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의의 및 필요성 ----------------------------------------- 2
2. 문헌고찰 --------------------------------------------------- 2~5
Ⅱ. 본론
1. 간호사정 --------------------------------------------------- 5~15
1) 개인력
2) 현병력
3) 과거력
4) 가족력
5) 간호력
6) 각 기관별 사정
7) 진단검사
8) 치료 및 경과
2. 간호문제 --------------------------------------------------- 15
3. 간호진단 --------------------------------------------------- 16~18
1) 간호진단 목록 참고
2) 간호과정 적용
Ⅲ. 결론
1. 연구결과 정리 ----------------------------------------------- 18
2. 실습소감 -------------------------------------------------- 19
3. 제언 ------------------------------------------------------ 19
※참고문헌 ---------------------------------------------------- 20
1. 연구의 의의 및 필요성 ----------------------------------------- 2
2. 문헌고찰 --------------------------------------------------- 2~5
Ⅱ. 본론
1. 간호사정 --------------------------------------------------- 5~15
1) 개인력
2) 현병력
3) 과거력
4) 가족력
5) 간호력
6) 각 기관별 사정
7) 진단검사
8) 치료 및 경과
2. 간호문제 --------------------------------------------------- 15
3. 간호진단 --------------------------------------------------- 16~18
1) 간호진단 목록 참고
2) 간호과정 적용
Ⅲ. 결론
1. 연구결과 정리 ----------------------------------------------- 18
2. 실습소감 -------------------------------------------------- 19
3. 제언 ------------------------------------------------------ 19
※참고문헌 ---------------------------------------------------- 20
본문내용
alcium
8.4~10.2mg/dl
7.4
정상보다 낮음
Ionized calcium
4.6~5.08mg/dl
4.2
정상보다 낮음
CBC
(complee blood count: )전혈검사. 피의 모든 성분을 검사하는 일종의 기본적인 검사
WBC
백혈구. 높으면 감염을 의미하고 반대로 낮을 경우 감염의 위험성이 커진다.
4.5~11
8.12
정상범위
RBC
적혈구. 적혈구의 수가 부족, 또는 혈색소, Hct. 수준이 정상보다 낮은 면 빈혈이 생긴다.
M:4.2~5.6
F:3.8~5.3
3.22
정상보다 낮음
Hb
헤모글로빈: 적혈구 속에 다량으로 들어 있는 색소단백질로 산소와 이산화탄소를 운반함
M:13.1~17.2
F:11.7~16
9.9
정상보다 낮음
Hct
혈액 100ml에 있는 적혈구 량을 %로 표시한 것
M:39~50
F:35~47(%)
28.2
정상보다 낮음
Lymphocyte
(림프구)
면역계에 매우 중요하며 위험한 침윤성 유기체로부터 인체를 지키는 백혈구. 주요 형태는 B-림프구와 T-림프구가 있다.
(다른 말로는 각각 B-세포와 T-세포라고 불림.)
T 림프구: 면역반응의 실제 작동 세포로서의 기능과 면역 반응을 조절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기능에 따라 여러 종류의 T림프구로 나뉜다.
B림프구: 각종 항체의 분비기능
21~51(%)
14.8
정상보다 낮음
PTH
부갑상선 호르몬: 혈중 칼슘농도를 증가시키는 기능을 함
10~65(pg/ml)
6.15
정상보다 낮음
8) 치료 및 경과
(1) 식이요법
갑상선 절제수술이후 죽 식이 하고 계심
(2) 약물요법
약명/상품명
용량용량
작용
적응증
부작용
환자가족교육
Levothyroxine sodium
/씬지로이드
1일1회25~400㎍경구투여. 일반적인 초회량은 25~100㎍ 유지량은100~400㎍이다. 연령 및 증상에 따라 적절히 증감함.
