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내과>
1. Blood sample
2. Mouth care
3. Skin test
4. 항암요법 받는 환자 간호
5. 격리환자 간호
6. L-tube 삽입 & 제거
7. 정체 도뇨관 삽입 & 제거
8. Insulin 투여
9. Foley training
10. Back massage
11. Position change
12. 수혈 전/후 간호
13. Enema
14. Suppositories insertion
15. Bladder irrigation
16. Subclavian catheter 간호
17. 신환 받기/ 퇴원환자 교육
18. 진단검사 과정 및 전/후 간호
-EGD 식도, 위, 십이지장 내시경 검사
-Echocardiography 심장초음파 검사
-Coronary Angiography 관상동맥조영술
19. 당뇨환자 교육
20. 심장병환자 교육
<외과>
1. Cholecystectomy 대상자 간호
2. Breast Ca ; Mastectomy 환자 간호
3. Stomach Ca ; Gastrectomy 환자 간호
4. Rectal Ca ; 환자 간호
5. Colostomy 대상자 간호
6. Fistular ; Fistulectomy 환자 간호
7. Panperitonitis 대상자 간호
8. Pancreatic Ca 환자 간호
9. EGD에 따른 간호
10. Brain CT 대상자 간호
11. Baruim Enema 대상자 간호
12. PET 대상자 간호
13. Bone Marrow test 대상자 간호
14. Ultra sono 대상자 간호
15. WBBS 전후 간호
16. Levin tube 대상자 간호
17. Drainage 대상자 간호
18. PTBD 대상자 간호
19. Chest tube 대상자 간호
20. Chemotherapy drug 준비과정 및 투여방법, 투여중 관찰 사항
21. 항암화학 요법 시행 중 부작용과 증상
22. 방사성 치료 및 간호
23. 항암요법 받는 환자의 간호
24. I/O Check
1. Blood sample
2. Mouth care
3. Skin test
4. 항암요법 받는 환자 간호
5. 격리환자 간호
6. L-tube 삽입 & 제거
7. 정체 도뇨관 삽입 & 제거
8. Insulin 투여
9. Foley training
10. Back massage
11. Position change
12. 수혈 전/후 간호
13. Enema
14. Suppositories insertion
15. Bladder irrigation
16. Subclavian catheter 간호
17. 신환 받기/ 퇴원환자 교육
18. 진단검사 과정 및 전/후 간호
-EGD 식도, 위, 십이지장 내시경 검사
-Echocardiography 심장초음파 검사
-Coronary Angiography 관상동맥조영술
19. 당뇨환자 교육
20. 심장병환자 교육
<외과>
1. Cholecystectomy 대상자 간호
2. Breast Ca ; Mastectomy 환자 간호
3. Stomach Ca ; Gastrectomy 환자 간호
4. Rectal Ca ; 환자 간호
5. Colostomy 대상자 간호
6. Fistular ; Fistulectomy 환자 간호
7. Panperitonitis 대상자 간호
8. Pancreatic Ca 환자 간호
9. EGD에 따른 간호
10. Brain CT 대상자 간호
11. Baruim Enema 대상자 간호
12. PET 대상자 간호
13. Bone Marrow test 대상자 간호
14. Ultra sono 대상자 간호
15. WBBS 전후 간호
16. Levin tube 대상자 간호
17. Drainage 대상자 간호
18. PTBD 대상자 간호
19. Chest tube 대상자 간호
20. Chemotherapy drug 준비과정 및 투여방법, 투여중 관찰 사항
21. 항암화학 요법 시행 중 부작용과 증상
22. 방사성 치료 및 간호
23. 항암요법 받는 환자의 간호
24. I/O Check
본문내용
전에 간호사는 안위 유지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 처방에 따라 진통제를 투여하고 그 효과를 평가한다. 위관을 삽입한 대상자는 불편감을 완화시키기 위해 자주 구강간호를 제공한다. 측위, 등 마사지, 이완용법 등이 안위 증진에 도움이 된다.
-자가간호 증진: 급성 환자는 발열과 오한, 수액 불균형, 통증 등으로 인해 개인위생, 몸단장, 화장실 출입과 그 외 일상생활 등에서 도움이 필요하다.
★수술 후 간호
수술 후 간호에는 안위증진, 체액유지, 호흡기계 문제나 T-tube 폐쇄나 담도폐쇄 같은 합병증의 예방과 발견 등이 있다. 그 외 피로 감소, 정상활동의 증진, 기호에 맞는 식사, 피부통합성 증진, 퇴원 준비 등이 포함된다.
