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문헌고찰]
1. 병태생리/원인
2. 임상양상
3. 우울증의 종류
[Case Study]
1. 일반적 정보
2. 정신병력 : 입원당시 주증상
3. 의학적 정보
4. 가족사정
5. 간호과정 적용
6. 간호진단
- 질환과 관련된 자존감 저하
- 질환과 관련된 영양부족
- 질환과 환경변화와 관련된 수면장애
- 투약과 관련된 배변장애
참고문헌
1. 병태생리/원인
2. 임상양상
3. 우울증의 종류
[Case Study]
1. 일반적 정보
2. 정신병력 : 입원당시 주증상
3. 의학적 정보
4. 가족사정
5. 간호과정 적용
6. 간호진단
- 질환과 관련된 자존감 저하
- 질환과 관련된 영양부족
- 질환과 환경변화와 관련된 수면장애
- 투약과 관련된 배변장애
참고문헌
본문내용
약을 투여한다.
E
환자에게 약물의 부작용에 대한 이해를 습득시키고 이에 대응할 수 있는 활동에 참여시켜 안정을 증진시켰다. 증상이 더 악화된 것이 아니라 약물의 부작용 중 하나임을 깨닫고 환자도 차츰 안정된 모습을 찾게 되었다.
떨림과 초조 때문에 대화하기를 꺼려했지만, 차츰 안정을 찾으며 다른 활동에 집중하는 모습을 보였다. 환자가 약물에 대해 두려움을 갖지 않기 위해서 계속적으로 관찰하고 도움을 줘야겠다.
문제
간 호 과 정
#
6
사
고
과
정
장
애
S
“병아리국이 나왔다”
“학교라는 음식은 안빈군의 피와 살로 만든 음식”
O
① 안빈군을 사랑한다며 전화하려는 모습보임.
② flight of idea
A
망상과 관련된 사고과정 장애
P/I
goal) 대상자는 망상과 현실을 구분할 수 있다.
① 대상자의 망상유발요인을 확인한다.
② 망상의 강도, 빈도, 지속시간을 사정한다.
③ 사고장애의 증상들을 확인하기 위해서 언어행위를 관찰한다.
④ 일관성 있고 지지적인 관계를 유지한다.
⑤ TV시청, 음악, 산책 등으로 환경적 자극을 증가시킨다.
⑥ 환자가 준비되어 있을 때 망상의 결과들에 대해서 토론한다.
E
환자에게 망상과 현실을 구분할 수 있도록 증상을 확인한 후, 새로운 환경을 제공하고 지지적인 관계를 유지했다. 사고의 흐름이 어느 정도 빗나가지 않았고 치료자와 대화하는 도중에는 사고의 장애(망상)가 나타나는 횟수가 줄어들었다. 환자의 정서가 불안정하지 않도록 꾸준히 옆에서 관계를 형성하도록 노력해야겠다.
문제
간 호 과 정
#
7
사
회
적
고
립
S
“그냥 여기(병실)에 있을래요.”
“아 귀찮아요.”
“좀 나가주실래요.”
“사람이 싫어요.”
O
① 요법에 참여하지 않고 혼자있는 모습 자주 관찰됨.
② 혼자 앉아서 책에 무언가를 계속 적음.
③ 손으로 얼굴을 가리고 대화를 함.
A
대인관계 기술부족과 관련된 사회적 고립
P/I
goal) 현재 환경에 적응하고 타인과의 상호작용이 증가된다.
① 사회적 상호작용정도를 사정한다.
② 환자를 혼자 두지 않고 함께 있어주므로써 상호작용을 증진시킨다.
③ 환자가 단체활동을 회피하고 있다는 사실을 인지하도록 대화한다.
④ 환자가 필요하다면 옆에서 지지해 줄 수 있는 의료진이 항상 있다는 것 을 알려준다.
⑤ 쉽게 완성할 수 있는 작업, 그림요법 등의 기회를 제공하여 성공의
경험을 느끼게 한다.
⑥ 언어적 의사소통을 격려한다.
E
처음 보는 치료자에게는 수줍어하고 자신이 없었지만, 점차적으로 요법에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모습이 관찰되었고, 자신의 의견도 발표하였다. 복도를 걸어다니면서 다른 환자와의 대화도 자연스럽게 하는 걸 보았다. 의료진이 말을 걸면 거부하지 않았고 필요시 의료진을 찾아 도움을 청하는 모습을 보였다.
문제
간 호 과 정
#
8
사
회
적
적
응
장
애
S
“간호사들은 다 거짓말쟁이...”
