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알코올중독(Alcoholism)
Ⅰ. 서론
Ⅱ. 본론
1. 개념
2. 증상
1) 알코올 급성중독
2) 알코올 금단증상
3) 알코올 금단섬망
4) 알코올성 환각증
5) 알코올성 건망증
6) 알코올과 관련된 치매
3. 원인
4. 진단
알코올 남용의 진단기준
DSM-IV
5. 치료 및 간호
6. 경과 및 예후
Ⅲ. 간호과정
A. 대상자 사정
B. 정신간호진단
2. 간호진단 및 목록 작성
**부적절한 대처방법과 관련된 비효율적 개인대처
1. 주관적사정(subjective data)
2. 객관적사정(objective data)
3. 목표
4. 계획
5. 수행
6. 평가
** 긍정적 귀환의 결여와 관련된 자존감 저하
1. 주관적사정(subjective data)
2. 객관적사정(objective data)
3. 목표
4. 계획
5. 수행
6. 평가
** 물질 남용의 위험성에 대한 지식부족
1. 주관적사정(subjective data)
2. 객관적사정(objective data)
3. 목표
4. 계획
5. 수행
6. 평가
Ⅴ. 참고문헌
참고사이트
Ⅰ. 서론
Ⅱ. 본론
1. 개념
2. 증상
1) 알코올 급성중독
2) 알코올 금단증상
3) 알코올 금단섬망
4) 알코올성 환각증
5) 알코올성 건망증
6) 알코올과 관련된 치매
3. 원인
4. 진단
알코올 남용의 진단기준
DSM-IV
5. 치료 및 간호
6. 경과 및 예후
Ⅲ. 간호과정
A. 대상자 사정
B. 정신간호진단
2. 간호진단 및 목록 작성
**부적절한 대처방법과 관련된 비효율적 개인대처
1. 주관적사정(subjective data)
2. 객관적사정(objective data)
3. 목표
4. 계획
5. 수행
6. 평가
** 긍정적 귀환의 결여와 관련된 자존감 저하
1. 주관적사정(subjective data)
2. 객관적사정(objective data)
3. 목표
4. 계획
5. 수행
6. 평가
** 물질 남용의 위험성에 대한 지식부족
1. 주관적사정(subjective data)
2. 객관적사정(objective data)
3. 목표
4. 계획
5. 수행
6. 평가
Ⅴ. 참고문헌
참고사이트
본문내용
로
② Acamprosate
장기간의 음주 후에는 신체적인 적응에 의하여 신경전달물질에 변화가 생긴다. 억제성 신경전달물질인 GABA가 억제되고 흥분성 아미노산(대표적으로 glutamate)이 활성화된다. 따라서, 중독자는 이러한 신경전달물질을 정상화시키기 위해 반복적인 음주를 하게 된다. 이 약물은 GABA의 전달을 자극하고 흥분성 아미노산을 억제하여 금단에 조건화된 갈망을 감소하는 역할을 한다. 약물의 효과를 나타내기 위해서는 6개월 이상의 꾸준한 복용이 필요하다. 60kg 미만은 아침 1, 점심 1, 저녁 2정으로 하루 4정 (1332mg)을 복용하고 60kg 이상은 아침 2, 점심 2, 저녁 2정 6정(1998mg) 복용한다.
부작용: 설사, 복통, 성욕감퇴
③ Disulfiram
알코올이 체내에 들어오면 간에서 대사되어 그 대사산물로 아세트알데하이드가 생성된다. 음주 후의 구토, 구역, 두통, 심계항진 등의 증상은 이 대사산물의 영향에 의한 것이다. 디설피람은 아세타알데히드가 분해되는 것을 억제하여 아세트알데하이드에 의한 부작용을 극대화시켜 자발적인 음주를 억제하려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치료를 혐오치료라고 한다. 하지만, 과다복용시 간에 독성을 보이며 복용 후 음주 시에 사망하는 경우도 발생하므로 최근에는 사용이 급격히 감소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의 일부 연구에서는 날트렉손과 같은 효과가 있다는 보고도 있어 주목을 받고 있다.
