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질병의 의학적 문헌고찰………………………………4 - 6
2. 질병의 간호학적 문헌고찰……………………………7 - 9
3. 대상자의 약물조사……………………………………10 - 19
4. 간호사정양식…………………………………………20 - 31
5. 간호과정……………………………………………… 32 - 39
1) 자료분석
2) 간호진단
3) 간호계획
4) 간호수행
2. 질병의 간호학적 문헌고찰……………………………7 - 9
3. 대상자의 약물조사……………………………………10 - 19
4. 간호사정양식…………………………………………20 - 31
5. 간호과정……………………………………………… 32 - 39
1) 자료분석
2) 간호진단
3) 간호계획
4) 간호수행
본문내용
기도점막자극 손상과 산소손실을 방지한다.
-100% 산소를 미리 투여하면 흡인시 호흡곤란을 호소하여 산소공급이 저하됨을 방지한다.
-수화는 점막층에 영향을 주고 점막청결에 방해가 되는 것을 제거한다.
3.5/26까지 대상자와 보호자가 기도청결처지술을 시행할 수 있다.
① 대상자에게 숨을 깊이쉬는 방법과 기침하는 방법을 교육시키고 격려한다.
② 보호자에게 체위배액하는 방법을 교육한다.
③ 보호자에게 무균적으로 흡인하는 방법과 중요성을 교육시키고 주기적으로 실시할 것을 격려한다.
-기도내분비물 제거를 위해서는 계속적인 흡인과 체위배액법이 필요하기에 보호자와 대상자의 기술습득이 필요하다.
간호진단
목적/기대되는 결과
간호지시
과학적 근거
왼쪽하지 무력과 관련된 운동장애
목적: 5월 27일까지 정상 근골격기능이 회복되어 신체운동능력이 증가한다.
기대되는 결과
① 매일 사지의 대칭성, 크기, 근력과 운동감각기능을 주의하여 사정한다.
② 매일 2회이상 능동적 ROM과 등척성운동을 실시한다.
③ 보호자와 대상자에게 ROM운동의 중요성과 방법에 대해 설명, 교육시킨다.
④ 하루에 1회(Am 11시경) 물리치료실에 가도록 한다.
⑤ 보호자가 휠체어에 태워서 운동을 하도록 한다.
-매일 근골격의 변화정도를 관찰하기위해 지속적으로 주의깊은 사정이 필요하다.
-등척성운동은 근력의 약화를 방지한다.
-ROM실시는 관절의 운동범위를 유지시키고 근육의 위축을
방지한다.
1. 계속적으로 근육위축, 관절의 변화가 나타나지 않으며, Lt. side weakness가 plegia상태로 진행되지 않는다.
2. 지속적으로 바른 신체선열이 유지된다
① 아침, 저녁으로 침상안정시 매2시간마다 체위변경을 실시한다.
② 필요에 따라 베개, 타월, 핸드롤 등을 이용하여 신체선열을 유지하도록 돕는다.
③ 보호자에게 신체선열을 유지시키기 위한 방법을 교육시킨다.
-적절한 체위조정과 운동은 신체선열을 바르게 유지시키고 뼈돌출 부위에 대한 압박을 완화하여 경축을 예방한다.
3. 5/19까지 보호자는 환자의 수동적 ROM운동을 시범할 수 있다.
① 보호자에게 수동적 ROM방법과 중요성을 설명하고 교육시킨다.
② 보호자에게 수동적 ROM의 중요성과 방법을 말하게 한다.
-지속적인 운동이 필요하도록 보호자를 교육시킨다.
간호진단
목적/기대되는 결과
간호지시
과학적 근거
운동신경 손상으로
인한 활동제한 및 약물 부작용
관련된 변비
목적: 대상자는 5월26일까지 정상적인 배변양상을 유지할 것이다.
기대되는 결과
① 고섬유질의 음식을 섭취시킨다.
② 1일 1800㎖의 물을 섭취시킨다.
③ 부드럽고 고잔유 거칠지 않는 저당분 식이를 제공한다.
④ 처방된 대변 완하제를 투여하거나 관장을 실시하도록한다.
-연한대변을 생성하는데 도움이 된다.