갑상선, 부갑상선 호르몬제
갑상선 기능 저하증, 점액부종, 크레틴병, 단순 갑상선증
심계항진, 맥박증가, 부정맥, 맥압상승, 진전, 두통, 어지러움, 발한, 신경과민, 흥분, 불안 조울 증 등의 증상
매일 같은시간에 복용하고 절대로 두배의 양을 복용하지 말 것, 의사 상의 없이 임으로 중단해서는 안되며, 정기적으로 검사 시행이 필요함. 콜레스테라민, 철분제제, 알루미늄 함유 제산제와 병용시 이들 약은 이 약물 복용 4시간 전 또는 1시간 이후에 복용해야 함.
Calcitriol/ 칼씨오연질캅셀
부갑상선 기능저하증, 구루병, 골연화증의 경우 아침에 1캅쎌, 2~4주 간격으로 증량 가능함.
Vitamin A, D, E
골다공증, 구루병, 골연화증, 부갑상선 기능저하증, 만성 신부전증, 혈액투석환자의 신성골이영양증
탈력감, 두통, 오심, 변비, 근육통, 다음, 다뇨, 식욕부진, 체중감소 등의 증상
이 약을 복용시 다른 어떤 비타민 제제도 복용하지 않아야 함. 이뇨제, 스테로이드 제제, 고지혈증 치료제, 간질약 등을 복용시 미리 의사에게알려야 함. 칼슘제제 임의로 많이 복용시 식욕감퇴, 두통, 구토 변비가 유발될 수 있음.
Ltopride/가나톤정
보통 성인은 1일3회 1회 1정을 식전에 경구 투여한다.
itopride: acetylcholine esterase 저해효과와 도파민 D2 receptor를 길항하는 효과가 있다. 소화관항진, 구토억제작용
기능성 소화불량으로 인한 소화기 증상(복부팽만감, 상복부통, 식용부진, 흉통, 오심, 구토)
쇼크 및 아나필락시양증상, 간기능장애, 황달, 구역, 설사, 변비, 복통, 타액증가, 두통, 초조감, 수면장애, 어지러움, 여성화유방, prolactin의 상승, 혈소판감소, 백혈구 감소
이 약은 1정씩 1일 3회 식사 전에 복용하여야함. 식사 전에 복용해야 가장 효과적이나 위장 장애가 있을 경우 식사 후에 복용할 수도 있음. 유즙분비가 나타나면 즉시 의사나 약사에게 알려야함.
Alibendol/리벤돌정
1일 300-400mg을 3-4회 분할하여 식전 및 취침시 경구투여
담즙분비 촉진제
소화불량, 구역, 구토, 변비 등의 증상치료
부작용과 금기가 없고 임부에게도 안심하고 사용가능
금기 : 7세미만의 영.유아에게는 경구투여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1일 3-4회 식자 전 및 취침시에 복용. 이약의 복용으로 이상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 투여를 중지하고 의사 또는 약사와 상의해야함. 2주 정도 복용하여도 증상의 개선이 없을 경우에는 투여를 중단하고 의사 또는 약사와 상의해야 함.
artemisia asiatlica 95% ethanol ext/스티렌정
급만성위염의 위점막 병변(미란, 출혈, 발적, 부종)의 개선 : 1회 1정을 1일 3회 경구투여
NSAIDs 투여로 인한 위염 및 위궤양의 예방과 치료 : 1일 2-4정을 식사시와 취침시에 분복. 가능하면 이 약과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를 동시에 복용
위점막 보호 및 손상을 억제하고 항염증작용을 통해 손상된 위점막을 회복시킴으로써 급만성위염의 위점막병변(미란, 출혈, 발적, 부종)을 개선시킴
위점막병변(미란, 출혈, 발적, 부종)의 개선-급성위염, 만성위염
구역, 구토, 식욕부진, 설사, 속쓰림, 상복부통, 현기증, 두통, 발진, 가려움 등
1일 2-4정을 식사시와 취침시에 분복하여, 의사의 지시대로 복용. 2주 정도 투여하여도 증상의 개선이 보이지 않으면 의사 또는 약사와 상의. 다른 약을 투여하기 전에 의.약사와 상의.
