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습 중 관찰하게 되는 특수 진단 검사에 대해 목적, 방법, pre-care, post-care 등에 대해 쓰시오.
☞ 대장조영술(clon study)
☞ 전산화 단층촬영(Computerized Tomography;CT)
2. Chest physiotherapy의 종류와 목적, 시행방법, 주의점에 대해 쓰시오.
☞ 흉부물리요법
3. O2 therapy의 목적과 시행방법, 주의점에 대해 조사하시오.
☞ 목적
☞ 산소요법이 필요한 대상자
☞ 저산소증 (hypoxia)
☞ 고려사항
4. L-tube, MA tube, SB tube, Rectal tube등 병동에서 사용하고 있는 tube의 insertion, 목적, 주의점, 간호방법에 대해 조사하시오.
☞ L-tube
☞ MA tube
5. DM 환자의 insulin 요법시 insulin의 종류와 작용시간, 투여방법 등에 대해 조사하시오.
6. Hypoglycemia의 증후와 시기, 환자에게 교육방법등에 대해 조사하시오.
☞ 시기
☞ 증후
7. Blood transfusion의 목적과 종류, 시행방법, 간호방법, 합병증에 대해 조사하시오.
☞ 목적
☞ 준비물
☞ 방법
☞ 준비 단계
☞ 실행 단계
☞ 간호문제 및 합병증
☞ 간호중재
8. 심장질환(CHF, MI 등)이 있는 환자에게 투여되는 약물에 대해 조사하시오.
1. CHF 환자에게 투여되는 약물
☞ 아서틸 정 (ACERTIL)
☞ 레니텍 정(RENITEC)
☞ 니트로비드 (NITRO-BID)
☞ 라시딘 정 (LASIDIN)
☞ 아세틸시스테인 정(CETAMIDE)
☞ 암리논 주(AMRINONE)
☞ 오스틴 서방캅셀 (AUSTYN)
☞ 다이아막스 정(DIAMOX)
☞ 후릭스 (FURIX)
☞ 제스트릴제스트릴(zestril)
2. MI 환자에게 투여되는 약물
☞ 액티라제 주(ACTILYSE)
☞ 유로키나제 주(UROKINASE)
☞ 트란데이트 (TRANDATE)
☞ 제스트릴(zestril)
9. Hepatic coma 환자의 간호방법에 대해 조사하시오.
☞ 내과적 치료
☞ 간호중재
10. Emergency kit에 비치되어 있는 약물과 기구, 소모품에 대해 조사하시오.
☞ Emergency kit에 비치되어 있는 약물
☞ 비뇨기계약물
☞ 체성신경계 작용약물
☞ Emergency kit에 비치되어 있는 기구
11. 병동에서 사용되고 있는 약어, 의학용어를 정리하고 실습후 소감을 써서 함께 제출해주세요.
☞ 약어 및 의학용어
☞ MED 실습을 마치며....
☞ 대장조영술(clon study)
☞ 전산화 단층촬영(Computerized Tomography;CT)
2. Chest physiotherapy의 종류와 목적, 시행방법, 주의점에 대해 쓰시오.
☞ 흉부물리요법
3. O2 therapy의 목적과 시행방법, 주의점에 대해 조사하시오.
☞ 목적
☞ 산소요법이 필요한 대상자
☞ 저산소증 (hypoxia)
☞ 고려사항
4. L-tube, MA tube, SB tube, Rectal tube등 병동에서 사용하고 있는 tube의 insertion, 목적, 주의점, 간호방법에 대해 조사하시오.
☞ L-tube
☞ MA tube
5. DM 환자의 insulin 요법시 insulin의 종류와 작용시간, 투여방법 등에 대해 조사하시오.
6. Hypoglycemia의 증후와 시기, 환자에게 교육방법등에 대해 조사하시오.
☞ 시기
☞ 증후
7. Blood transfusion의 목적과 종류, 시행방법, 간호방법, 합병증에 대해 조사하시오.
☞ 목적
☞ 준비물
☞ 방법
☞ 준비 단계
☞ 실행 단계
☞ 간호문제 및 합병증
☞ 간호중재
8. 심장질환(CHF, MI 등)이 있는 환자에게 투여되는 약물에 대해 조사하시오.