-적당한 수분의 공급은 배설양상을 개선시킨다.
-고 섬유소는 대변에 더많은 경도를 주는 용적을 준다.
-배변을 위한 긴장을 감소시키고 연한 대변을 유지시킨다.
1. 대상자는 5월17일까지 배변을 할 수 있을 것이다.
2. 보호자는 5월26일까지 변비의 예방을 설명하고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① 변비를 발생시키는 음식과 음료수는 피하도록 설명한다.
② 긴박감이 생기자마자 곧 대변을 보도록 권장한다.
③ 아편제제 및 그 유도체 약물을 피한다.
-각각 확인을 하고 주의를 하도록 한다.
-협착성을 방지하고 직장의 정상적인 내강을 보존한다.
-변비를 일으키는 효과가 있다.
3. 일주일내로 배변곤란을 호소하지 않는다.
① 계속적으로 수분섭취를 권장한다.
② 꾸준한 active ambulation을 시행하도록 한다.
③ 섬유질이 많이 함유된 음식을 섭취하도록 한다.
-운동은 장운동에 영향을 주고 근력훈련에도 도움이 된다.
4)간호 수행 기록지
일 시
진단번호
간 호 수 행 (SOAPIE)
서 명
2003년
5월
16일
#8
I
1-①②④ 2-①②③ 3-①②③
P
1-①② 고섬유질의 음식과 수분섭취를 격려함
④ 처방된 완하제를 투여함
E
환자는 정상적인 배변양상을 유지함
1. 5월 17일 대상자는 배변을 함
2. 변비를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을 보호자가 말할 수 있음
3. 배변곤란을 더 이상 호소하지 않음
일 시
진단번호
간 호 수 행 (SOAPIE)
서 명
2003.
5월
16,17일
#2
I
1-①②③④⑤ 2-①④ 3-①②③
P
1-① 매식사전, 취침전, 간헐적인 흡인 실시함
② 흡인시마다 객담의 점성과 양, 색을 관찰함
③ 흡인시 최대한 무균술을 적용하였으며, 특히 기관흡입시 오염되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임
④ V/S을 3시간마다 측정하며 호흡상태를 관찰함
⑤ 체위배액 및 흉부타진법을 실시하였으며 semi-Fowler체위를 취하게 함
2-① 매 라운딩시 V/S 및 저산소증의 유무를 사정함
② 흡인시 너무 깊고, 오랜 시간의 흡인을 피하여 대상자의 산소손실과 점막손상을 최대한 방지함
3-① 환자에게 EDBC를 교육함
② 보호자에게 체위배액 및 흉부타진을 교육함
③ 주기적인 흡인과, 흡인시 무균법의 중요성에 대하여 보호자에게 교육함
E
환자의 호흡 양상이 정상으로 돌아옴.
1. 객담의 점성이 묽어져, 배출이 용이해짐
2. 환자에게 호흡곤란, 청색증, 빈맥 등의 저산소증 증상이
나타나지 않음
3. 보호자는 기도흡인법에 대하여 잘 알고 있음
2003.
5월 26,27일
#5
I
1-①②③④⑤ 2-①②③ 3-①②
P
1-① 사지의 근력과 운동감각기능을 사정함
②③ 하루 두번 ROM 운동을 시켜주었으며, 보호자에게 중요성을 설명함
④ AM 11시에 물리치료실에 감
⑤ 휠체어에 태워서 운동을 하는 방법을 설명해주고, 보호자에게 가르쳐줌
2-① 매일 오전 10시와 오후 5시에 체위변경을 해주고, 보호자에게 체위변경의 중요성을 설명해주고 수행할 것을 교육함
②③ 여러개의 베개를 이용하여 신체선열을 유지할 수 있는 체위를 취해주고, 보호자에게 교육함
3-①② 보호자에게 ROM에 대한 교육을 하고 말할 수 있도록 함
E
환자는 신체운동능력에 큰 개선이 없었음 - 미해결
1. 근육위축과 관절변화를 최대한 막음
2. 바른 신체선열을 유지할 수 있음
3. 보호자는 주기적으로 ROM운동을 실시할 수 있음
-100% 산소를 미리 투여하면 흡인시 호흡곤란을 호소하여 산소공급이 저하됨을 방지한다.