O
① 의료진을 불신하는 내용이 적힌 메모지를 발견함.
A
신뢰부족과 관련된 사회적 적응 장애
P/I
goal) 환자는 의료진을 믿고 현재 환경에 적응할 수 있다.
① 신뢰적인 관계 형성을 위해 환자와 1:1 치료적인 의사소통을 한다.
② 환자에게 정직하게 대하고 약속을 지킨다.
③ 신체적인 접촉을 피한다.
④ 볼 수 있는 장소에서 웃거나 속삭이는 행동은 피한다.
⑤ 의료진은 환자에게 도움을 주는 사람이라는 것을 알려주고, 믿음을
확신시켜준다.
⑥ 수동적이고 사무적이면서도 친밀한 접근을 한다.
⑦ 병동 내 프로그램 참여를 권장한다.
⑧ 하루에 20분씩 복도나 휴게실에 같이 나와 있는다.
E
신체적 접촉은 가능한 피하고 환자의 말에 경청하고 격려했다. 친밀하고 일관성 있게 다가갔을 때 환자가 조금씩 마음을 열고 치료자와 신뢰를 형성할 수 있었다. 그리고 병실에 있는 시간보다 복도나 휴게실에 나와있는 시간이 1~2시간정도 늘었다. 계속적인 관찰과 관심으로 환자와의 신뢰관계가 실패로 돌아가지 않도록 노력해야겠다.
문제
간 호 과 정
#
9
불
이
행
S
“안빈군이나 먹여라.”
“저는 약 안 먹어도 괜찮아요.”
“약 안 먹을래요”
O
① 투약할 때 약을 바닥에 떨어뜨림.
② 약 먹은 후에 쓴 표정을 짓는다.
A
투약에 대한 두려움과 관련된 불이행
P/I
goal) 투약을 거부하지 않고 먹을 수 있다.
① 투약에 대한 두려움 정도를 사정한다.
② 투약이 환자에게 나쁜 것이 아니고 건강해지는데 도움을 준다는 것을 알려준다.
③ 투약에 대해 환자가 느끼는 감정을 말로 표현하도록 한다.
④ 필요시 투약 후 keep을 한다.
E
투약을 거부할 때마다 옆에서 격려하고 지지해 주었다. 수행결과 투약 시 약을 떨어뜨리지 않고 한꺼번에 약을 먹었고, 표정도 전보다 편해보이고 좋아보였다. 약을 먹으라고 할 때면 곧바로 컵을 들고나와 약을 먹었으며 약 먹고 나서도 불만을 갖거나 표정이 어둡지 않았다. 계속적으로 투약을 지켜보면서 두려움을 갖지 않도록 지지를 해주어야 할 것이다.
문제
간 호 과 정
#
10
자
긍
심
저
하
S
“저는 이거 할 줄 몰라요”
“언니들이 말 거니깐 부담스러워요”
O
① SN들에게 손 잡아달라고 함.
② 손으로 얼굴을 가리고 대화를 함.
A
불안감, 초조와 관련된 자긍심 저하
P/I
goal) 환자는 퇴원시까지 자신있게 자신의 감정을 말로 표현할 수 있다.
① 환자의 불안정도를 사정한다.
② 혼자있는 시간을 줄일 수 있도록 각종 집단활동에 참여하도록 한다.
③ 환자는 의료진과 타인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사람이라고 격려한다.
④ 환자의 현재 감정을 말로 표현하도록 한다.
⑤ 환자가 잘한 행동에 대해서는 적절한 칭찬을 한다.
⑥ 환자의 대화에 귀 기울이고, 적절한 피드백을 제공한다.
E
방에 혼자 있는 시간이 줄었으며 활동요법에 참여를 잘 하지 않았는데, 참여하라고 권유를 하면 좋다며 같이 요법에 참여를 했다. 참여 도중에 집중을 잘 하지 못하고 계속 혼잣말을 하는 모습을 보였다. 도와주려고 하면 거부를 했지만, 나중에는 도움을 청하는 모습을 보였다. 요법 시 다른 환자의 것에 대해 궁금해 하며 서로 대화하는 모습도 관찰되었다. 어느 정도 자신의 것에 대해서도 집중을 하며 끝까지 최선을 다하는 모습을 보였다.
E
환자에게 약물의 부작용에 대한 이해를 습득시키고 이에 대응할 수 있는 활동에 참여시켜 안정을 증진시켰다. 증상이 더 악화된 것이 아니라 약물의 부작용 중 하나임을 깨닫고 환자도 차츰 안정된 모습을 찾게 되었다.
