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te stones)
차, 코코아, 인스턴트커피, 콜라, 맥주, 콩, 시금치, 감귤, 사과, 포도 등의 고 수산염이 포함된 식품을 피하며 비타민 C의 과량 섭취는 요 중에 수산 배설을 증가시킨다.
c. 요산결석
저퓨린 식이를 해야 하며 치즈, 햄, 쇠고기, 숭어, 연어, 육류의 내장 등을 제한한다. 시스틴결석(cystine stones)은 드문 병으로 식사에서 메치오닌(methionine)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단백질을 제한한다.
⑦ 약물 복용과 관련된 교육
: 결석의 재발 감소를 위한 약물과 장기간 복용에 대하여 이해시킨다. 인산 칼슘결석 형성을 막기 위해 흔히 인산(phosphates), thiazide계 이뇨제, allopurinol을 사용한다. 칼슘 결석을 가진 환자는 칼슘이 함유된 제산제 복용을 피하고 인과 결합하는 aluminum hydroxide 제산제를 사용한다.
비타민 B6(pyridoxine)는 결정의 배설을 촉진하므로 수산염 결석을 예방하기 위하여 투여할 수 있다.
요산 결석시 Allopurinol, thiazide 이뇨제, 아스피린은 소변 중 요산을 증가시키므로 피해야 하며 소변을 산성화 시키기 위해 중탄산 소다(sodium bicarbonate)를 투여한다.
삼중 인산염 또는 struvite 결석시에는 감염 치료를 위한 장기간의 항생제 투여와 함께 요의 산성화, 인산결합제의 투여, 인산의 식이 제한 등을 실시한다.
(4) 평가
결석의 재발을 예방하는 것은 중요한 간호중재의 하나이다. 요 결석 환자의 25∼30% 정도에서 결석이 재발한다고 추정하고 있으며 결석 재발은 보통 23년 안에 발생하나 20년이 지난 후에도 발생할 수 있다. 그러므로 예방은 일생동안 필요하며 장기간 합병증 없이 개개인의 결석 문제가 해결되는 것 뿐만 아니라 또 다른 결석 형성을 예방하도록 수분섭취권장, 식이제한, 약물 복용 등을 교육해야 한다.
2. 방광결석
1) 결석형성
감염, 이물, 방광경부 경축, 전립선비대증 과 같이 방광경부에 협착이 있을 때, 방광의 폐쇄, 방광이 잘 비워지지 못할 때 형성될 수 있다.
신장에서 생긴 결석이 방광으로 내려와서 방광 내에 머물러 있는 동안 염류가 부착하여 계속적으로 커질 수 있다.
2) 증상과 징후
많은 환자들은 방광염의 증상을 호소한다.
전혀 증상이 없을 수도 있다.
큰 결석의 경우
치골상부에 무거운 느낌이다.
방광의 용적을 감소시킨다.
요가 간헐적으로 흐른다. ( 배뇨하는 동안 방광경을 막으면 )
요도로 들어가면 요도 점막에 외상을 입힐 수 있다.
※ 비뇨기계 결석이 의심되면 4겹의 거즈로 모든 요를 걸러낸 후 주의 깊게 거즈에 여과된 결석을 살펴본다.
3) 간호
다른 금기가 없는 한 환자에게 하루에 3000-4000ml의 수분을 마시도록 격려한다.
(요를 희석시켜 결석 형성을 방해하고 방광 결석을 밖으로 내보내도록 도와줌)
결석이 요로 배출되지 않거나 요도로 안전하게 빠져나갈 수 없을 정도로 크면 외과적
수술이 필요하다.
방광결석 절제술(cystolithotomy) :
치골상부를 절개하여 방광 내에서 결석을 제거하는 수술임. 작은 결석을 제거한다.
추석술(litholapaxy) :
큰 결석은 방광 내시경적 쇄석기라 불리는 기구로 결석을 분쇄한 다음 방광을 세척하며 분 쇄된 결석 조각을 방광 밖으로 내보내게 하여 제거한다.
수술 후 간호사는 출혈 증상, 요폐, 감염, 결석 재발을 관찰한다.
참고문헌
이향련 외(2007). 여섯째판 성인간호학 II. 수문사.
전시자 외(2001). 제 3판 성인 간호학 하(1). 현문사.
전시자 외(2005). 제 4판 성인 간호학 하. 현문사.