Phenylalanine/엔도필정
통상 1일 2-3회, 1회 2정 식전 공복에 복용. 증상이 호전되면 유지량 1일 1회, 1회 2정 복용
자양강장제
체력증강, 저항력증강
구기, 구토, 변비
정해진 용법 및 용량을 지키고, 과량 복용하지 말것. 1개월 정도 복용하여도 증상의 개선이 없을 경우 의사 또는 약사와 상의.
Calcium Carbonate/한국유나이티드탄산칼슘정
제산 : 1일 1-5g을 3-4회 분복
칼슘보급 : 1일 1.5-3g을 1-2회 분복
제산제 & 흡착제 (Antacids & Adsorbents)
위십이지장궤양, 위염, 위산과다 등의 제산작용, 칼슘보급
(다량)변비, 구역, 설사, 가려움증, 고칼슘혈증, 알칼리증, 신결석, 요로결석 등
칼슘 보급제 또는 제산제로
8.4~10.2mg/dl
7.4
정상보다 낮음
Ionized calcium
4.6~5.08mg/dl
4.2
정상보다 낮음
CBC
(complee blood count: )전혈검사. 피의 모든 성분을 검사하는 일종의 기본적인 검사
WBC
백혈구. 높으면 감염을 의미하고 반대로 낮을 경우 감염의 위험성이 커진다.
4.5~11
8.12
정상범위
RBC
적혈구. 적혈구의 수가 부족, 또는 혈색소, Hct. 수준이 정상보다 낮은 면 빈혈이 생긴다.
M:4.2~5.6
F:3.8~5.3
3.22
정상보다 낮음
Hb
헤모글로빈: 적혈구 속에 다량으로 들어 있는 색소단백질로 산소와 이산화탄소를 운반함
M:13.1~17.2
F:11.7~16
9.9
정상보다 낮음
Hct
혈액 100ml에 있는 적혈구 량을 %로 표시한 것
M:39~50
F:35~47(%)
28.2
정상보다 낮음
Lymphocyte
(림프구)
면역계에 매우 중요하며 위험한 침윤성 유기체로부터 인체를 지키는 백혈구. 주요 형태는 B-림프구와 T-림프구가 있다.
(다른 말로는 각각 B-세포와 T-세포라고 불림.)
T 림프구: 면역반응의 실제 작동 세포로서의 기능과 면역 반응을 조절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기능에 따라 여러 종류의 T림프구로 나뉜다.
B림프구: 각종 항체의 분비기능
21~51(%)
14.8
정상보다 낮음
PTH
부갑상선 호르몬: 혈중 칼슘농도를 증가시키는 기능을 함
10~65(pg/ml)
6.15
정상보다 낮음
8) 치료 및 경과
(1) 식이요법
갑상선 절제수술이후 죽 식이 하고 계심
(2) 약물요법
약명/상품명
용량용량
작용
적응증
부작용
환자가족교육
Levothyroxine sodium
/씬지로이드
1일1회25~400㎍경구투여. 일반적인 초회량은 25~100㎍ 유지량은100~400㎍이다. 연령 및 증상에 따라 적절히 증감함.
갑상선, 부갑상선 호르몬제
갑상선 기능 저하증, 점액부종, 크레틴병, 단순 갑상선증
심계항진, 맥박증가, 부정맥, 맥압상승, 진전, 두통, 어지러움, 발한, 신경과민, 흥분, 불안 조울 증 등의 증상
매일 같은시간에 복용하고 절대로 두배의 양을 복용하지 말 것, 의사 상의 없이 임으로 중단해서는 안되며, 정기적으로 검사 시행이 필요함. 콜레스테라민, 철분제제, 알루미늄 함유 제산제와 병용시 이들 약은 이 약물 복용 4시간 전 또는 1시간 이후에 복용해야 함.
Calcitriol/ 칼씨오연질캅셀
부갑상선 기능저하증, 구루병, 골연화증의 경우 아침에 1캅쎌, 2~4주 간격으로 증량 가능함.
