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조 명
- 조명이란?
• 조명 제어
- 실내 쾌적성 확보 기술
- 주광 해석, 이용 기술
- 주광, 인공광 통합제어 기술
- 에너지 절약 시스템 기술
- 개별 스위치 설치
- 옥외등 자동점멸 장치
- 인체감지형 조명점멸 장치
- 측창조명의 일광제어
- 조명설비 자동제어 시스템
- 태양광 조명설비
• 조명 방식
- 기구배치에 의한 분류
- 조명의 목적에 따른 분류
• 조명 계획
- 광속, 광도, 휘도, 조도, 광원의 효율, 광색, 연색성,
• 조명 설계
- 조명이란?
• 조명 제어
- 실내 쾌적성 확보 기술
- 주광 해석, 이용 기술
- 주광, 인공광 통합제어 기술
- 에너지 절약 시스템 기술
- 개별 스위치 설치
- 옥외등 자동점멸 장치
- 인체감지형 조명점멸 장치
- 측창조명의 일광제어
- 조명설비 자동제어 시스템
- 태양광 조명설비
• 조명 방식
- 기구배치에 의한 분류
- 조명의 목적에 따른 분류
• 조명 계획
- 광속, 광도, 휘도, 조도, 광원의 효율, 광색, 연색성,
• 조명 설계
본문내용
많은 양의 주광을 사입 시키고, 건축물 내외부에서 시야 내의 휘도를 조절하고, 시력을 감 소시키는 광대한 휘도차가 생기지 않도록 해야 한다. 또한 주요한 작업면에 잠 능광막반사현상이 생기지 않도록 해야 한다. 주광을 해석하고, 이용해서 건물설 계 계획 배치시 향에 대한 고려, 창의 설치위치, 창 면적의 대소, 창의 형태에 따라 적절히 계획하여 가능한 자연광 사입량을 많게 하여 실내의밝기를 확보하 고 실내에 알맞은 균일한 조도 및 주광을 확보하여야 한다.
(2) 또한, 주광과 인공조명의 통합제어 기술도 필요하다.
주광, 즉 자연광은 풍토와 지역뿐만 아니라 끊임없는 변화의 과정 속에 있으며, 강도와 질은 자연조건에 의해 항상 변화한다. 건축공간에서 변화하는 자연채광의 질은 공간의 질을 변화시켜 주며 이들 변화 단계를 건축내부공간에 어떻게 적용시 키는가 하는 것이 예로부터 건축가에게 중요한 연구과제로 인식되어 왔다.
오늘날의 인공광은 단순히 작업공간의 조명 역할 이상으로 큰 의미를 갖고 있으 며 그 다 양성에 의해 실내공간의 분위기를 완전히 바꾸어 놓을 만큼 중요한 요 소가 되었다. 인공광 이용의 필요성은 자연채광의 한계인 조도조절이 불가능한 점 과 야간조명, 기후나 기상에 따른 변화에 대처하기 위해서이다. 하지만 인공광은 생리적 반응에 있어서 자연환경과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인간의 시각적 적응능력 을 필요로 하며 자연채광이 차단된 밀폐된 공간에서는 상황판단에 혼란을 일으키 기 쉽고 연색성이 좋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자연광과 인공광을 비교해보면, 자연광과 인공광은 방향이나 강도, 질, 균일성 혹 은 스펙트럼에 있어서 각기 다른 특성을 지닌다. 조명계획에서 자연채광과 인공조 명의 사용여부를 선택하는 기준은 그 공간의 성격과 기능, 시간과 장소에 따라 계 획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흐린 날이나 야간에 인공조명의 사용은 불가피한 것으 로 자연채광과 항상 보완적인 계획이 이루어질 때 적절한 실내환경을 조성할 수 있게 된다. 자연채광의 효율적 이용을 위해 평면설계 및 창의 효과적인 배치계획 을 수립하고, 주간의 인공조명의 사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2) 에너지 절약 시스템 기술
: 에너지를 절약하기 위한 조명제어 시스템에는 개별 스위치를 설치하는 것 과, 옥외등 자동점멸 장치, 인체 감지형 조명점멸 장치, 창측 조명의 일광 제어, 조 명설비 자동제어 시스템 등 이 있다.
