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지멘스(Siemens)의 경영전략 및 성공 요인에 대하여 철저한 분석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A+) 지멘스(Siemens)의 경영전략 및 성공 요인에 대하여 철저한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서론……………………………………………………………………………………1
II. 본론……………………………………………………………………………………2
 1. 유럽 기업 사업 전개 방향과 일본 기업의 상황………………………………2
 2. Siemens이 경영 전략………………………………………………………………5
  (1) 과거 10년 무엇을 달성했는가?………………………………………………5
  (2) Siemens의 해외사업 성공 요인………………………………………………7
   1) 업계 No.1 ~ No. 2을 목표로 한 사업 포트폴리오에 집중………………7
   2) 해외전개와 글로벌 자원의 활용……………………………………………11
  (3) 어카운트 관리 체계 …………………………………………………………14
  (4) JV로 묶는 turnkey 솔루션 사업……………………………………………20
  (5) 글로벌 규모의 비용 절감 효과………………………………………………21
  (6) 프로젝트에 있어 병목 현상 해소……………………………………………23
 3. 솔루션과 스마트 커뮤니티 ………………………………………………………24
III. 결론…………………………………………………………………………………26
* 참고 자료………………………………………………………………………………28

본문내용

Siemens가 자랑하는 해상 풍력 발전은 유럽에서는 향후 10 년간 영국, 독일, 프랑스, 북유럽 등에서 매우 많은 프로젝트가 생길 것이다. 그렇지만 이 사업에 있어서 풍력 발전의 서플라이어(supplier)는 많지만, 발전소건설에 사용되는 부설용 선박의 용량이 적아 거기가 병목 현상을 보인다. 해상 풍력 발전이 가장 진행하고 있는 덴마크에서 그 나라의 전력회사인 DONG energy는 해상 엔지니어링의 실적과 프로젝트의 파이프라인을 가지고 있다. 거기에서 Siemens는 이 병목 현상을 해소하고, 자기의 풍력발전 비즈니스를 유리하게 하기 위해서, DONG energy와 공동 출자로 부설용 선박 사업에 진출하가고 있다(그림20).
이러한 사례는 ABB의 해저 케이블 사업(해저 케이블의 부설용 선박)에서도 보인다. 이 기업은, 단지 품질과 비용의 문제뿐만 아니라, 프로젝트를 차지하기 위해서 병목현상을 어떻게 해소할지를 생각하고, 벨류 체인을 구축하고 있는 것이다.
3. 솔루션과 스마트 커뮤니티
제4의 세그먼트 구축 이야기를 했지만, Siemens은 2011년부터 Industry, Energy, Healthcare에 더해, 도시 인프라스트럭쳐(infrastructure) 사업의 중요성 증가를 예측해 Infrastructure & Cities라고 하는 새로운 사업영역을 시작하고 있다(그림21).
Infrastructure & Cities가 가지고 있는 사업은 철도, 저/중전압, 스마트 그리드, 빌딩 시스템, 조명(Osram은 라이팅 회사)에서, 앞으로는 스마트 시티의 프로젝트에 주력한다고 하는 의사표시라고 생각된다. 여전히 Siemens는 스마트 시티를 Public Safety, Energy, Waste Management, City Management, Building Management, Transportation, Healthcare, Education, Citizen Services의 9영역에 정의하고 있어, 의료, 교통 시스템, 송배전 등 Siemens의 다른 사업 세그먼트를 결합한 솔루션을 제공해 가는 것도 사업 범위에 넣고 있다.