1. CHF 환자에게 투여되는 약물
☞ 아서틸 정 (ACERTIL)
☞ 레니텍 정(RENITEC)
☞ 니트로비드 (NITRO-BID)
☞ 라시딘 정 (LASIDIN)
☞ 아세틸시스테인 정(CETAMIDE)
☞ 암리논 주(AMRINONE)
☞ 오스틴 서방캅셀 (AUSTYN)
☞ 다이아막스 정(DIAMOX)
☞ 후릭스 (FURIX)
☞ 제스트릴제스트릴(zestril)
2. MI 환자에게 투여되는 약물
☞ 액티라제 주(ACTILYSE)
☞ 유로키나제 주(UROKINASE)
☞ 트란데이트 (TRANDATE)
☞ 제스트릴(zestril)
9. Hepatic coma 환자의 간호방법에 대해 조사하시오.
☞ 내과적 치료
☞ 간호중재
10. Emergency kit에 비치되어 있는 약물과 기구, 소모품에 대해 조사하시오.
☞ Emergency kit에 비치되어 있는 약물
☞ 비뇨기계약물
☞ 체성신경계 작용약물
☞ Emergency kit에 비치되어 있는 기구
11. 병동에서 사용되고 있는 약어, 의학용어를 정리하고 실습후 소감을 써서 함께 제출해주세요.
☞ 약어 및 의학용어
☞ MED 실습을 마치며....
본문내용
위치에서 촬영한다. 부위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약 30분 정도 소요된다.
⑨ 촬영이 끝나면 환자상태를 확인하고 검사시간, 조영제에 따른 과민반응, 합병증 유무를 관찰하고 기록한다.
2. Chest physiotherapy의 종류와 목적, 시행방법, 주의점에 대해 쓰시오.
☞ 흉부물리요법
- 호흡운동
1. 이 방법은 호흡의 결핍을 보상하기 위해 사용되며 호흡의 효율성을 증가시킴으로써 에 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
2. 호흡운동을 수행하기 위한 전반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a. 근육이완과 불안감 제거
b. 호흡근육 활동의 필요없는 비조정된 양상제거
c. 호흡수 감소
d. 호흡시 노력 감소
e. 호흡근의 강도와 효율성 증가
f. 운동시 산소 포화도와 환기 증진
3. 횡격막 호흡은 호흡의 주근육인 횡격막을 강화시키기 위해 1차적으로 사용된다. 또한 보조근육의 사용을 감소시키도록 도우며, 특히 스트레스 상황에서 호흡양상을 보다 잘 조절하도록 해준다.
4. 입을 오므리고 하는 호흡(pursed-lip breathing)은 1차적으로 호흡수를 느리게 하기 위 해 사용되며 폐에 저장된 탄산가스 제거를 돕는다. 이 방법은 환자에게 항상 도움이 되 지만 특히 운동시 심한 호흡곤란을 느낄 때 도움이 된다.
5. 호흡운동은 규칙적으로 수행하는 것이 가장 유용하다.
- 타진/진동법
1. 타진법을 적용하는 경우
■과도한 분비물과 관련된 상태 : 폐렴, 침윤, consolidation,
무기폐, 기관지 확장증, COPD, 급성기의 CHF, 폐수종, C-tube 가 있는 기흉
■분비물 배출이 불가능한 뇌상태
■전신마취에서 장시간의 수술과정과 관련된 수술상태
2. 타진법을 적용할 수 없는 경우
■심한 통증
■골절된 늑골, flail chest
■흉곽에 영향을 미치는 degenertaive or metastatic bone diseasea
■심한 비만
■헤파린을 지속적으로 투여하는 경우
■불안정한 심장 상태
■각혈
3. 절차 및 방법
■적절한 체위배액 자세를 취한다.
■손을 컵모양으로 하고 손가락은 아래로 향하고 폐의 관련부위 흉벽에 위치한다.
■피부보호와 환자의 안위를 위해 얇은 수건이나 쉬트를 덮고한다.
■손가락은 늑골에 평행으로 놓고 뼈돌출부와 연조직을 피해서 한다.
■3~5분간 지속한다.
4. 타진은 손을 동그랗게 오므리고 흉벽을 주기적으로 두드리는 방법으로 팔목을 이용하여 통증이 생기지 않을 정도로 흉벽을 빠르게 두드리는 방법이다. 반복적인 움직임으로 인 한 손상 예방을 위해 기계적 타진기를 이용할 수 있다.