3. 단주친목
단주친목회는 현재 140여개국에 조직되어 있고, 수백만의 알코올중독자들이 참여하고 있다. A.A는 자신을 알코올중독자로 인정하는 사람들이 동병상련의 정으로 모인 집단으로, 이미 술을 끊는데 성공한 회원들을 동일시함으로써 자신도 술을 끊게되는 일종의 집단치료과정이다. 회원들은 서로 격려하고 조언하며, 서로의 경험담을 나누거나 토론을 함으로써 알코올중독자 스스로가 회복에 대한 힘과 용기를 얻을 수 있게 한다. A.A는 참가비나 사례비를 받지 않으며, 알코올중독자의 신분, 종교, 재산, 교육수준 등에 관계없이 술을 끊겠다는 열망만 있으면 참석할 수 있다.
6. 경과 및 예후
알코올 중독자가 되기까지는 수십여년의 세월이 소요되었듯이, 알코올 중독에서 회복되는 데에도 최소한 1년이상, 흔하게는 수년의 시간이 소요되므로 이를 잘 이해하고 있어야 환자에 대해서도 실망하지 않을 수 있으며, 특히 성급한 기대는 절대 금물이다. 알코올 중독 환자의 입원치료 후 자연경과를 보면, 1/3 정도는 어느 정도 금주에 성공을 하게되고, 1/3 정도는 수주 내지 수개월간 금주하다가 다시 마시기 시작하며, 1/3정도는 퇴원하는 날부터 다시 마시기 시작한다고 한다. 환자가 술을 끊는 생활에 익숙하려면 적어도 9~15개월 정도의 기간이 필요하며, 대부분의 재발은 금주생활의 첫 15개월 이내에 발생한다. 따라서 병원에서 퇴원한다고 하여 치료가 끝난 것을 의미하는 것이 절대 아니고 재발방지를 위한 재가관리가 시작되었음을 의미하며, 지속적으로 술을 끊으려면 적어도 2~3년 동안 재발방지를 위한 프로그램에 참석해야한다. 즉, 퇴원 후에는 국내 각 지역에서 운영중인 AA에 참여하고 갈망감을 줄여주는 약물을 함께 병용하면서 외래 통원 치료를 지속하는 것이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최근에 설립된 알코올상담센타를 비롯한 예방교육기관에서 진행하는 프로그램이나 상담실을 이용한다면 재 음주의 갈등 상황을 극복에 보탬이 될 것이다.
Ⅲ. 간호과정
A. 대상자 사정
1. 기초사정
1) 일반적 정보
성명: 곽○○
연령: 만 52세
성별: 남
입원일: 2006년 0월 0일
직업: 없음
결혼상태: 기혼
학력: 고졸
종교: 무
경제상태: 중산층
수입원: 연금
병원비 부담: 의료보험
거주지: 무안
주거형태: 자가
정보제공자: 본인
의학적 진단: Alcohol dependence
R/O Alcoholic liver d/s
R/O NIDDM
2) 건강정보
(1) 입원시 일반적 상태
체온: 36.2。C
맥박: 120회/분
혈압: 160/90 mmHg
체중: 64Kg
입원형태: 걸어서
음주: 한다
술의 종류: 소주
양: 4~5병이상/day
마지막 음주시간: 당일 낮에 소주 반병
약물사용: 없다
알러지 반응: 없다
환자의 외모, 행동, 태도: 보통키, 얼굴붉고 빨간코
진전(tremor) 심함
감정상태-공격적
의식상태(+)
(2) 현재의 건강상태
① 신체적 건강상태
인지/감각: 시력장애-노안으로 돋보기 착용
호흡: 이상 없음
순환: 이상 없음
피부/상처: 얼굴혈색-붉음
활동/오락: 관절통이 있어 파스를 붙이나 활동하는데는 지장 없음
영양: 혈당
배설: 이상 없음
성: 이상 없음
② 정신적 건강상태
과거 기억상실-술 먹고 필름이 끊김
③ 검사자료
X-ray
both tibia-다발성 골절(교통사고로 인한)
both knee joint-관절 퇴화
chest PA-오른쪽 8th 늑골 골절(old)
Blood test
SGOT : 105.4 IU/L(7~30)
Al-P : 145.1 IU/L(31~115)
glucose : 128mg/이(65~110)
K : 3.2meq/L(3.8~5.0)
RBC : 4.20mm3(4.50~5.90)
Hb : 11.1g/이(13.5~17.5)
Hct : 32.9%(41~53)
Platelet : 110mm3(150~450)
MCV : 78fL(80~100)
Lymphocute : 38%(23~33)
(3) 과거의 건강정보
① 입원전 병력
신체질환
1991년 오토바이 사고 -좌측 경비골 근위부 골절 및 불유합 상태
2000년 9월 버스 사고 -우측 경비골 원위부 골절 및 불유합 상태
외상성 슬관절 골관절염
우측 경골 골절 및 불유합 상태
정신질환
2001년 11/15~12/31 알콜 중독으로 본 병원 입원
②성장발달 중 특기사항
a. 태내시기: 특이사항 없음
b. 출생시: 자연분만
c. 구강기: 주 양육인-어머니
어릴 때 잘 서지를 못해 침을 맞고 섰다고 함
d. 항문기: not delayed
e. 생식기: 외아들로 자람
f. 잠복기: 성적 하위권, 사교성 좋고 인기 많았다 함. 교내 씨름선수
g. 청소년기: 마라톤선수로 활약(자랑스러워함)
h.
