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관리정리입니다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간호관리정리입니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 실행을 관장
※ 페이욜(H. Fayol)
관리과정을 구성하고 있는 관리기능을 최초로 제시한 人
5. 관리의 목표
1) 생산성(productivity)
ㆍ생산과정에 소비된 생산요소의 투입량과 산출량의 비율
생산성(productivity) =
ㆍ사용된 투입자원에 대한 적정수준의 질을 유지하는
산출의 비율
⇒ 한계가 있다(모든 요소를 수렴하기가 어렵다)
∴ 노동생산성, 자본생산성 등등 세분화
2) 효율성(efficiency) : 일을 올바르게 처리하는 것
3) 효과성(effectiveness) : 옳은 일을 하는 것
효과와 효율의 비교
효과
효율
ㆍ올바른 일을 함을 의미
- right output(결과)
ㆍ일을 올바르게 함을 의미
- 과정, 수단
- 처리, 자원낭비↓
ㆍ조직목적이 달성되는
정도를 측정하는 개념
(ends)
ㆍ조직이 목적달성을 위해
제자원을 사용하는 정도를
측정하는 개념
- 최소의 자원으로
최대효과 (효율성↑)
ㆍ조직과 환경간의 관계의
질을 측정하는 개념
ㆍ기술의 수행에 관련되는,
업적의 질에 대한 측정치
(최대의 산출)
ㆍ목적 달성에 관련된 개념
ㆍ최소한의 자원으로 목적을
달성함에 관련된 개념
ㆍ장기적인 측정치
ㆍ단기적인 측정치
ㆍ의도된 바의 산출물을
생산하는 과정의 정도
ㆍ투입물의 양과 질 &
산출물의 양과 질 간의
비례관계
관리의 목표 : 생산성, 효울성, 효과성 추구
Ⅱ. 간호관리기능의 과정
1. 간호관리의 개념(간호조직 속에 이루어지는 것)
1) 간호관리의 정의
① Dee. Ann. Gilliest
ㆍ간호가 사정, 계획, 수행, 평가, 재사정, 재계획 등의 단계를 거치는 것과 마찬가지로 간호관리도 과정으로서
자료수집 → 기획 → 조직 → 인사 → 지휘 → 통제의 단계를 거친다고 설명
② 스완즈버그(R. C. swansburg, 1993)
ㆍ간호관리란 간호부서나 간호단위에 있는 간호관리자들이
간호활동을 기획하고 조직하고 인사하며 지휘ㆍ평가하는 과정
* 순환적으로 이루어지며 체계적으로 나타난다.
서로서로 영향을 주고 받는 개방적인 체계
간호기획기능

간호조직기능

간호 인적자원
관리기능

간호지휘기능

간호통제기능
간호관리기능간의 상호관련성
체계 : 하위체계가 모여 큰 체계를 이루고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것
③ 더글라스
ㆍ 환자에게 양질의 간호를 제공하기 위해서 간호인력과
물리적, 기술적 자원을 활용하여 기획, 조직, 지휘, 통제하는 과정과 기능
2. 간호관리체계
간호관리의 체계(개방체계)
1) 투입 : 인력, 물자, 자금, 정보
2) 과정 : 기획, 조직, 인사, 지휘, 통제
3) 산출 : 간호서비스의 질과 양(생산성)
환자만족, 간호사만족, 이직률
Ⅲ. 간호관리자의 역할
┏ lower manager(first line manager)
┣ middle manager
┗ top manager
1. 간호관리자의 분류
ㆍ조직계층에 따라
1) 하위 관리층(lower manager) or 일선관리층
아래로 다른 관리자가 없이 현장에서 실제로 업무 수행
직접관리가 일어남. 현장에서 업무 수행
2) 중간 관리층(middle manager)
최고관리층이 설정한 조직의 목표ㆍ전략ㆍ정책을
집행하기 위한 제반활동 수행
하위 관리자를 지휘ㆍ감독하는 것
ex) 간호차장, 간호과장, 간호감독
* 중간층이 두껍기도 얇기도 함
* 자기 아래 관리층이 有
3) 최고 관리층(top manager)
장기적 목표ㆍ전략 등을 결정
조직이 나아갈 방향을 결정
ex) 간호부장, 간호이사
상층(수반) 관리층
중층(중간) 관리층
하층(일선) 관리층
아래층으로 갈수록 多
2. 관리기술(카츠 R. L. Katz, 1974)
1) 실무적 기술(technical skill)
실제 간호를 수행하는데 요구되는 기술
하위관리층에 多 요구
2) 인간적 기술(human skill)
사람과의 관계 기술
(다른 사람들과 같이 일한다. 혼자서는 X)
모든 계층에 다 중요
3) 개념적 기술(conceptual skill)
조직의 모든 이해관계와 활동을 조정ㆍ통합
전체내용(목표)에 맞도록 이끌어 간다.
상위관리층에 多 요구
관리계층
관리기술의 상대적 중요성
최고관리층
개념적
중간관리층
인간적
하위관리층
실무적
관리기술
3. 관리자의 역할
1) Mintzberg(1973)의 제시
(1) 대인관계 역할
대표자 역할 : 조직 대표
지도자 역할
섭외자 역할 : 관리자와 조직외부 사람들과의 거래
(2) 정보적 역할
모니터 역할(정보탐색자)
전달자(정보보급자)
대변인
* 정보수집ㆍ탐색 : 이 기능을 잘 해야 조직이 성공
(3) 의사결정자 역할
: 세가지 역할 중 가장 중요한 역할
기업가 : 상위관리층에서 多 요구
문제처리자
자원 분배자
중재자 역할
역할
내용
대인관계
역할
대표자 역할
조직의 대표자로서 의식이나
사회적, 법적 의무를 수행
지도자 역할
부하직원들이 조직의 요구에
맞게 일할 수 있도록 조정통제
섭외자 역할
조직의 외부인과 관계를 유지
정보적
역할
모니터 역할
조직의 활동에 필요한 조직
내ㆍ외의 정보 수집
전달자 역할
수립한 정보를 조직의 하위자
에게 전달 전파하는 역할
대변인 역할
조직의 성과와 문제 등의
정보를 외부에 알리는 역할
의사결정자
역할
기업가 역할
조직의 변화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사업을 추진해가는
역할
문제 처리자
조직이 당면한 중요한 문제들의
해결을 모색하는 역할
자원 분배자
조직내의 자원활용과 관련된
의사결정의 역할
중재자 역할
인간과 집단을 대상으로 중재
하는 역할
3장. 관리 이론의 발달과정
1. 과학적 관리론 ★
테일러(1911) : [ 과학적 관리의 원칙 ] 발표
1) 주요내용
① 동작연구와 시간연구 (작업조건)
* 시간과 동작을 작은 단위로 쪼개서 연구
동작을 시간으로 따짐.
② 표준화 강조
③ 작업의 단순화, 분업 장려
④ 1일의 작업량(task management) 책정
⑤ 성과급 지급
* 성과급 관리 task management
→ 과업의 달성도를 돈(급)과 연결시킴
할당된 과업의 달성도에 따라 임금의 고하를
연계시키는 임금결정 체계를 개발
* 최대한의 작업환경이 좋은 성과를 가져온다.
2) 공헌
① 직무를 전문화하고 대량생산을 가느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40페이지
  • 등록일2014.02.18
  • 저작시기2014.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0509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