5. 진동은 호기 중에 흉벽에 압박과 진동을 주는 방법이다.
- 체위배액 : 체위와 배액은 폐로부터 중력을 이용해 분비물의 배출을 돕는 것이다. 배액 에 의해 폐의 특정한 분절의 분비물이 주기관지와 기도에서 제거되고 환자는 기침과 배 출로 폐를 깨끗이 할 수 있다. 폐의 여러 부분이 침범되어 있을 때는 더 많이 침범 받은 부분을 먼저 치료하고, 다음에 윗 부분을 아래로 하는 치료를 한다. 환자가 체위를 잘 유지하면 12~20분 정도 지속할 수 있다. 중환자실에 있는 환자들은 머리를 아래로 가게 하는 자세는 견디기 어렵다.
1. 복와위(Prone position)
1> 복와위를 적용할 수 있는 경우
■분비물이 증가되거나 폐내에 침윤(infltraion)이 존재할 때
■무기폐
■폐, 폐엽 또는 분절의 허탈(collapse)
2> 복와위를 적용할 수 없는 경우
■불안정한 심박수 혹은 리듬
■체액 불균형 : 울혈성 심부전, 폐수종, 불안정한 혈압
■뇌병변 : 뇌동맥류, 뇌압상승, 원인을 알 수 없는 혼수나 의식상실
■증가된 복부 둘레, 비만, 복부 팽만
■오심
■호흡곤란
■식사직후
2. 체위변경 방법 (앙와위 →복와위)
■환자에게 목적과 절차를 설명한다.
■손을 씻고 필요한 물품(electrode, air ring, 베개 등)을 준비한다.
■주치의와 간호직원에게 알리고 도움을 요청한다.
■인공호흡기 튜브, 각종 라인, 위내도관 등 환자가 가지고 있는 모든 라인이 빠지지 않 도록 충분히 길게 정리한다.
■환자의 머리쪽에 2명, 다리 쪽에 2명이 선다.
■환자의 양팔을 안쪽으로 모으고 환자를 측위로 돌린다.
■가슴위의 심전도(electrode)를 제거한다.
■머리 쪽에 선 간호사는 인공호흡기를 제거하고 한 손으로 기관내 삽관을 지지하고 다 른 손으로 목 뒷부분을 지지하면서 재빨리 체위를 변경한다. 머리 쪽에 선 간호사는 중심정맥관, swan-ganz cath등 상지 부분의 모든 라인을 지지하고 양팔의 관절에 무리 가 없도록 체위를 변경한다. 하지 쪽에 선 간호사는 소변줄을 정리하고 양 다리의 관 절을 지지하면서 체위변경을 한다.
■신속하게 인공호흡기를 연결하고 심전도를 등 쪽의 올바른 위치에 붙인다.
■욕창이 잘 생길 수 있는 부위에 air ring이나 베개로 지지한다.
■환자를 편안한 자세로 취해 준 후 환자의 상태(활력증후, 산소분압 등)를 관찰하고 기 록한다.
- 지시대로 기침하기(Directed cough)
1. 자연적인 기침의 효과를 증진하고 신체적인 제한을 보상하기 위해 실시하는 방법으로 분비물 제거, 무기폐, 수술 후 폐 합병증 예방, 낭종성 섬유증의 기관지 청결, 기관지 확장증, 만성 기관지염과 진단검사를 위한 검체물을 획득하기 위해 사용한다.
2. 중정도 이하의 폐 용량으로 구개를 열고 충분히 휴식한 후 횡격막 호흡으로 한 번 또는 두 번의 노력성 호기를 한다. 노력성 호기는 상지를 내전하여 스스로 흉곽을 누르게 한 다.
3. 금기 - 두개강의 증가, 뇌동맥류, 급성 또는 조절 불가능한 두부, 목, 척수의 손상
- 수동 보조 기침 : 노력성 호기와 함께 심와부위(epigastric region)에 기계적인 압력을 외부에서 적용하는 것을 말한다.
- 호기성 양압(Positive Expiratory Pressure;PEP)
1. 역행성 양압은 환자가 공기저항기를 통해 5~20회 숨을 쉴 때 나타난다.