-수술직후간호: 마취에서 회복되면 low Fowler position을 취해 준다. 호흡에 따른 수술부위의 통증이 크므로 대상자는 절개부위를 고정하고 얕은 호흡으로 통증을 감소시키고자 한다. 필요시 48~72시간 동안 진통제를 충분히 투여하며, 무기폐를 예방하기 위해 1~2시간마다 규칙적으로 기침과 심호흡을 하도록한다. 체위변경을 격려하며 침대에서 자주 움직이도록 한다. 비위관이 삽입되었다면 개방성을 확인한다. 비위관 흡인으로 필수 전해질이 제거되기 때문에 가능한 비위관은 빨리 제거해야 한다. 장음이 정상으로 돌아오고 복부가 부드러우면 보통 24시간 내에 제거한다. 5%포도당이나 생리식염수를 정맥으로 주입한다. 비위관을 제거하면 구강으로 맑은 액체를 투여한다. 대상자는 며칠 내 부드러운 저지방 식이를 먹을 수 있게 된다. 혈압의 저하, 맥박의 상승, 빈호흡, 소변배설량의 감소, 불안정, 갈증, 피부 탄력성의 간소등 내출혈을 의미하는 증상들이 있다면 즉시 의사에게 보고한다.
-활동의 증진: 수술 당일 저녁이나 그 다음날에 조기이상을 격려한다. T-tube가 있으면 폐쇄성 배액주머니에 연결하여 자유로이 움직일 수 있게 해주고 배액주머니는 총담관 아래에 놓이게 한다. 활동 시 드레싱과 배액주머니가 안전하도록 조처하여 대상자를 안심시킨다. 퇴원 계획에 휴식과 활동을 포함한 피로 대처방법을 반드시 포함시킨다. 퇴원 후 얼마동안 무거운 물건을 들지 않도록 한다.
-T-tube 배액의 유지: T-tube를 총담관에 삽입하고 관의 다른 한쪽은 피부를 통해 밖으로 꺼낸 다음 피부에 고정한다. 자상을 통해 나오는 T-tube 부위는 막히지 않도록 둘둘 말은 거즈 위에 관을 두고 반창고로 고정한다. T-tube는 총담관의 개방성을 유지하기 위해 삽입하며 총담관의 부종이 가라앉고 담즙이 정상적으로 십이지장으로 배액될 때까지 유지한다. 회복실에서 병리로 이송할 때 T-tube를 잠궜다면 병실에 돌아온 즉시 clamp를 열어야 한다. 튜브를 폐쇄 중력배액 system에 연결하고 대상자가 움직일 수 있도록 충분한 여유를 준다. 대상자에 튜브를 삽입한 목적을 설명하고 튜브가 꼬이거나 잠기거나 당겨지지 않도록 교육한다. 수술당일은 적어도 2시간 마다 배액의 색깔과 양을 점검한다. 첫날 몇 시간 동안은 혈액이나 혈액이 섞인 액체가 배액되지만 그 양이 많다면 즉시 의사에게 보고한다. 매일 배액량을 측정하고 기록한다. 튜브는 다양한 시간 간격으로 clamp를 하고 불편한 증상이 있는지 관찰한다. 만약 증상이 있다면 즉시 clamp를 풀고 의사에게 알린다. 배액으로 인해 드레싱이 젖으면 피부가 자극되므로 드레싱을 자주 교환한다. 때때로 대상자는 T-tube를 삽입한 채 퇴원하기도 한다. 튜브의 관리법과 의사에게 보고해야할 합병증에 대해 교육한다.
-퇴원교육: 대상자에게 활동 제한과 식이에 대해 교육하고 무거운 물건을 들지 않도록 한다. T-tube를 삽입한채 퇴원하면 T-tube의 추후관리에 대해 교육하고, 튜브를 제거하기 전에 T-tube담관조영술을 반복하게 됨을 설명해 준다.
-영양증진: 담도계 수술 후 대상자에게 저지방 식이와 균형잡힌 영양의 필요성을 교육한다. 수술전 오심과 구토로 인해 영양이 결핍된 대상자는 칼로리 섭취를 증가시킨다.
-피부통합성 유지: T-tube 절개 부위의 치료 방법은 다른 절개와 같다. 간호사는 더러워진 드레싱을 제거하고 배농관이나 튜브 주위 피부를 깨끗이 닦고 담즙을 제거한다. 장기간T-tube를 삽입하고 있다면 T-tube관리에 대한 교육을 한다.
