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고 정형외과 전문의의 정확한 치료를 받아야 좋을 결과를 기대할 수 있고,무서운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다.
무혈성 골괴저
◆ 대퇴골두의 혈액공급은 외측골단혈관(lateral epiphyseal artery or superior retinacular artery) 이 주로 맡고 있고 (대퇴 골두의 90%), 내측 골두혈관(medial epiphyseal artery 또는 Lig. teres artery) 이 일부(약 10%) 맡고 있다. 그런데 수년 동안 의 과음, cortisone 사용, 잠수병(caisson disease) 등으로 외측 골단혈관의 혈전이 일어나 대퇴골두의 혈액순환이 잘 되지 않아 무혈성 괴사가 일어난다. 또 이러한 원인 이외에 Gaucher 병, 통풍, 겸상 적혈구성 빈혈(sickle cell anemia) 등의 질환에 2차 적으로 대퇴골두의 무혈성 괴사가 일어난다.
피부이식
피부이식한 다리를 보게되었는데, 이식한 부분이 조직적으로 차이가 나서 육안으로 관찰되었다. 열감이 있어 아이스팩을 적용해 주었다.
◆ 피부 이식 수술의 방법은 사용하는 피부 종류에 따라 환자 자신의 피부를 사용하는 자가 피부 이식, 다른 사람의 피부를 사용하는 동종 피부 이식, 동물의 피부를 사용하는 이종 피부 이식 등으로 구분된다. 그리고 공여 되는 피부 깊이에 따라 부분층(표피) 피부 이식과 전층(표피+진피) 피부 이식으로 구분되며, 이식된 피부가 수술 부위에 자리잡는 방법에 따라서 영구적 피부 이식과 일시적 피부 이식으로도 구분되어진다.
◆ 자가이식(autograft)
자가이식은 피부두께에 따라 전층 피부이식(full-thickness graft)와 부분층 피부이식(split-thickness graft)으로 나뉘는데, 안면부나 목부위는 피부 색깔을 맞추기 위해 두피나 상완부에서 피부를 떼어내는 경우가 많고, 그 밖의 경우에는 주로 화상에 노출되지 않는 둔부나 상부대퇴, 하부 몸통에서 피부를 떼어내게 된다. 또한 화상 부위가 넓지 않은 경우 떼어낸 피부를 그대로 이식하는 방법을 사용하기도 한다.
◆ 전층피부이식
전층피부이식은 진피와 피하조직의 접합부에서 일어난다. 부분층피부이식과 비교해 볼 때 상처가 치유된 후의 외적인 미용효과가 훨씬 크다. 이 방법은 손, 목, 얼굴과 같이 밖으로 드러난 부위에 피부 전층 화상을 입은 경우 적용되며 재활기에 신체기능의 회복을 도모하고 피부의 경축을 완화시키기 위한 목적으로도 이용된다.
골이식 (Bone graft)
◆ 뼈의 증생을 재촉하여 골유합을 촉진하려 할 때 등에 행한다. 이식하는 골편은 본인의 것, 즉 자가골이 가장 좋으며 골반의 장골·늑골 ·경골 등에서 채취한다.
인공관절 대치술
고관절
대퇴골절후 고관철 치환술을 받고 보행기로 재활운동을 하는 모습을 보았다.
인공관절 치환술
◆ 퇴행성관절염이 심해지면 무릎 관절이 원래의 제 기능을 하지 못하기 때문에 극심한 통증과 함께 정상적인 보행마저 할 수 없는 지경에 이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손상된 무릎 관절뼈를 제거하고, 그 부위에 특수 금속과 플라스틱 재질로 된 인공관절을 삽입하는 치료가 필요하다. 이 수술이 바로 무릎 ‘인공관절 치환술’ 이다. 전체를 치환하기도하고 일부 손상된 부위만을 부분적으로 대체하는 ‘부분치환술도 있다.