(1) 개별 스위치 설치
: 집 뿐만 아니라 회사 등 여러 실내공간에서 멀티 탭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이 멀티탭 중에서도 개 별 스위치가 부착된 멀티탭을 사용하면 전자제품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스위치 하나로 전자제품을 끌 수 있어서 대기전력을 없어 전기료를 줄여준다고 한다. 개별 스위치가 없는 일반 멀티탭은 전기료를 줄일 수 가 없다. 플러그만 잘 뽑아도 전기료 10% 를 절약할 수 있다고 한다. 건물전체를 제어하는 조명시스템과 더불어 국부적으로 제어가 가능한 개별스위치를 설치하여 용도에 따라 적절하게 점멸할 수 있게 함으로써, 작지만 에너지를 절약하는 데에 있어 효과적인 기술 이라고 본다.
(2) 옥외등 자동점멸 장치
: 특히 창 주변 지역은 주간에 주광 조명을 할 수 있으므로, 개별스위치 또는 조 도센서 설치에 의한 점등 및 점멸 제어함으로써 조명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 광센서에 의해 옥외등을 자동 점멸하거나 타이머를 설치하여 주변 상황에 따라 옥외등을 자동 점멸한다.
(3) 인체감지형 조명점멸 장치
: 공동주택 같은 경우, 각 세대내의 현관 및 숙박시설의 객실 내부 입구 조명기구 는 인체감지 점멸형 또는 점등 후 일정시간 후 자동 소등되는 자동 조절 조명기 구를 선택 해야한다. 또한, 사람 왕래가 적고 주광을 이용하지 못하는 계단, 객 실 입구(현관) 등 조명기구에 설치하여 인체 또는 주위 밝기를 감지하여 자동으 로 점멸하거나 조도를 자동조절 할 수 있는 조명등으로 조명전력을 절감 시킨 다.
(4) 창측조명의 일광제어
: 창으로부터 들어오는 주광의 양에 따라 실내조명을 제어함 으로써 에너지절약 을 도모한다. 이때 주광 +인공광의 밝기가 어느 장소에서도 설계 조도 이하가 되지 않도록 하며, 창면을 등진 사람 얼굴의 연직면 조도를 150lx 이상 유지하 도록 하는 것으로서, 이들 조건을 만족 시키기 위해서는 광센서 조광제어 시스 템이 가장 효과적이다.
창측 채광은 구조와 시공이 용이하고, 비가 유리창이 들이칠 때 다른 창에 비 해 비교적 피해가 적으며, 개폐와 조작이 용이하고 청소 등 유지가 용이하다. 또 한 투명 부분을 개방용으로 대치할 수 있고, 통풍 및 차열에 유리하다. 하지만 조도분포가 불균일 하여 실 깊이에 제한을 받으므로 넓은 실에는 불리하며, 주 변 상황에 큰 영향을 받는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창문이 같은 면적일 경우 수직창이 수평창보다 채광량이 더 많다.
또한 창측 채광에는, 가장 일반적인 채광방식인 편측채광, 양면에서 채광을 하 는 방식인 양측채광, 창문의 위치가 시선보다 위에 있는 고창채광 등으로 나뉜 다.
(5) 조명설비 자동제어 시스템
: 재실자가 없을 경우 자동적으로 전원을 차단하는 것이 조명 자동제어 시스템이 다.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것으로는 아파트를 예로 들 수 있다. 아파트에 들어 서면 들어서자마자 현관에 불이 켜진다. 층층이 계단을 올라갈 때 마다 윗층의 계단이 불이 들어오고, 아래층은 점차 불이 꺼지는 것을 흔히 볼 수 있다. 집에 들어가서도 문을 열면 현관에 불이 켜지고, 방에 들어가면 불이 꺼진다. 이런식 으로 사람의 드나듦이 없을 경우 자동적으로 불이 꺼지는 시스템이다.