2.Breast Ca ; Mastectomy 환자 간호
유방암에 대한 불안을 감소시키고, 불안을 조절할 수 있는 정보를 찾는다. 치료를 위한 의사결정을 하거나, 관심사에 대해 토론하고 자가측정법을 배울 때 환자를 참여시켜 효과적인 적응전략을 사용하도로고 한다. 종양이 발견되는 즉시 대상자는 불안해진다. 불안의 수준은 대상자의 과거 경험 및 질병 정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대상자의 상황과 불안의 수준에 대한 인식을 사정한다. 간호사는 대상자의 불안하고 두려운 감정을 환기시키도록 배려하며, 주의깊게 경청하고 차분하게 접근한다. 진단, 치료, 예후를 설명할 때는 사실에 입각한 정보를 제공한다. 감정, 인식, 공포를 말로 표현하도록 격려한다. 불안의 변화를 인식하고 적절하게 방어기전을 사용하도록 지지한다.
★수술전간호
-환자는 진단 및 치료받는 시기에 불안을 느낄수 있으므로 정서적으로 지지해준다.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유방암 치료에 관한 교육을 하고 치료방법 및 치료비용에 관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한다.
-유방상실로 대상자는 분노, 우울, 부정, 수용과 비통의 과정을 거친다.
-수술전 간호는 마취와 생검의 종류에 따라 다르다. 흡인생검과 조직 절개생검이 있다.
-전신마취 환자에게는 8시간 이상 금식, 수술시간, 수술 전 임상 검사와 수술 후 이동 등에 관하여 설명한다. 또한 생검 동안 예상되는 감각에 대해서도 미리 설명해 주어야 한다.
-수술후 24시간 동안은 정맥혈과 림프액의 정체로 인한 부종을 방지하기 위해 환측 팔과 손을 베개 위에 올려 팔꿈치를 어깨보다 높게 하고, 환측 팔 및 어깨의 움직임은 수술 후 최소한 24시간 동안 제한 받는다는 것을 설명한다.
★수술 후 간호
대상자의 안위 도모, 영양 공급, 합병증 예방 및 퇴원후 가정에서의 적응 등을 준비시키는데 초점을 둔다.
-관찰: 수술후 출혈부위와 활력
-자가간호 증진: 급성 환자는 발열과 오한, 수액 불균형, 통증 등으로 인해 개인위생, 몸단장, 화장실 출입과 그 외 일상생활 등에서 도움이 필요하다.
★수술 후 간호
수술 후 간호에는 안위증진, 체액유지, 호흡기계 문제나 T-tube 폐쇄나 담도폐쇄 같은 합병증의 예방과 발견 등이 있다. 그 외 피로 감소, 정상활동의 증진, 기호에 맞는 식사, 피부통합성 증진, 퇴원 준비 등이 포함된다.
-수술직후간호: 마취에서 회복되면 low Fowler position을 취해 준다. 호흡에 따른 수술부위의 통증이 크므로 대상자는 절개부위를 고정하고 얕은 호흡으로 통증을 감소시키고자 한다. 필요시 48~72시간 동안 진통제를 충분히 투여하며, 무기폐를 예방하기 위해 1~2시간마다 규칙적으로 기침과 심호흡을 하도록한다. 체위변경을 격려하며 침대에서 자주 움직이도록 한다. 비위관이 삽입되었다면 개방성을 확인한다. 비위관 흡인으로 필수 전해질이 제거되기 때문에 가능한 비위관은 빨리 제거해야 한다. 장음이 정상으로 돌아오고 복부가 부드러우면 보통 24시간 내에 제거한다. 5%포도당이나 생리식염수를 정맥으로 주입한다. 비위관을 제거하면 구강으로 맑은 액체를 투여한다. 대상자는 며칠 내 부드러운 저지방 식이를 먹을 수 있게 된다. 혈압의 저하, 맥박의 상승, 빈호흡, 소변배설량의 감소, 불안정, 갈증, 피부 탄력성의 간소등 내출혈을 의미하는 증상들이 있다면 즉시 의사에게 보고한다.
-활동의 증진: 수술 당일 저녁이나 그 다음날에 조기이상을 격려한다. T-tube가 있으면 폐쇄성 배액주머니에 연결하여 자유로이 움직일 수 있게 해주고 배액주머니는 총담관 아래에 놓이게 한다. 활동 시 드레싱과 배액주머니가 안전하도록 조처하여 대상자를 안심시킨다. 퇴원 계획에 휴식과 활동을 포함한 피로 대처방법을 반드시 포함시킨다. 퇴원 후 얼마동안 무거운 물건을 들지 않도록 한다.
