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원 중보자로서 예수 그리스도 - 구원중보자, 중보자의 명칭, 그리스도의 무죄성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구원 중보자로서 예수 그리스도 - 구원중보자, 중보자의 명칭, 그리스도의 무죄성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구원중보자

2. 중보자의 명칭
1) 예수(Ιησομς)
2) 그리스도(ό Κριστος)
3) 인자(ό υιός του ανθρωπου)
4) 하나님의 아들(ό υιός του Θεου)
5) 주(Κυριος)
6) 하나님(Θεου)
7) 제2아담
8) 종(παις)

3. 그리스도의 무죄성

참고자료

본문내용

오는 것을 사람들이 보리라(막 13:26)“, ”내가 그니라. 인자가 권능자의 우편에 앉은 것과 하늘 구름을 타고 오는 것을 너희가 보리라 하시니(막 14:62)“ 등등이 있다.
구약시대의 인자의 사용례는 천사보다 더한 인자의 권위를 나타내고(시 8:4), 하늘에 계셔서 온갖 지혜가 그 속에 있으며 심판주가 되시는 인자의 임재(겔 1:26; 2:1, 3, 6, 8; 3:1, 3, 4, 10, 17, 25; 4:1 등)를 나타낼 때, 그리고 구속주의 오심을 나타낼때 사용되었다. 인자라는 칭호는 하나님의 아들의 선재를 함의하며 하나님의 아들의 비하와 승뤼를 인격적, 사영겆으로 표현하며 굴극적으로 최후의 강림을 지시한다. 그러므로 이 칭호는 신적이다.
4) 하나님의 아들( υι του Θεου)
구약시대의 이 말은 하나님의 백성들은 지칭하기 위해서 사용되기도 하였으나, 신약시대의 이 칭호는 인자라는 칭호와 성령의 임함(눅 24:49; 행 2:33; 요 20:21-22)과 세례와 연관되어 주로 사용된다. 무엇 보다도 이 단어는 아빠 아버지(αββα πατηρ)라고 부르는 그리스도와 성부의 친숙한 관계를 표현하기 위해서 사용된다(막 14:36). 또한 이 칭호는 예수의 탄생(눅 1:35), 세례 받으실 때(막 1:11; 눅 3:22), 유혹 받으실 때(묵 4:9; 마 4:3, 6), 변화되셨을 때(막 9:7; 마 17:5) 등에서 보는 것처럼 예수 자신과 관계되는 일들을 나타낼때 자주 사용된다. 특히 요한은 예수의 성육신(요 1:1-2, 14, 18)과 대제사장적 기도(요 17:1-5, 24)를 기록하면서 성부의 하나님과 영원히 함께 계신 아들로서 그리스도를 표현하기 위해 이 호칭이 사용된다. 바울은 이 호칭을 그리스도의 대속교리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한다.
5) 주(Κυριο)
신약의 Κυριο는 구약시대의 야훼를 호칭한 아도나이의 70인경의 번역이다(액 6000번 이상). 요한은 이 호칭을 통하여 그리스도에 대한 여호와의 신분을 재 확인하였다. 예수는 주로서 천지의 대권ㅇ,f 부활로 받고(마 28:28; 행 2:36; 롬 14:9; 로전 15:25-27; 압 1:10; 21-22; 빌 2:9-11; 골 2:10; 히 1:2; 벧전 3:22; 계 17:14), 교회의 주가 되셨다(골 1:18-19).
6) 하나님(Θεου)
예수님이 하나님으로 고백된 것은 부활 후이다. 도마의 고백은 전체 제자들의 고백으로 보아야 한다(요 20:28). 요한복음 1:1에서 아들의 위격은 아버지와 다르나 아버지와 같은 본질을 가졌다. 아버지 하나님과 함께하신 제2위격의 하나님으로 나타나는 명칭이다. 요일 5:20에 ‘참 하나님이시오 영생’은 그리스도가 진실하고 영원한 하나님이라는 사실과 하나님 아버지께 감추어진 영생이 그리스도 안에서 우리에게 주어져서 우리가 영생의 동참자가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바울은 그리스도를 만물위에 계셔서 세세토록 찬양 받으실 분으로 묘사한다. 육신으로는 유대인으로 난 그리스도가 영원히 송축받는 하나님이심을 나타냄으로써 하나님으로서 그리스도의 영원한 영광을 노래한다고 이해한다.
7) 제2아담
이는 호칭되거나 고백되는 이름이 아니고, 바울이 그리스도에게 붙인 이름이다(롬 5:14; 고전 15:45). 예수는 맏아들이 되어서(롬 8:29) 그의 죽으심과 부활에 연합한 자들로(롬 6:5) 그와 형제들로서 하나님의 자녀가 되게 하신 것이다(히 2:11-18). 예수는 신령한 백성들을 만들기 위해서 마지막 아담으로써, 살려주는 영이 되었다(고전 10:45). 제1아담을 통해 죄가 세상에 들어와 사망이 왕노릇 하게 되었지만, 제2아담인 예수 그리스도가 십자가에 대속하심으로 믿음을 통하여 택한 백성들을 의로 여기심으로 영생을 주신 것이다. 제1아담은 인류의 육체적인 대표이지만 제2아담은 인류의 영적인 대표이다.
8) 종(παι)
구약시대의 고난의 종 사상은 가장 낮은 자들을 위해서공의를 행할 뿐만아니라, d;방인을 위해서도 공의를 베푼자(사 42:1-12)로 묘사되며, 이스라엘의 죄를 담당할 뿐만 아니라 세상죄과를 다 담당하시는 자(사 53:1-12)로서 고난 받음으로써 백성들을 회복하고 구원하시는 메시아에 관한 사상이다(사 52:13-15; 61:1-3). 예수는 고난의 종으로 오셔서 대속적인 죽음을 죽으셨다(막 10:45; 11:51-52). 주의 종의 칭호는 베드로와 제자들이 예수를 지목한 칭호이다(행 3:13; 4:27, 30). 주의 종은 종의 형상 곧 피조물을 이
  • 가격1,8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4.02.03
  • 저작시기2014.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0401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