(6) 태양광 조명설비
: 보통 채광효율 향상을 위해서 어떠한 추적기구를 설치하고, 컴퓨터 제어에 의한 자동적인 태양광을 추적하지만, 채광한 빛에너지를 변환하여 이용하는 것이 아 니고, 빛을 그대로 이용하는 것에 한정하여 현재 실용화가 되고 있는 기술방식 이다.
태양광 조명설비는 햇빛이 잘 비치는 장소에 설치한 여러개의 반사거울이나 렌 즈가 태양을 추적하면서 빛을 모아 그늘진 베란다나 정원 등과 같은 곳을 밝게 비춘다. 이것은 계절이 태양의 고도에 관계없이 항상 태양광을 이요
(2) 또한, 주광과 인공조명의 통합제어 기술도 필요하다.
주광, 즉 자연광은 풍토와 지역뿐만 아니라 끊임없는 변화의 과정 속에 있으며, 강도와 질은 자연조건에 의해 항상 변화한다. 건축공간에서 변화하는 자연채광의 질은 공간의 질을 변화시켜 주며 이들 변화 단계를 건축내부공간에 어떻게 적용시 키는가 하는 것이 예로부터 건축가에게 중요한 연구과제로 인식되어 왔다.
오늘날의 인공광은 단순히 작업공간의 조명 역할 이상으로 큰 의미를 갖고 있으 며 그 다 양성에 의해 실내공간의 분위기를 완전히 바꾸어 놓을 만큼 중요한 요 소가 되었다. 인공광 이용의 필요성은 자연채광의 한계인 조도조절이 불가능한 점 과 야간조명, 기후나 기상에 따른 변화에 대처하기 위해서이다. 하지만 인공광은 생리적 반응에 있어서 자연환경과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인간의 시각적 적응능력 을 필요로 하며 자연채광이 차단된 밀폐된 공간에서는 상황판단에 혼란을 일으키 기 쉽고 연색성이 좋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자연광과 인공광을 비교해보면, 자연광과 인공광은 방향이나 강도, 질, 균일성 혹 은 스펙트럼에 있어서 각기 다른 특성을 지닌다. 조명계획에서 자연채광과 인공조 명의 사용여부를 선택하는 기준은 그 공간의 성격과 기능, 시간과 장소에 따라 계 획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흐린 날이나 야간에 인공조명의 사용은 불가피한 것으 로 자연채광과 항상 보완적인 계획이 이루어질 때 적절한 실내환경을 조성할 수 있게 된다. 자연채광의 효율적 이용을 위해 평면설계 및 창의 효과적인 배치계획 을 수립하고, 주간의 인공조명의 사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2) 에너지 절약 시스템 기술
: 에너지를 절약하기 위한 조명제어 시스템에는 개별 스위치를 설치하는 것 과, 옥외등 자동점멸 장치, 인체 감지형 조명점멸 장치, 창측 조명의 일광 제어, 조 명설비 자동제어 시스템 등 이 있다.
(1) 개별 스위치 설치
: 집 뿐만 아니라 회사 등 여러 실내공간에서 멀티 탭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이 멀티탭 중에서도 개 별 스위치가 부착된 멀티탭을 사용하면 전자제품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스위치 하나로 전자제품을 끌 수 있어서 대기전력을 없어 전기료를 줄여준다고 한다. 개별 스위치가 없는 일반 멀티탭은 전기료를 줄일 수 가 없다. 플러그만 잘 뽑아도 전기료 10% 를 절약할 수 있다고 한다. 건물전체를 제어하는 조명시스템과 더불어 국부적으로 제어가 가능한 개별스위치를 설치하여 용도에 따라 적절하게 점멸할 수 있게 함으로써, 작지만 에너지를 절약하는 데에 있어 효과적인 기술 이라고 본다.