2. 양압에 대항하는 연장된 호기동안 말처 기도는 공기가 측로를 통해 올라오는 동안 안정 되어 괸 분비물이 원위부 폐로 들어가게 된다.
3. 호기시 공기가 분비물을 큰 기도로
⑨ 촬영이 끝나면 환자상태를 확인하고 검사시간, 조영제에 따른 과민반응, 합병증 유무를 관찰하고 기록한다.
2. Chest physiotherapy의 종류와 목적, 시행방법, 주의점에 대해 쓰시오.
☞ 흉부물리요법
- 호흡운동
1. 이 방법은 호흡의 결핍을 보상하기 위해 사용되며 호흡의 효율성을 증가시킴으로써 에 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
2. 호흡운동을 수행하기 위한 전반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a. 근육이완과 불안감 제거
b. 호흡근육 활동의 필요없는 비조정된 양상제거
c. 호흡수 감소
d. 호흡시 노력 감소
e. 호흡근의 강도와 효율성 증가
f. 운동시 산소 포화도와 환기 증진
3. 횡격막 호흡은 호흡의 주근육인 횡격막을 강화시키기 위해 1차적으로 사용된다. 또한 보조근육의 사용을 감소시키도록 도우며, 특히 스트레스 상황에서 호흡양상을 보다 잘 조절하도록 해준다.
4. 입을 오므리고 하는 호흡(pursed-lip breathing)은 1차적으로 호흡수를 느리게 하기 위 해 사용되며 폐에 저장된 탄산가스 제거를 돕는다. 이 방법은 환자에게 항상 도움이 되 지만 특히 운동시 심한 호흡곤란을 느낄 때 도움이 된다.
5. 호흡운동은 규칙적으로 수행하는 것이 가장 유용하다.
- 타진/진동법
1. 타진법을 적용하는 경우
■과도한 분비물과 관련된 상태 : 폐렴, 침윤, consolidation,
무기폐, 기관지 확장증, COPD, 급성기의 CHF, 폐수종, C-tube 가 있는 기흉
■분비물 배출이 불가능한 뇌상태
■전신마취에서 장시간의 수술과정과 관련된 수술상태
2. 타진법을 적용할 수 없는 경우
■심한 통증
■골절된 늑골, flail chest
■흉곽에 영향을 미치는 degenertaive or metastatic bone diseasea
■심한 비만
■헤파린을 지속적으로 투여하는 경우
■불안정한 심장 상태
■각혈
3. 절차 및 방법
■적절한 체위배액 자세를 취한다.
■손을 컵모양으로 하고 손가락은 아래로 향하고 폐의 관련부위 흉벽에 위치한다.
■피부보호와 환자의 안위를 위해 얇은 수건이나 쉬트를 덮고한다.
■손가락은 늑골에 평행으로 놓고 뼈돌출부와 연조직을 피해서 한다.
■3~5분간 지속한다.
4. 타진은 손을 동그랗게 오므리고 흉벽을 주기적으로 두드리는 방법으로 팔목을 이용하여 통증이 생기지 않을 정도로 흉벽을 빠르게 두드리는 방법이다. 반복적인 움직임으로 인 한 손상 예방을 위해 기계적 타진기를 이용할 수 있다.
5. 진동은 호기 중에 흉벽에 압박과 진동을 주는 방법이다.
- 체위배액 : 체위와 배액은 폐로부터 중력을 이용해 분비물의 배출을 돕는 것이다. 배액 에 의해 폐의 특정한 분절의 분비물이 주기관지와 기도에서 제거되고 환자는 기침과 배 출로 폐를 깨끗이 할 수 있다. 폐의 여러 부분이 침범되어 있을 때는 더 많이 침범 받은 부분을 먼저 치료하고, 다음에 윗 부분을 아래로 하는 치료를 한다. 환자가 체위를 잘 유지하면 12~20분 정도 지속할 수 있다. 중환자실에 있는 환자들은 머리를 아래로 가게 하는 자세는 견디기 어렵다.