② Acamprosate
장기간의 음주 후에는 신체적인 적응에 의하여 신경전달물질에 변화가 생긴다. 억제성 신경전달물질인 GABA가 억제되고 흥분성 아미노산(대표적으로 glutamate)이 활성화된다. 따라서, 중독자는 이러한 신경전달물질을 정상화시키기 위해 반복적인 음주를 하게 된다. 이 약물은 GABA의 전달을 자극하고 흥분성 아미노산을 억제하여 금단에 조건화된 갈망을 감소하는 역할을 한다. 약물의 효과를 나타내기 위해서는 6개월 이상의 꾸준한 복용이 필요하다. 60kg 미만은 아침 1, 점심 1, 저녁 2정으로 하루 4정 (1332mg)을 복용하고 60kg 이상은 아침 2, 점심 2, 저녁 2정 6정(1998mg) 복용한다.
부작용: 설사, 복통, 성욕감퇴
③ Disulfiram
알코올이 체내에 들어오면 간에서 대사되어 그 대사산물로 아세트알데하이드가 생성된다. 음주 후의 구토, 구역, 두통, 심계항진 등의 증상은 이 대사산물의 영향에 의한 것이다. 디설피람은 아세타알데히드가 분해되는 것을 억제하여 아세트알데하이드에 의한 부작용을 극대화시켜 자발적인 음주를 억제하려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치료를 혐오치료라고 한다. 하지만, 과다복용시 간에 독성을 보이며 복용 후 음주 시에 사망하는 경우도 발생하므로 최근에는 사용이 급격히 감소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의 일부 연구에서는 날트렉손과 같은 효과가 있다는 보고도 있어 주목을 받고 있다.
3. 단주친목
단주친목회는 현재 140여개국에 조직되어 있고, 수백만의 알코올중독자들이 참여하고 있다. A.A는 자신을 알코올중독자로 인정하는 사람들이 동병상련의 정으로 모인 집단으로, 이미 술을 끊는데 성공한 회원들을 동일시함으로써 자신도 술을 끊게되는 일종의 집단치료과정이다. 회원들은 서로 격려하고 조언하며, 서로의 경험담을 나누거나 토론을 함으로써 알코올중독자 스스로가 회복에 대한 힘과 용기를 얻을 수 있게 한다. A.A는 참가비나 사례비를 받지 않으며, 알코올중독자의 신분, 종교, 재산, 교육수준 등에 관계없이 술을 끊겠다는 열망만 있으면 참석할 수 있다.
6. 경과 및 예후
알코올 중독자가 되기까지는 수십여년의 세월이 소요되었듯이, 알코올 중독에서 회복되는 데에도 최소한 1년이상, 흔하게는 수년의 시간이 소요되므로 이를 잘 이해하고 있어야 환자에 대해서도 실망하지 않을 수 있으며, 특히 성급한 기대는 절대 금물이다. 알코올 중독 환자의 입원치료 후 자연경과를 보면, 1/3 정도는 어느 정도 금주에 성공을 하게되고, 1/3 정도는 수주 내지 수개월간 금주하다가 다시 마시기 시작하며, 1/3정도는 퇴원하는 날부터 다시 마시기 시작한다고 한다. 환자가 술을 끊는 생활에 익숙하려면 적어도 9~15개월 정도의 기간이 필요하며, 대부분의 재발은 금주생활의 첫 15개월 이내에 발생한다. 따라서 병원에서 퇴원한다고 하여 치료가 끝난 것을 의미하는 것이 절대 아니고 재발방지를 위한 재가관리가 시작되었음을 의미하며, 지속적으로 술을 끊으려면 적어도 2~3년 동안 재발방지를 위한 프로그램에 참석해야한다. 즉, 퇴원 후에는 국내 각 지역에서 운영중인 AA에 참여하고 갈망감을 줄여주는 약물을 함께 병용하면서 외래 통원 치료를 지속하는 것이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최근에 설립된 알코올상담센타를 비롯한 예방교육기관에서 진행하는 프로그램이나 상담실을 이용한다면 재 음주의 갈등 상황을 극복에 보탬이 될 것이다.