◆ 사전검사(X-ray 촬영, 혈액 검사, 소변검사, 심전도, 혈압 및 당뇨검사 등)를 실시하며, 마취는 대부분의 경우 전신마취나 척추마취로 이루어진다.
적응증
인공관절 치환술은, 관절의 파괴가 심하여 통증이 몹시 심하면서 무릎이 잘 펴지지 않거나 구부러지지 않는 경우, 혹은 O자 다리나 X자 다리와 같이 많이 휘어진 경우에 필요하다.
무릎관절
관찰
견관절
주관절
척추고정술
◆ 이 척추 기기 고정술은 단일 수술로 이 수술법을 사용하는 경우는 드물고 신경을 누르는 부분을 제거하는 수술(신경 감압술)을 시행하는 경우에 사용하는데 척추 후방 붙임(유합)을 위해 시행되는 기기인 금속 척추경 나사못은 티타늄이라는 특수 재질을 사용하여 만든 것이 주로 사용된다.
부목 (Splint)
관찰
◆ 사지의 외상 ·골절 ·탈구 ·염좌 등의 응급수단으로서 환부의 가동성을 제한하고 안정을 위해 신체에 붙여 고정시키는 교정장치이다. 부목은 깁스와 함께 비관혈적고정법의 대표적인 것이다. 부목이란 말은 종래에 나무판이나 막대기만을 재료로 사용하던 당시에 생겨난 말로, 지금은 금속망 ·금속판 등 여러 종류가 있다.
수 기 항 목
관찰 및 수행여부
학습노트
석고 붕대
석고창구 (Window)
석고붕대에 창구가 나있는 것을 보았다.
석고창구
◆ 석고붕대 한 부분에 과도한 압박감을 방지하기 위하여 석고붕대의 일부에 창구를 내거나 원통인 석고붕대를 반원통으로 자르는 경우(bivalved cast)가 있다.
◆ 석고붕대 창구를 만드는 이유는 체간부석고나 대퇴관절수상석고시에 복부의 팽만감을 줄이기 위해하고, 상지석고시 팔의 순환을 관찰하기 위하여 요골동맥부위를 노출할 때이며, 조직손상이 우려되는 부위나 수술 창구를 관찰하고, 수술부위의 배액을 위해서이다.
◆ 석고 붕대가 양면으로 절개되면 상처를 관찰하거나 간호할 때 윗면의 석고 붕대를 쉽게 분리할 수 있다.
양면절개 (Bivalve cast)
석고붕대 제거
석고붕대 제거 후 간호
◆ 석고붕대 제거 후 피부를 비눗물로 잘 닦아주고 오물이 쉽게 제거되지 않으면 과도한 자극을 주기보다는 올리브유 등을 발라 부드럽게 한 후 제거한 다.
◆ 꾸준히 근력강화운동을 지도하여 정상관절운동 범위를 회복할 수 있도록 한다.
◆ 부종이 있는 경우 탄력붕대나 스타킹을 착용하고 수시로 하지를 가슴보다 높게 한다.
상지석고
(Arm cast)
Short
정상지 석고붕대(long arm cast)
- 손에서 상완부까지 감는 석고붕대로 주관절의 손상이나 상완골의 골절, 전박골의 골절, 손목 인대의 손상, 수근골의 경미한 골절시 쓰인다.
Long
단상시 석고붕대(short arm cast)
- 바닥에서 팔꿈치까지 감는 석고붕대로 손의 뼈와 요골하부의 골절이나 손목골절을 치료할 때 쓰인다.
수상석고
(Spica cast)
Shoulder
16세 남자가 차에 부
무혈성 골괴저
◆ 대퇴골두의 혈액공급은 외측골단혈관(lateral epiphyseal artery or superior retinacular artery) 이 주로 맡고 있고 (대퇴 골두의 90%), 내측 골두혈관(medial epiphyseal artery 또는 Lig. teres artery) 이 일부(약 10%) 맡고 있다. 그런데 수년 동안 의 과음, cortisone 사용, 잠수병(caisson disease) 등으로 외측 골단혈관의 혈전이 일어나 대퇴골두의 혈액순환이 잘 되지 않아 무혈성 괴사가 일어난다. 또 이러한 원인 이외에 Gaucher 병, 통풍, 겸상 적혈구성 빈혈(sickle cell anemia) 등의 질환에 2차 적으로 대퇴골두의 무혈성 괴사가 일어난다.