1. 복와위(Prone position)
1> 복와위를 적용할 수 있는 경우
■분비물이 증가되거나 폐내에 침윤(infltraion)이 존재할 때
■무기폐
■폐, 폐엽 또는 분절의 허탈(collapse)
2> 복와위를 적용할 수 없는 경우
■불안정한 심박수 혹은 리듬
■체액 불균형 : 울혈성 심부전, 폐수종, 불안정한 혈압
■뇌병변 : 뇌동맥류, 뇌압상승, 원인을 알 수 없는 혼수나 의식상실
■증가된 복부 둘레, 비만, 복부 팽만
■오심
■호흡곤란
■식사직후
2. 체위변경 방법 (앙와위 →복와위)
■환자에게 목적과 절차를 설명한다.
■손을 씻고 필요한 물품(electrode, air ring, 베개 등)을 준비한다.
■주치의와 간호직원에게 알리고 도움을 요청한다.
■인공호흡기 튜브, 각종 라인, 위내도관 등 환자가 가지고 있는 모든 라인이 빠지지 않 도록 충분히 길게 정리한다.
■환자의 머리쪽에 2명, 다리 쪽에 2명이 선다.
■환자의 양팔을 안쪽으로 모으고 환자를 측위로 돌린다.
■가슴위의 심전도(electrode)를 제거한다.
■머리 쪽에 선 간호사는 인공호흡기를 제거하고 한 손으로 기관내 삽관을 지지하고 다 른 손으로 목 뒷부분을 지지하면서 재빨리 체위를 변경한다. 머리 쪽에 선 간호사는 중심정맥관, swan-ganz cath등 상지 부분의 모든 라인을 지지하고 양팔의 관절에 무리 가 없도록 체위를 변경한다. 하지 쪽에 선 간호사는 소변줄을 정리하고 양 다리의 관 절을 지지하면서 체위변경을 한다.
■신속하게 인공호흡기를 연결하고 심전도를 등 쪽의 올바른 위치에 붙인다.
■욕창이 잘 생길 수 있는 부위에 air ring이나 베개로 지지한다.
■환자를 편안한 자세로 취해 준 후 환자의 상태(활력증후, 산소분압 등)를 관찰하고 기 록한다.
- 지시대로 기침하기(Directed cough)
1. 자연적인 기침의 효과를 증진하고 신체적인 제한을 보상하기 위해 실시하는 방법으로 분비물 제거, 무기폐, 수술 후 폐 합병증 예방, 낭종성 섬유증의 기관지 청결, 기관지 확장증, 만성 기관지염과 진단검사를 위한 검체물을 획득하기 위해 사용한다.
2. 중정도 이하의 폐 용량으로 구개를 열고 충분히 휴식한 후 횡격막 호흡으로 한 번 또는 두 번의 노력성 호기를 한다. 노력성 호기는 상지를 내전하여 스스로 흉곽을 누르게 한 다.
3. 금기 - 두개강의 증가, 뇌동맥류, 급성 또는 조절 불가능한 두부, 목, 척수의 손상
- 수동 보조 기침 : 노력성 호기와 함께 심와부위(epigastric region)에 기계적인 압력을 외부에서 적용하는 것을 말한다.
- 호기성 양압(Positive Expiratory Pressure;PEP)
1. 역행성 양압은 환자가 공기저항기를 통해 5~20회 숨을 쉴 때 나타난다.
2. 양압에 대항하는 연장된 호기동안 말처 기도는 공기가 측로를 통해 올라오는 동안 안정 되어 괸 분비물이 원위부 폐로 들어가게 된다.
3. 호기시 공기가 분비물을 큰 기도로
키워드
추천자료
건강에 대한 신문 스크랩
흡연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
오늘날 우리의 식생활
소아과학 임상실습 지침
병원 장비(기구)의종류와 사용방법
흡연과 금연에 관해
음악의 치료적 기능 발달과정 주요철학
[담배][흡연][연기][내용물][건강][첨가제]담배(흡연) 역사, 담배(흡연) 연기종류, 담배(흡연...
운동의 효과
지체부자유아동, 특수아동, 미숙아(미숙아동), 주의산만아(주의산만아동), 학습부진아(학습부...
아동 폐렴(pneumonia) 케이스
중환아 간호단위의 특성 (환아, 가족, 환경 등)을 설명하고, 중환아실 간호사가 갖추어야 할...
평가우수자료[인터넷 중독 원인과 치료] 인터넷 중독 개념, 청소년 인터넷 중독, 인터넷 중독...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