Ⅲ. 간호과정
A. 대상자 사정
1. 기초사정
1) 일반적 정보
성명: 곽○○
연령: 만 52세
성별: 남
입원일: 2006년 0월 0일
직업: 없음
결혼상태: 기혼
학력: 고졸
종교: 무
경제상태: 중산층
수입원: 연금
병원비 부담: 의료보험
거주지: 무안
주거형태: 자가
정보제공자: 본인
의학적 진단: Alcohol dependence
R/O Alcoholic liver d/s
R/O NIDDM
2) 건강정보
(1) 입원시 일반적 상태
체온: 36.2。C
맥박: 120회/분
혈압: 160/90 mmHg
체중: 64Kg
입원형태: 걸어서
음주: 한다
술의 종류: 소주
양: 4~5병이상/day
마지막 음주시간: 당일 낮에 소주 반병
약물사용: 없다
알러지 반응: 없다
환자의 외모, 행동, 태도: 보통키, 얼굴붉고 빨간코
진전(tremor) 심함
감정상태-공격적
의식상태(+)
(2) 현재의 건강상태
① 신체적 건강상태
인지/감각: 시력장애-노안으로 돋보기 착용
호흡: 이상 없음
순환: 이상 없음
피부/상처: 얼굴혈색-붉음
활동/오락: 관절통이 있어 파스를 붙이나 활동하는데는 지장 없음
영양: 혈당
배설: 이상 없음
성: 이상 없음
② 정신적 건강상태
과거 기억상실-술 먹고 필름이 끊김
③ 검사자료
X-ray
both tibia-다발성 골절(교통사고로 인한)
both knee joint-관절 퇴화
chest PA-오른쪽 8th 늑골 골절(old)
Blood test
SGOT : 105.4 IU/L(7~30)
Al-P : 145.1 IU/L(31~115)
glucose : 128mg/이(65~110)
K : 3.2meq/L(3.8~5.0)
RBC : 4.20mm3(4.50~5.90)
Hb : 11.1g/이(13.5~17.5)
Hct : 32.9%(41~53)
Platelet : 110mm3(150~450)
MCV : 78fL(80~100)
Lymphocute : 38%(23~33)
(3) 과거의 건강정보
① 입원전 병력
신체질환
1991년 오토바이 사고 -좌측 경비골 근위부 골절 및 불유합 상태
2000년 9월 버스 사고 -우측 경비골 원위부 골절 및 불유합 상태
외상성 슬관절 골관절염
우측 경골 골절 및 불유합 상태
정신질환
2001년 11/15~12/31 알콜 중독으로 본 병원 입원
②성장발달 중 특기사항
a. 태내시기: 특이사항 없음
b. 출생시: 자연분만
c. 구강기: 주 양육인-어머니
어릴 때 잘 서지를 못해 침을 맞고 섰다고 함
d. 항문기: not delayed
e. 생식기: 외아들로 자람
f. 잠복기: 성적 하위권, 사교성 좋고 인기 많았다 함. 교내 씨름선수
g. 청소년기: 마라톤선수로 활약(자랑스러워함)
h.
추천자료
알코올 중독자와 그 가족에 관한 서비스
알코올 중독에 관한 조사와 논의
알코올 중독의 실태와 예방 및 알콜중독 치료를 위한 방안과 프로그램 분석- 현장조사(기관...
[알콜중독] 알코올 중독의 개념과 역사, 현황, 음주문화 실태, 문제점, 해결방안 등
알코올 중독(약물중독)
알코올 중독에 대한 치료적 접근
알코올 중독 자녀 프로그램
알코올 중독의 개념-원인-특성-유형, 알코올이 정신 건강에 미치는 영향, 알코올 중독 치료 ...
알코올 중독 및 물질 관련 장애 (물질 의존 장애)
(알코올 중독) 알코올 중독의 원인과 정신과적 문제, 증상에 대하여 설명하고 자신의 견해를...
물질관련 장애 중 알코올과 관련하여 금단의 세계를 설명하고 알코올 중독을 치료하는 여러 ...
알코올 중독의 정의와 진단 및 알코올 중독으로 인한 문제점과 치료방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