피부이식
피부이식한 다리를 보게되었는데, 이식한 부분이 조직적으로 차이가 나서 육안으로 관찰되었다. 열감이 있어 아이스팩을 적용해 주었다.
◆ 피부 이식 수술의 방법은 사용하는 피부 종류에 따라 환자 자신의 피부를 사용하는 자가 피부 이식, 다른 사람의 피부를 사용하는 동종 피부 이식, 동물의 피부를 사용하는 이종 피부 이식 등으로 구분된다. 그리고 공여 되는 피부 깊이에 따라 부분층(표피) 피부 이식과 전층(표피+진피) 피부 이식으로 구분되며, 이식된 피부가 수술 부위에 자리잡는 방법에 따라서 영구적 피부 이식과 일시적 피부 이식으로도 구분되어진다.
◆ 자가이식(autograft)
자가이식은 피부두께에 따라 전층 피부이식(full-thickness graft)와 부분층 피부이식(split-thickness graft)으로 나뉘는데, 안면부나 목부위는 피부 색깔을 맞추기 위해 두피나 상완부에서 피부를 떼어내는 경우가 많고, 그 밖의 경우에는 주로 화상에 노출되지 않는 둔부나 상부대퇴, 하부 몸통에서 피부를 떼어내게 된다. 또한 화상 부위가 넓지 않은 경우 떼어낸 피부를 그대로 이식하는 방법을 사용하기도 한다.
◆ 전층피부이식
전층피부이식은 진피와 피하조직의 접합부에서 일어난다. 부분층피부이식과 비교해 볼 때 상처가 치유된 후의 외적인 미용효과가 훨씬 크다. 이 방법은 손, 목, 얼굴과 같이 밖으로 드러난 부위에 피부 전층 화상을 입은 경우 적용되며 재활기에 신체기능의 회복을 도모하고 피부의 경축을 완화시키기 위한 목적으로도 이용된다.
골이식 (Bone graft)
◆ 뼈의 증생을 재촉하여 골유합을 촉진하려 할 때 등에 행한다. 이식하는 골편은 본인의 것, 즉 자가골이 가장 좋으며 골반의 장골·늑골 ·경골 등에서 채취한다.
인공관절 대치술
고관절
대퇴골절후 고관철 치환술을 받고 보행기로 재활운동을 하는 모습을 보았다.
인공관절 치환술
◆ 퇴행성관절염이 심해지면 무릎 관절이 원래의 제 기능을 하지 못하기 때문에 극심한 통증과 함께 정상적인 보행마저 할 수 없는 지경에 이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손상된 무릎 관절뼈를 제거하고, 그 부위에 특수 금속과 플라스틱 재질로 된 인공관절을 삽입하는 치료가 필요하다. 이 수술이 바로 무릎 ‘인공관절 치환술’ 이다. 전체를 치환하기도하고 일부 손상된 부위만을 부분적으로 대체하는 ‘부분치환술도 있다.
◆ 사전검사(X-ray 촬영, 혈액 검사, 소변검사, 심전도, 혈압 및 당뇨검사 등)를 실시하며, 마취는 대부분의 경우 전신마취나 척추마취로 이루어진다.
적응증
인공관절 치환술은, 관절의 파괴가 심하여 통증이 몹시 심하면서 무릎이 잘 펴지지 않거나 구부러지지 않는 경우, 혹은 O자 다리나 X자 다리와 같이 많이 휘어진 경우에 필요하다.