떨림과 초조 때문에 대화하기를 꺼려했지만, 차츰 안정을 찾으며 다른 활동에 집중하는 모습을 보였다. 환자가 약물에 대해 두려움을 갖지 않기 위해서 계속적으로 관찰하고 도움을 줘야겠다.
문제
간 호 과 정
#
6
사
고
과
정
장
애
S
“병아리국이 나왔다”
“학교라는 음식은 안빈군의 피와 살로 만든 음식”
O
① 안빈군을 사랑한다며 전화하려는 모습보임.
② flight of idea
A
망상과 관련된 사고과정 장애
P/I
goal) 대상자는 망상과 현실을 구분할 수 있다.
① 대상자의 망상유발요인을 확인한다.
② 망상의 강도, 빈도, 지속시간을 사정한다.
③ 사고장애의 증상들을 확인하기 위해서 언어행위를 관찰한다.
④ 일관성 있고 지지적인 관계를 유지한다.
⑤ TV시청, 음악, 산책 등으로 환경적 자극을 증가시킨다.
⑥ 환자가 준비되어 있을 때 망상의 결과들에 대해서 토론한다.
E
환자에게 망상과 현실을 구분할 수 있도록 증상을 확인한 후, 새로운 환경을 제공하고 지지적인 관계를 유지했다. 사고의 흐름이 어느 정도 빗나가지 않았고 치료자와 대화하는 도중에는 사고의 장애(망상)가 나타나는 횟수가 줄어들었다. 환자의 정서가 불안정하지 않도록 꾸준히 옆에서 관계를 형성하도록 노력해야겠다.
문제
간 호 과 정
#
7
사
회
적
고
립
S
“그냥 여기(병실)에 있을래요.”
“아 귀찮아요.”
“좀 나가주실래요.”
“사람이 싫어요.”
O
① 요법에 참여하지 않고 혼자있는 모습 자주 관찰됨.
② 혼자 앉아서 책에 무언가를 계속 적음.
③ 손으로 얼굴을 가리고 대화를 함.
A
대인관계 기술부족과 관련된 사회적 고립
P/I
goal) 현재 환경에 적응하고 타인과의 상호작용이 증가된다.
① 사회적 상호작용정도를 사정한다.
② 환자를 혼자 두지 않고 함께 있어주므로써 상호작용을 증진시킨다.
③ 환자가 단체활동을 회피하고 있다는 사실을 인지하도록 대화한다.
④ 환자가 필요하다면 옆에서 지지해 줄 수 있는 의료진이 항상 있다는 것 을 알려준다.
⑤ 쉽게 완성할 수 있는 작업, 그림요법 등의 기회를 제공하여 성공의
경험을 느끼게 한다.
⑥ 언어적 의사소통을 격려한다.
E
처음 보는 치료자에게는 수줍어하고 자신이 없었지만, 점차적으로 요법에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모습이 관찰되었고, 자신의 의견도 발표하였다. 복도를 걸어다니면서 다른 환자와의 대화도 자연스럽게 하는 걸 보았다. 의료진이 말을 걸면 거부하지 않았고 필요시 의료진을 찾아 도움을 청하는 모습을 보였다.
문제
간 호 과 정
#
8
사
회
적
적
응
장
애
S
“간호사들은 다 거짓말쟁이...”
O
① 의료진을 불신하는 내용이 적힌 메모지를 발견함.
A
신뢰부족과 관련된 사회적 적응 장애
P/I
goal) 환자는 의료진을 믿고 현재 환경에 적응할 수 있다.
① 신뢰적인 관계 형성을 위해 환자와 1:1 치료적인 의사소통을 한다.
② 환자에게 정직하게 대하고 약속을 지킨다.
③ 신체적인 접촉을 피한다.
④ 볼 수 있는 장소에서 웃거나 속삭이는 행동은 피한다.
⑤ 의료진은 환자에게 도움을 주는 사람이라는 것을 알려주고, 믿음을
확신시켜준다.
⑥ 수동적이고 사무적이면서도 친밀한 접근을 한다.
⑦ 병동 내 프로그램 참여를 권장한다.
⑧ 하루에 20분씩 복도나 휴게실에 같이 나와 있는다.
E
신체적 접촉은 가능한 피하고 환자의 말에 경청하고 격려했다. 친밀하고 일관성 있게 다가갔을 때 환자가 조금씩 마음을 열고 치료자와 신뢰를 형성할 수 있었다. 그리고 병실에 있는 시간보다 복도나 휴게실에 나와있는 시간이 1~2시간정도 늘었다. 계속적인 관찰과 관심으로 환자와의 신뢰관계가 실패로 돌아가지 않도록 노력해야겠다.