(2) 옥외등 자동점멸 장치
: 특히 창 주변 지역은 주간에 주광 조명을 할 수 있으므로, 개별스위치 또는 조 도센서 설치에 의한 점등 및 점멸 제어함으로써 조명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 광센서에 의해 옥외등을 자동 점멸하거나 타이머를 설치하여 주변 상황에 따라 옥외등을 자동 점멸한다.
(3) 인체감지형 조명점멸 장치
: 공동주택 같은 경우, 각 세대내의 현관 및 숙박시설의 객실 내부 입구 조명기구 는 인체감지 점멸형 또는 점등 후 일정시간 후 자동 소등되는 자동 조절 조명기 구를 선택 해야한다. 또한, 사람 왕래가 적고 주광을 이용하지 못하는 계단, 객 실 입구(현관) 등 조명기구에 설치하여 인체 또는 주위 밝기를 감지하여 자동으 로 점멸하거나 조도를 자동조절 할 수 있는 조명등으로 조명전력을 절감 시킨 다.
(4) 창측조명의 일광제어
: 창으로부터 들어오는 주광의 양에 따라 실내조명을 제어함 으로써 에너지절약 을 도모한다. 이때 주광 +인공광의 밝기가 어느 장소에서도 설계 조도 이하가 되지 않도록 하며, 창면을 등진 사람 얼굴의 연직면 조도를 150lx 이상 유지하 도록 하는 것으로서, 이들 조건을 만족 시키기 위해서는 광센서 조광제어 시스 템이 가장 효과적이다.
창측 채광은 구조와 시공이 용이하고, 비가 유리창이 들이칠 때 다른 창에 비 해 비교적 피해가 적으며, 개폐와 조작이 용이하고 청소 등 유지가 용이하다. 또 한 투명 부분을 개방용으로 대치할 수 있고, 통풍 및 차열에 유리하다. 하지만 조도분포가 불균일 하여 실 깊이에 제한을 받으므로 넓은 실에는 불리하며, 주 변 상황에 큰 영향을 받는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창문이 같은 면적일 경우 수직창이 수평창보다 채광량이 더 많다.
또한 창측 채광에는, 가장 일반적인 채광방식인 편측채광, 양면에서 채광을 하 는 방식인 양측채광, 창문의 위치가 시선보다 위에 있는 고창채광 등으로 나뉜 다.
(5) 조명설비 자동제어 시스템
: 재실자가 없을 경우 자동적으로 전원을 차단하는 것이 조명 자동제어 시스템이 다.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것으로는 아파트를 예로 들 수 있다. 아파트에 들어 서면 들어서자마자 현관에 불이 켜진다. 층층이 계단을 올라갈 때 마다 윗층의 계단이 불이 들어오고, 아래층은 점차 불이 꺼지는 것을 흔히 볼 수 있다. 집에 들어가서도 문을 열면 현관에 불이 켜지고, 방에 들어가면 불이 꺼진다. 이런식 으로 사람의 드나듦이 없을 경우 자동적으로 불이 꺼지는 시스템이다.
(6) 태양광 조명설비
: 보통 채광효율 향상을 위해서 어떠한 추적기구를 설치하고, 컴퓨터 제어에 의한 자동적인 태양광을 추적하지만, 채광한 빛에너지를 변환하여 이용하는 것이 아 니고, 빛을 그대로 이용하는 것에 한정하여 현재 실용화가 되고 있는 기술방식 이다.
태양광 조명설비는 햇빛이 잘 비치는 장소에 설치한 여러개의 반사거울이나 렌 즈가 태양을 추적하면서 빛을 모아 그늘진 베란다나 정원 등과 같은 곳을 밝게 비춘다. 이것은 계절이 태양의 고도에 관계없이 항상 태양광을 이요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