Vitamin A, D, E
골다공증, 구루병, 골연화증, 부갑상선 기능저하증, 만성 신부전증, 혈액투석환자의 신성골이영양증
탈력감, 두통, 오심, 변비, 근육통, 다음, 다뇨, 식욕부진, 체중감소 등의 증상
이 약을 복용시 다른 어떤 비타민 제제도 복용하지 않아야 함. 이뇨제, 스테로이드 제제, 고지혈증 치료제, 간질약 등을 복용시 미리 의사에게알려야 함. 칼슘제제 임의로 많이 복용시 식욕감퇴, 두통, 구토 변비가 유발될 수 있음.
Ltopride/가나톤정
보통 성인은 1일3회 1회 1정을 식전에 경구 투여한다.
itopride: acetylcholine esterase 저해효과와 도파민 D2 receptor를 길항하는 효과가 있다. 소화관항진, 구토억제작용
기능성 소화불량으로 인한 소화기 증상(복부팽만감, 상복부통, 식용부진, 흉통, 오심, 구토)
쇼크 및 아나필락시양증상, 간기능장애, 황달, 구역, 설사, 변비, 복통, 타액증가, 두통, 초조감, 수면장애, 어지러움, 여성화유방, prolactin의 상승, 혈소판감소, 백혈구 감소
이 약은 1정씩 1일 3회 식사 전에 복용하여야함. 식사 전에 복용해야 가장 효과적이나 위장 장애가 있을 경우 식사 후에 복용할 수도 있음. 유즙분비가 나타나면 즉시 의사나 약사에게 알려야함.
Alibendol/리벤돌정
1일 300-400mg을 3-4회 분할하여 식전 및 취침시 경구투여
담즙분비 촉진제
소화불량, 구역, 구토, 변비 등의 증상치료
부작용과 금기가 없고 임부에게도 안심하고 사용가능
금기 : 7세미만의 영.유아에게는 경구투여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1일 3-4회 식자 전 및 취침시에 복용. 이약의 복용으로 이상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 투여를 중지하고 의사 또는 약사와 상의해야함. 2주 정도 복용하여도 증상의 개선이 없을 경우에는 투여를 중단하고 의사 또는 약사와 상의해야 함.
artemisia asiatlica 95% ethanol ext/스티렌정
급만성위염의 위점막 병변(미란, 출혈, 발적, 부종)의 개선 : 1회 1정을 1일 3회 경구투여
NSAIDs 투여로 인한 위염 및 위궤양의 예방과 치료 : 1일 2-4정을 식사시와 취침시에 분복. 가능하면 이 약과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를 동시에 복용
위점막 보호 및 손상을 억제하고 항염증작용을 통해 손상된 위점막을 회복시킴으로써 급만성위염의 위점막병변(미란, 출혈, 발적, 부종)을 개선시킴
위점막병변(미란, 출혈, 발적, 부종)의 개선-급성위염, 만성위염
구역, 구토, 식욕부진, 설사, 속쓰림, 상복부통, 현기증, 두통, 발진, 가려움 등
1일 2-4정을 식사시와 취침시에 분복하여, 의사의 지시대로 복용. 2주 정도 투여하여도 증상의 개선이 보이지 않으면 의사 또는 약사와 상의. 다른 약을 투여하기 전에 의.약사와 상의.
Phenylalanine/엔도필정
통상 1일 2-3회, 1회 2정 식전 공복에 복용. 증상이 호전되면 유지량 1일 1회, 1회 2정 복용
자양강장제
체력증강, 저항력증강
구기, 구토, 변비
정해진 용법 및 용량을 지키고, 과량 복용하지 말것. 1개월 정도 복용하여도 증상의 개선이 없을 경우 의사 또는 약사와 상의.
Calcium Carbonate/한국유나이티드탄산칼슘정
제산 : 1일 1-5g을 3-4회 분복
칼슘보급 : 1일 1.5-3g을 1-2회 분복
제산제 & 흡착제 (Antacids & Adsorbents)
위십이지장궤양, 위염, 위산과다 등의 제산작용, 칼슘보급
(다량)변비, 구역, 설사, 가려움증, 고칼슘혈증, 알칼리증, 신결석, 요로결석 등
칼슘 보급제 또는 제산제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