문제
간 호 과 정
#
9
불
이
행
S
“안빈군이나 먹여라.”
“저는 약 안 먹어도 괜찮아요.”
“약 안 먹을래요”
O
① 투약할 때 약을 바닥에 떨어뜨림.
② 약 먹은 후에 쓴 표정을 짓는다.
A
투약에 대한 두려움과 관련된 불이행
P/I
goal) 투약을 거부하지 않고 먹을 수 있다.
① 투약에 대한 두려움 정도를 사정한다.
② 투약이 환자에게 나쁜 것이 아니고 건강해지는데 도움을 준다는 것을 알려준다.
③ 투약에 대해 환자가 느끼는 감정을 말로 표현하도록 한다.
④ 필요시 투약 후 keep을 한다.
E
투약을 거부할 때마다 옆에서 격려하고 지지해 주었다. 수행결과 투약 시 약을 떨어뜨리지 않고 한꺼번에 약을 먹었고, 표정도 전보다 편해보이고 좋아보였다. 약을 먹으라고 할 때면 곧바로 컵을 들고나와 약을 먹었으며 약 먹고 나서도 불만을 갖거나 표정이 어둡지 않았다. 계속적으로 투약을 지켜보면서 두려움을 갖지 않도록 지지를 해주어야 할 것이다.
문제
간 호 과 정
#
10
자
긍
심
저
하
S
“저는 이거 할 줄 몰라요”
“언니들이 말 거니깐 부담스러워요”
O
① SN들에게 손 잡아달라고 함.
② 손으로 얼굴을 가리고 대화를 함.
A
불안감, 초조와 관련된 자긍심 저하
P/I
goal) 환자는 퇴원시까지 자신있게 자신의 감정을 말로 표현할 수 있다.
① 환자의 불안정도를 사정한다.
② 혼자있는 시간을 줄일 수 있도록 각종 집단활동에 참여하도록 한다.
③ 환자는 의료진과 타인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사람이라고 격려한다.
④ 환자의 현재 감정을 말로 표현하도록 한다.
⑤ 환자가 잘한 행동에 대해서는 적절한 칭찬을 한다.
⑥ 환자의 대화에 귀 기울이고, 적절한 피드백을 제공한다.
E
방에 혼자 있는 시간이 줄었으며 활동요법에 참여를 잘 하지 않았는데, 참여하라고 권유를 하면 좋다며 같이 요법에 참여를 했다. 참여 도중에 집중을 잘 하지 못하고 계속 혼잣말을 하는 모습을 보였다. 도와주려고 하면 거부를 했지만, 나중에는 도움을 청하는 모습을 보였다. 요법 시 다른 환자의 것에 대해 궁금해 하며 서로 대화하는 모습도 관찰되었다. 어느 정도 자신의 것에 대해서도 집중을 하며 끝까지 최선을 다하는 모습을 보였다.
추천자료
미숙아의 생리적인취약점 .신생아 중환자실에서의 치료와 간호.미숙아의 질병 .모체의 감염...
기하학 학습, 고지혈증 환자교육 코스웨어설계, 초등학교 과학 편리한 도구 단원 코스웨어설...
정신간호학 PBL(문제중심학습) - 알코올 (Alcohol) 관련 장애 (환자 간호력, 문제의 분석, 공...
노년기 정신 기능장애 {우울, 자살, 불안, 망상장애, 신체형 장애, 물질남용 장애, 치매}
성인간호학)장기간 의식장애 환자와 가족의 어려움과 극복방법 & 간호
노년기 정신장애(정신적 질병) - 노년성 우울증(노년기 우울증, 노인성 우울증), 편집병 장애...
[기분장애] 기분장애의 개념(정의) 및 분류(유형), 기분장애의 임상적 특징(우울상태, 조증상태)
[기분장애의 진단] 기분부전장애, 양극성장애, 순환성기분장애, 우울증의 진단(검사)기준(DSM...
[청소년발달장애] 청소년기 발달장애-이상행동 및 정신장애(청소년비행, 우울증, 자살, 섭식...
신경언어장애의 치료(실어증 치료방법) - 실어증 환자의 치료, 실어증 치료접근법(멜로디 억...
아동기 발달장애(아동의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기 우울증, 학교공포증)
[기분장애] 기분장애(우울증 양극성 정동장애)의 개념과 원인 및 유병률 기분장애의 특성과 ...
[정서장애] 우울증의 원인 조증과 조울증
[동서협진과 CASE] 호흡장애(dyspnea)를 주소로 하는 폐암환자 1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