅전략,헬스케어분석 - 사업성 분석, 전체수요, 잠재수요, 성장 가능성, 경쟁 상황 분석, 점포 디자인, 설문 조사, 마케팅 전략, 수익성 분석, 실행 예산과 예상 수익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헬스케어,남성건강관리,헬스케어마케팅전략,헬스케어분석 - 사업성 분석, 전체수요, 잠재수요, 성장 가능성, 경쟁 상황 분석, 점포 디자인, 설문 조사, 마케팅 전략, 수익성 분석, 실행 예산과 예상 수익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회사개요
 ▷ 사업개요
 ▷ 사업내용

■ 사업성 분석
 ▷ 관련점포에 대한 전체수요
 ▷ 제안점포에 대한 잠재수요
 ▷ 시장 성장 가능성
 ▷ 해당 점포의 예상 시장 점유율

■ 경쟁 상황 분석
 ▷ 제안점포에 대한 시장 경쟁 상황
 ▷ 경쟁 브랜드 상황
 ▷ 기존 점포에 대한 고객 충성도

■ 점포 디자인
 ▷ 제안 점포의 디자인

■ 설문 조사
 ▷ 제안 점포에 대한 잠재 소비자들의 반응

■ 마케팅 전략
 ▷ 제안 점포의 마케팅 측면에서의 경쟁력

■ 수익성 분석
 ▷ 실행 예산과 예상 수익

본문내용

을 포인트로 청춘을 나타낼 수 있는 조금은 밝고 푸른색으로 상표를 디자인 했습니다.
점포 디자인
<상부 평면도> <트레이닝실 입체도>
일단 상부 평면도를 보시면 규모는 조금 작지만 수시로 체지방과 혈압을 체크할 수 있는 검진실과 그 위로 카운터, 샤워실, 트레이닝실이 있고, 여자화장실이 없는 대신 그 빈곳에 피부관리실을 만들어 공간에 대한 부담은 없습니다. 그리고 남성전용 관리샵의 경우, 에어로빅이나 요가 등은 수요가 없으므로 그 공간을 더 활용할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병원 근처에 점포를 마련해 병원과 같이 건강을 생각한다는 것을 부각하여 외부디자인을 해봤습니다. 건물 전체를 사용할 수는 없으므로 4층을 점포로 만들고, 외부에 눈에 띄도록 상표디자인을 부착하였습니다.
<건물 외부 디자인>
설문 조사
잠재소비자들의 반응
평소 당신의 건강에 대한 관심수준은 어느정도입니까?
■ 총투표인원 [ 47 명 ]
매우 낮다. 0명 (0%)
그저 그렇다. 1명 (2.1%)
보통이다. 4명 (8.5%)
약간 높다. 11명 (23.4%)
매우 높다. 31명 (66%)
설문대상이 많지는 않지만 가족, 친구, 선배 등 47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해보았습니다.
만약 이 점포가 개설 된다면 당신은 이용하시겠습니까?
■ 총투표인원 [ 47 명 ]
전혀 가고 싶지 않다. 2명 (4.5%) (관리는 필요없다, 남자가 무슨 관리냐)
그저 그렇다. 5명 (10.5%) (따로 관리가 필요할까, 일반 헬스와 같을것이다)
호기심은 동한다. 11명 (23.4%) (남성관리가 신기하다)
꼭 가보고 싶다. 29명 (61.6%) (남자도 관리해야 한다)
일단 ‘평소 당신의 건강에 대한 관심수준은 어느정도입니까?’라는 질문으로 요즘 건강에 대한 관심도를 알아보았습니다. 대체적으로 건강에 대한 관심도는 연령에 관계없이 높은 편이었습니다.
그리고 점포의 디자인을 보여주며 ‘만약 이 점포가 개설 된다면 당신은 이용하시겠습니까?’라는 질문으로 점포가 성공할 수 있을지 잠재수요 정도를 알아보았습니다. 사람들은 건강에 관심이 많아 운동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고 있고, 현재 운동을 하는 사람들도 있었습니다. 과연 꾸준히 운동을 다닐 것인지는 잘 모르겠지만 결과는 대체로 긍정적인 편이었습니다.
마케팅 전략
4P 분석
제품
가격
▷ 기존의 일반 헬스장과는 차별화 된, 1:1관리 위주의, 남성전용, 그 중 특히 중년남성의 자신감을 북돋워주는 제품입니다.
▷ 1:1 관리라 하더라도 기존의 가격이 50~90만원인 것에 비하면 20만원이라는 저렴한 가격에 고급의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장소