-수화는 점막층에 영향을 주고 점막청결에 방해가 되는 것을 제거한다.
3.5/26까지 대상자와 보호자가 기도청결처지술을 시행할 수 있다.
① 대상자에게 숨을 깊이쉬는 방법과 기침하는 방법을 교육시키고 격려한다.
② 보호자에게 체위배액하는 방법을 교육한다.
③ 보호자에게 무균적으로 흡인하는 방법과 중요성을 교육시키고 주기적으로 실시할 것을 격려한다.
-기도내분비물 제거를 위해서는 계속적인 흡인과 체위배액법이 필요하기에 보호자와 대상자의 기술습득이 필요하다.
간호진단
목적/기대되는 결과
간호지시
과학적 근거
왼쪽하지 무력과 관련된 운동장애
목적: 5월 27일까지 정상 근골격기능이 회복되어 신체운동능력이 증가한다.
기대되는 결과
① 매일 사지의 대칭성, 크기, 근력과 운동감각기능을 주의하여 사정한다.
② 매일 2회이상 능동적 ROM과 등척성운동을 실시한다.
③ 보호자와 대상자에게 ROM운동의 중요성과 방법에 대해 설명, 교육시킨다.
④ 하루에 1회(Am 11시경) 물리치료실에 가도록 한다.
⑤ 보호자가 휠체어에 태워서 운동을 하도록 한다.
-매일 근골격의 변화정도를 관찰하기위해 지속적으로 주의깊은 사정이 필요하다.
-등척성운동은 근력의 약화를 방지한다.
-ROM실시는 관절의 운동범위를 유지시키고 근육의 위축을
방지한다.
1. 계속적으로 근육위축, 관절의 변화가 나타나지 않으며, Lt. side weakness가 plegia상태로 진행되지 않는다.
2. 지속적으로 바른 신체선열이 유지된다
① 아침, 저녁으로 침상안정시 매2시간마다 체위변경을 실시한다.
② 필요에 따라 베개, 타월, 핸드롤 등을 이용하여 신체선열을 유지하도록 돕는다.
③ 보호자에게 신체선열을 유지시키기 위한 방법을 교육시킨다.
-적절한 체위조정과 운동은 신체선열을 바르게 유지시키고 뼈돌출 부위에 대한 압박을 완화하여 경축을 예방한다.
3. 5/19까지 보호자는 환자의 수동적 ROM운동을 시범할 수 있다.
① 보호자에게 수동적 ROM방법과 중요성을 설명하고 교육시킨다.
② 보호자에게 수동적 ROM의 중요성과 방법을 말하게 한다.
-지속적인 운동이 필요하도록 보호자를 교육시킨다.
간호진단
목적/기대되는 결과
간호지시
과학적 근거
운동신경 손상으로
인한 활동제한 및 약물 부작용
관련된 변비
목적: 대상자는 5월26일까지 정상적인 배변양상을 유지할 것이다.
기대되는 결과
① 고섬유질의 음식을 섭취시킨다.
② 1일 1800㎖의 물을 섭취시킨다.
③ 부드럽고 고잔유 거칠지 않는 저당분 식이를 제공한다.
④ 처방된 대변 완하제를 투여하거나 관장을 실시하도록한다.
-연한대변을 생성하는데 도움이 된다.
-적당한 수분의 공급은 배설양상을 개선시킨다.
-고 섬유소는 대변에 더많은 경도를 주는 용적을 준다.
-배변을 위한 긴장을 감소시키고 연한 대변을 유지시킨다.
1. 대상자는 5월17일까지 배변을 할 수 있을 것이다.
2. 보호자는 5월26일까지 변비의 예방을 설명하고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① 변비를 발생시키는 음식과 음료수는 피하도록 설명한다.
② 긴박감이 생기자마자 곧 대변을 보도록 권장한다.
③ 아편제제 및 그 유도체 약물을 피한다.
-각각 확인을 하고 주의를 하도록 한다.
-협착성을 방지하고 직장의 정상적인 내강을 보존한다.
-변비를 일으키는 효과가 있다.
3. 일주일내로 배변곤란을 호소하지 않는다.