차, 코코아, 인스턴트커피, 콜라, 맥주, 콩, 시금치, 감귤, 사과, 포도 등의 고 수산염이 포함된 식품을 피하며 비타민 C의 과량 섭취는 요 중에 수산 배설을 증가시킨다.
c. 요산결석
저퓨린 식이를 해야 하며 치즈, 햄, 쇠고기, 숭어, 연어, 육류의 내장 등을 제한한다. 시스틴결석(cystine stones)은 드문 병으로 식사에서 메치오닌(methionine)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단백질을 제한한다.
⑦ 약물 복용과 관련된 교육
: 결석의 재발 감소를 위한 약물과 장기간 복용에 대하여 이해시킨다. 인산 칼슘결석 형성을 막기 위해 흔히 인산(phosphates), thiazide계 이뇨제, allopurinol을 사용한다. 칼슘 결석을 가진 환자는 칼슘이 함유된 제산제 복용을 피하고 인과 결합하는 aluminum hydroxide 제산제를 사용한다.
비타민 B6(pyridoxine)는 결정의 배설을 촉진하므로 수산염 결석을 예방하기 위하여 투여할 수 있다.
요산 결석시 Allopurinol, thiazide 이뇨제, 아스피린은 소변 중 요산을 증가시키므로 피해야 하며 소변을 산성화 시키기 위해 중탄산 소다(sodium bicarbonate)를 투여한다.
삼중 인산염 또는 struvite 결석시에는 감염 치료를 위한 장기간의 항생제 투여와 함께 요의 산성화, 인산결합제의 투여, 인산의 식이 제한 등을 실시한다.
(4) 평가
결석의 재발을 예방하는 것은 중요한 간호중재의 하나이다. 요 결석 환자의 25∼30% 정도에서 결석이 재발한다고 추정하고 있으며 결석 재발은 보통 23년 안에 발생하나 20년이 지난 후에도 발생할 수 있다. 그러므로 예방은 일생동안 필요하며 장기간 합병증 없이 개개인의 결석 문제가 해결되는 것 뿐만 아니라 또 다른 결석 형성을 예방하도록 수분섭취권장, 식이제한, 약물 복용 등을 교육해야 한다.
2. 방광결석
1) 결석형성
감염, 이물, 방광경부 경축, 전립선비대증 과 같이 방광경부에 협착이 있을 때, 방광의 폐쇄, 방광이 잘 비워지지 못할 때 형성될 수 있다.
신장에서 생긴 결석이 방광으로 내려와서 방광 내에 머물러 있는 동안 염류가 부착하여 계속적으로 커질 수 있다.
2) 증상과 징후
많은 환자들은 방광염의 증상을 호소한다.
전혀 증상이 없을 수도 있다.
큰 결석의 경우
치골상부에 무거운 느낌이다.
방광의 용적을 감소시킨다.
요가 간헐적으로 흐른다. ( 배뇨하는 동안 방광경을 막으면 )
요도로 들어가면 요도 점막에 외상을 입힐 수 있다.
※ 비뇨기계 결석이 의심되면 4겹의 거즈로 모든 요를 걸러낸 후 주의 깊게 거즈에 여과된 결석을 살펴본다.
3) 간호
다른 금기가 없는 한 환자에게 하루에 3000-4000ml의 수분을 마시도록 격려한다.
(요를 희석시켜 결석 형성을 방해하고 방광 결석을 밖으로 내보내도록 도와줌)
결석이 요로 배출되지 않거나 요도로 안전하게 빠져나갈 수 없을 정도로 크면 외과적
수술이 필요하다.
방광결석 절제술(cystolithotomy) :
치골상부를 절개하여 방광 내에서 결석을 제거하는 수술임. 작은 결석을 제거한다.
추석술(litholapaxy) :
큰 결석은 방광 내시경적 쇄석기라 불리는 기구로 결석을 분쇄한 다음 방광을 세척하며 분 쇄된 결석 조각을 방광 밖으로 내보내게 하여 제거한다.
수술 후 간호사는 출혈 증상, 요폐, 감염, 결석 재발을 관찰한다.
참고문헌
이향련 외(2007). 여섯째판 성인간호학 II. 수문사.
전시자 외(2001). 제 3판 성인 간호학 하(1). 현문사.
전시자 외(2005). 제 4판 성인 간호학 하. 현문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