판촉
▷ 고소득의, 하지만 일반적인 생활시설이 부족한 해운대구에 입지, 잠재수요를 끌어들일 수 있습니다.
▷ 쿠폰, 환불, 샘플링 등의 다양한 판촉활동을 통한 신규회원의 모집과, 회원의 충성도를 제고합니다.
SWOT 분석
강점
약점
▷ 체계적이고 본격적인 스케줄관리
▷ 중년층에 최상의 운동시설
▷ 소홀하기 쉬운 피부관리
▷ 낮은 인지도, 기존 점포에 대한 충성도와 경쟁
▷ 기존 젊은층이 아닌 중년층을 타겟으로 하는 새로운 시도
기회
위혐
▷ 건강과 다이어트, 몸매에 대한 지속적 관심고조
▷ 인구와 생활수준에 비해 고급헬스장
공급부족
▷ 헬스업 자체의 수요 불안정성(계절성-여름에 많고 겨울에 적음), 유사업종 출현가능성 높음
STP 전략
※ 관련 기사 : 해운대 신시가지 월 소득 300이상이 77%
부산 해운대 신시가지 사람들은 대부분 자가용을 타고 동부산권으로 출근한다. 통근시간은 30분 미만이다. 친구들이 \'콘크리트 도시\'라고 놀리지만, 이사할 생각은 별로 없다. 이웃엔 고학력·고소득자가 많다고 느낀다. 생활에 여유가 있어 문화생활을 즐긴다. 자녀 교육에 관심이 많지만 도서관이나 종합병원 공원 등 공공시설이 없는 것이 가장 큰 불만이다. 본지가 1월초 다산리서치(주)에 의뢰해 20세 이상 신시가지 아파트 주민 500명을 대상으로 \'주거환경 만족도\'를 조사(신뢰도 95%, 표본오차 ±4.4)한 결과 나타난 특징이다. 24일 이 조사결과에 따르면 월 평균 가구 소득이 300만원 이상이라는 응답이 77%였다. 500만원 이상 고소득 가구도 10.2%나 됐다. \'200만원 미만\'이라는 응답자는 2.6%에 불과했다. 특히 84%가 아파트를 소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대표적인 중산층 밀집지역임을 보여줬다. 가구당 월 평균 사교육비는 전국 평균(14만9000원)을 훨씬 웃도는 58만6000원으로, 전국 최고 수준이었다.신시가지 입주 전 거주지역은 해운대구(23%)가 가장 많았으며 남구(13.2%) 동래구(11%)가 뒤를 이었다. 반면 서부산권인 동·서·북·중·사하·사상·영도구에서 이사온 사람은 14.2%에 불과했다.직장인 63%는 자가용을 이용해 출퇴근했다. \'걸어서\'라고 응답한 22.8%는 대부분 자영업자로 추정된다. 지난 2002년 지하철이 개통됐지만 버스·지하철 등 대중교통 이용자는 13.6%에 불과했다. 출근 시간은 30분 미만이 67.4%로 가장 많았다. 53%는 해운대구에 직장을 갖고 있었다. 다음은 동부산권인 남구(8.4%) 동래구(8.2%) 수영구(5.6%) 순서. 그만큼 회사와 가까운 곳에 집을 장만했다는 뜻이다.학력분포는 고졸(51%) 비율이 가장 높았지만 대졸이상 고학력자도 45.6%나 됐다. 통계청의 \'2000년 인구주택 총조사\'에 따르면 부산의 학력분포는 고졸(38.7%)-초졸 이하(27%)-대졸(17.5%)-중졸(16.8%) 순이었다. 신시가지 고학력자의 비율이 부산 평균보다 2.56배나 높은 것이다.신시가지 거주 기간은 6년 이상이 64.6%에 달했다. 잠시 머물다 가는 \'뜨내기\'가 매우 적다는 뜻이다. <출처 : 조선일보 - 배재성 기자>
① 시장 세분화(Segmentation) :
위의 기사에서 살펴보면 알 수 있듯이 해운대 신시가지 인구의 대부분은 직장이 집근처에 있고 소득이 월평균 300만원 이상인 가구가 77%나 될 만큼 중산층이 많이 분포 되어있고, 전형적인 중년층이 인구의 매우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그런 주민들은 생활시설 같은 것들이 매우 부족하다고 느끼고 있어 매우 시장성이 높아 잠재수요 또

추천자료

  • 가격2,3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4.01.28
  • 저작시기2014.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0331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