무릎관절
관찰
견관절
주관절
척추고정술
◆ 이 척추 기기 고정술은 단일 수술로 이 수술법을 사용하는 경우는 드물고 신경을 누르는 부분을 제거하는 수술(신경 감압술)을 시행하는 경우에 사용하는데 척추 후방 붙임(유합)을 위해 시행되는 기기인 금속 척추경 나사못은 티타늄이라는 특수 재질을 사용하여 만든 것이 주로 사용된다.
부목 (Splint)
관찰
◆ 사지의 외상 ·골절 ·탈구 ·염좌 등의 응급수단으로서 환부의 가동성을 제한하고 안정을 위해 신체에 붙여 고정시키는 교정장치이다. 부목은 깁스와 함께 비관혈적고정법의 대표적인 것이다. 부목이란 말은 종래에 나무판이나 막대기만을 재료로 사용하던 당시에 생겨난 말로, 지금은 금속망 ·금속판 등 여러 종류가 있다.
수 기 항 목
관찰 및 수행여부
학습노트
석고 붕대
석고창구 (Window)
석고붕대에 창구가 나있는 것을 보았다.
석고창구
◆ 석고붕대 한 부분에 과도한 압박감을 방지하기 위하여 석고붕대의 일부에 창구를 내거나 원통인 석고붕대를 반원통으로 자르는 경우(bivalved cast)가 있다.
◆ 석고붕대 창구를 만드는 이유는 체간부석고나 대퇴관절수상석고시에 복부의 팽만감을 줄이기 위해하고, 상지석고시 팔의 순환을 관찰하기 위하여 요골동맥부위를 노출할 때이며, 조직손상이 우려되는 부위나 수술 창구를 관찰하고, 수술부위의 배액을 위해서이다.
◆ 석고 붕대가 양면으로 절개되면 상처를 관찰하거나 간호할 때 윗면의 석고 붕대를 쉽게 분리할 수 있다.
양면절개 (Bivalve cast)
석고붕대 제거
석고붕대 제거 후 간호
◆ 석고붕대 제거 후 피부를 비눗물로 잘 닦아주고 오물이 쉽게 제거되지 않으면 과도한 자극을 주기보다는 올리브유 등을 발라 부드럽게 한 후 제거한 다.
◆ 꾸준히 근력강화운동을 지도하여 정상관절운동 범위를 회복할 수 있도록 한다.
◆ 부종이 있는 경우 탄력붕대나 스타킹을 착용하고 수시로 하지를 가슴보다 높게 한다.
상지석고
(Arm cast)
Short
정상지 석고붕대(long arm cast)
- 손에서 상완부까지 감는 석고붕대로 주관절의 손상이나 상완골의 골절, 전박골의 골절, 손목 인대의 손상, 수근골의 경미한 골절시 쓰인다.
Long
단상시 석고붕대(short arm cast)
- 바닥에서 팔꿈치까지 감는 석고붕대로 손의 뼈와 요골하부의 골절이나 손목골절을 치료할 때 쓰인다.
수상석고
(Spica cast)
Shoulder
16세 남자가 차에 부
키워드
추천자료
간호실습내용체크리스트
미숙아 실습 checklist
여성간호학 체크리스트
근골격계질환 평가리스트 분석 Checklist
copd case study
내/외과 체크리스트
HDLC 프로토콜(Protocol)
성인간호 실습 체크리스트- 워크북
[자료구조] 링크드리스트를 이용한 다항식 클래스
근골격계질환(직업병) 환자의 문제의식과 차후관리, 근골격계질환(직업병) 환자의 요양, 근골...
[인간공학] 조선업(造船業)에 대한 근골격계질환(筋骨格係疾患) 예방 - 조선업에 대한 근골격...
[인간공학] 건설업근로자의 인력운반작업의 인간공학적 위험요인 평가 (연구대상과 방법, 건...
[영어,영문 마케팅 사례 Strategic Marketing] 참이슬의 전략적 마케팅 Strategic Marketing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