-T-tube 배액의 유지: T-tube를 총담관에 삽입하고 관의 다른 한쪽은 피부를 통해 밖으로 꺼낸 다음 피부에 고정한다. 자상을 통해 나오는 T-tube 부위는 막히지 않도록 둘둘 말은 거즈 위에 관을 두고 반창고로 고정한다. T-tube는 총담관의 개방성을 유지하기 위해 삽입하며 총담관의 부종이 가라앉고 담즙이 정상적으로 십이지장으로 배액될 때까지 유지한다. 회복실에서 병리로 이송할 때 T-tube를 잠궜다면 병실에 돌아온 즉시 clamp를 열어야 한다. 튜브를 폐쇄 중력배액 system에 연결하고 대상자가 움직일 수 있도록 충분한 여유를 준다. 대상자에 튜브를 삽입한 목적을 설명하고 튜브가 꼬이거나 잠기거나 당겨지지 않도록 교육한다. 수술당일은 적어도 2시간 마다 배액의 색깔과 양을 점검한다. 첫날 몇 시간 동안은 혈액이나 혈액이 섞인 액체가 배액되지만 그 양이 많다면 즉시 의사에게 보고한다. 매일 배액량을 측정하고 기록한다. 튜브는 다양한 시간 간격으로 clamp를 하고 불편한 증상이 있는지 관찰한다. 만약 증상이 있다면 즉시 clamp를 풀고 의사에게 알린다. 배액으로 인해 드레싱이 젖으면 피부가 자극되므로 드레싱을 자주 교환한다. 때때로 대상자는 T-tube를 삽입한 채 퇴원하기도 한다. 튜브의 관리법과 의사에게 보고해야할 합병증에 대해 교육한다.
-퇴원교육: 대상자에게 활동 제한과 식이에 대해 교육하고 무거운 물건을 들지 않도록 한다. T-tube를 삽입한채 퇴원하면 T-tube의 추후관리에 대해 교육하고, 튜브를 제거하기 전에 T-tube담관조영술을 반복하게 됨을 설명해 준다.
-영양증진: 담도계 수술 후 대상자에게 저지방 식이와 균형잡힌 영양의 필요성을 교육한다. 수술전 오심과 구토로 인해 영양이 결핍된 대상자는 칼로리 섭취를 증가시킨다.
-피부통합성 유지: T-tube 절개 부위의 치료 방법은 다른 절개와 같다. 간호사는 더러워진 드레싱을 제거하고 배농관이나 튜브 주위 피부를 깨끗이 닦고 담즙을 제거한다. 장기간T-tube를 삽입하고 있다면 T-tube관리에 대한 교육을 한다.
2.Breast Ca ; Mastectomy 환자 간호
유방암에 대한 불안을 감소시키고, 불안을 조절할 수 있는 정보를 찾는다. 치료를 위한 의사결정을 하거나, 관심사에 대해 토론하고 자가측정법을 배울 때 환자를 참여시켜 효과적인 적응전략을 사용하도로고 한다. 종양이 발견되는 즉시 대상자는 불안해진다. 불안의 수준은 대상자의 과거 경험 및 질병 정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대상자의 상황과 불안의 수준에 대한 인식을 사정한다. 간호사는 대상자의 불안하고 두려운 감정을 환기시키도록 배려하며, 주의깊게 경청하고 차분하게 접근한다. 진단, 치료, 예후를 설명할 때는 사실에 입각한 정보를 제공한다. 감정, 인식, 공포를 말로 표현하도록 격려한다. 불안의 변화를 인식하고 적절하게 방어기전을 사용하도록 지지한다.
★수술전간호
-환자는 진단 및 치료받는 시기에 불안을 느낄수 있으므로 정서적으로 지지해준다.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유방암 치료에 관한 교육을 하고 치료방법 및 치료비용에 관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한다.
-유방상실로 대상자는 분노, 우울, 부정, 수용과 비통의 과정을 거친다.
-수술전 간호는 마취와 생검의 종류에 따라 다르다. 흡인생검과 조직 절개생검이 있다.
-전신마취 환자에게는 8시간 이상 금식, 수술시간, 수술 전 임상 검사와 수술 후 이동 등에 관하여 설명한다. 또한 생검 동안 예상되는 감각에 대해서도 미리 설명해 주어야 한다.
-수술후 24시간 동안은 정맥혈과 림프액의 정체로 인한 부종을 방지하기 위해 환측 팔과 손을 베개 위에 올려 팔꿈치를 어깨보다 높게 하고, 환측 팔 및 어깨의 움직임은 수술 후 최소한 24시간 동안 제한 받는다는 것을 설명한다.
★수술 후 간호
대상자의 안위 도모, 영양 공급, 합병증 예방 및 퇴원후 가정에서의 적응 등을 준비시키는데 초점을 둔다.
-관찰: 수술후 출혈부위와 활력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