그러면 앞으로 제4의 세그먼트는 어떤 방향을 진해할 것인가? 4~5년전부터 IBM은 '스마트 플래닛(IBM Smarter Planet)'이라는 개념을 내세워 IT를 통해 사회 인프라스트럭쳐(infrastructure)의 혁신을 실시하는 사업에 주력하고 있다. 이렇게 IT는 도시에 있어서의 인프라스트럭쳐(infrastructure) 제어라고 하는 관점에서는 앞으로 중요해진다고 생각되지만, Siemens는 IT부문을 비 핵심 부문으로 보아 Atos에 매각하고 있다(이 때 Siemens가 매각한 IT부문은 기업의 백 오피스 등을 하는 IT부문이었다). 그러나 Siemens는 최근에 사회 인프라스트럭쳐(infrastructure)에 관계되는 것 같은 IT계의 회사를 매수하고 있다. 예를 들면 2010년에는 Site Control이라고 하는 디맨드(demand) 리스폰스(전력수요응답 시스템)의 회사를, 2011년에는 Advanced Telemetry이라고 하는 에너지 매니지먼트계의 회사나 eMeter라고 하는 스마트 그리드에 적합한 ERP의 회사를 산하에 넣었다. 또한 HP와는 IT계의 운용/보수/유지보수로 제휴하고 있다. HP에는 IT는 있지만 사회 인프라스트럭쳐(infrastructure)를 드라이브하는 힘은 없고, 한편 Siemens는 IT주변계의 회사는 인수 합병하여도 전체를 제어하는 부분은 약하므로, 서로 보완 관계를 강화하고 있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러한 움직임이 구체적으로 어떤 성과에 연결될지는 아직 보이지 않고 있지만, IBM과 같이 빅 데이터나 클라우드 등에서 전체를 컨트롤한다는 것 보다 자기들의 기존의 고객에 추가적 애드온(ad-on) 서비스나 솔루션, 오퍼레이션 테크놀로지를 제공하는 형태의 사업전개를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III. 결론
Siemens에 관한 정리 마지막으로 지금까지의 보고를 ① 해외 고객 기반, ② 경쟁 우위 구축, ③ 새로운 사업영역 진출이라는 3가지 사항을 중심으로 정리하고 싶다. (그림22).
먼저 ①의 해외의 고객 기반에 관해서는, Siemens는 19세기부터 세계 각국에서 전개해 온 적도 있어, 강고한 고객기반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이 고객기반을 유지·강화하기 위해서 중요 고객에 대한 전 방위적인 어카운트(account) 관리시스템을 정비하고 있다. ②의 경쟁 우위 구축은 “ Make or Buy”을 명확히 하면서, 자사 제품과 타사 상품을 결합시킨 turnkey 솔루션을 제공 할 수 있는 점이 강점이며, 글로벌 오퍼레이션을 활용한 가격 경쟁력도 경쟁 우위의 원천이 되고 있다. 이것은 Siemens의 비즈니스가 기기의 판매뿐만 아니라 EPC, 파이낸스, O&M등의 밸류 체인 전체를 커버하고 있어Siemens One과 같은 지역, 부문을 넘어선 제안을 할 수 있는 체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③의 새로운 영역에 대해서는 Siemens는 철도나 저·중전압 등의 사회 인프라스트럭쳐(infrastructure) 사업에 있어서의 실적을 활용하고, 스마트 시티 등, 설비관리 및 운영 기술 분야에 진출을 시작하고 있다. 이것 때문에 Siemens은, 필요한 설비관리 나 솔루션 회사, ERP 회사를 인수 합병하고 도메인의 재편하면서 스마트 유니버시티 전체를 의식한 조직 구성을 다이나믹하게 진척시키고 있다.
* 참고 자료
Seimens Web Site
Strategy Account Management Association
http://blog.naver.com/kpx_power/50075081757
http://www.naeilshot.co.kr/job_tellme.asp?id=tellme&mode=view&idx=4&page=1
http://blog.daum.net/lge20139/5719389
지멘스 지식경영 seri000.egloos.com/8272269
하이브리드 버스http://www.gnetime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1244

추천자료

  • 가격8,000
  • 페이지수28페이지
  • 등록일2014.02.02
  • 저작시기2014.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0388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