① 계속적으로 수분섭취를 권장한다.
② 꾸준한 active ambulation을 시행하도록 한다.
③ 섬유질이 많이 함유된 음식을 섭취하도록 한다.
-운동은 장운동에 영향을 주고 근력훈련에도 도움이 된다.
4)간호 수행 기록지
일 시
진단번호
간 호 수 행 (SOAPIE)
서 명
2003년
5월
16일
#8
I
1-①②④ 2-①②③ 3-①②③
P
1-①② 고섬유질의 음식과 수분섭취를 격려함
④ 처방된 완하제를 투여함
E
환자는 정상적인 배변양상을 유지함
1. 5월 17일 대상자는 배변을 함
2. 변비를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을 보호자가 말할 수 있음
3. 배변곤란을 더 이상 호소하지 않음
일 시
진단번호
간 호 수 행 (SOAPIE)
서 명
2003.
5월
16,17일
#2
I
1-①②③④⑤ 2-①④ 3-①②③
P
1-① 매식사전, 취침전, 간헐적인 흡인 실시함
② 흡인시마다 객담의 점성과 양, 색을 관찰함
③ 흡인시 최대한 무균술을 적용하였으며, 특히 기관흡입시 오염되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임
④ V/S을 3시간마다 측정하며 호흡상태를 관찰함
⑤ 체위배액 및 흉부타진법을 실시하였으며 semi-Fowler체위를 취하게 함
2-① 매 라운딩시 V/S 및 저산소증의 유무를 사정함
② 흡인시 너무 깊고, 오랜 시간의 흡인을 피하여 대상자의 산소손실과 점막손상을 최대한 방지함
3-① 환자에게 EDBC를 교육함
② 보호자에게 체위배액 및 흉부타진을 교육함
③ 주기적인 흡인과, 흡인시 무균법의 중요성에 대하여 보호자에게 교육함
E
환자의 호흡 양상이 정상으로 돌아옴.
1. 객담의 점성이 묽어져, 배출이 용이해짐
2. 환자에게 호흡곤란, 청색증, 빈맥 등의 저산소증 증상이
나타나지 않음
3. 보호자는 기도흡인법에 대하여 잘 알고 있음
2003.
5월 26,27일
#5
I
1-①②③④⑤ 2-①②③ 3-①②
P
1-① 사지의 근력과 운동감각기능을 사정함
②③ 하루 두번 ROM 운동을 시켜주었으며, 보호자에게 중요성을 설명함
④ AM 11시에 물리치료실에 감
⑤ 휠체어에 태워서 운동을 하는 방법을 설명해주고, 보호자에게 가르쳐줌
2-① 매일 오전 10시와 오후 5시에 체위변경을 해주고, 보호자에게 체위변경의 중요성을 설명해주고 수행할 것을 교육함
②③ 여러개의 베개를 이용하여 신체선열을 유지할 수 있는 체위를 취해주고, 보호자에게 교육함
3-①② 보호자에게 ROM에 대한 교육을 하고 말할 수 있도록 함
E
환자는 신체운동능력에 큰 개선이 없었음 - 미해결
1. 근육위축과 관절변화를 최대한 막음
2. 바른 신체선열을 유지할 수 있음
3. 보호자는 주기적으로 ROM운동을 실시할 수 있음
추천자료
경막하 출혈케이스 자료
중환자실 케이스 뇌내출혈 ICH intracerebral hemorrhage
노인간호학 뇌내출혈 case study
뇌내 출혈(Intracerabral hemorrhage: ICH)
ICH(대뇌내출혈)
ich, 뇌내출혈 케이스
신경외과 뇌출혈 질병레포트
ICH케이스(두개뇌출혈) 케이스 스터디
뇌출혈(뇌졸중)로 인한 혜택제공과 재활치료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기 위한 사례개입
ICH(뇌출혈) A+케이스스터디
경막하 출혈, 경막하혈종(SDH : Subdural Hematoma) 케이스
뇌졸중 중 뇌출혈 A+ 받은 케이스입니다.
만성 경막하 출혈 (Chronic Subdural Hemorrhage) 케이스 스터디 CASE STUDY - 수술명 : burr...
경막하 출혈 case study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