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아동....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신생아실에서의 중요한 5가지

2. 체온유지를 위한 히트램프의 거리

3.투약의 5가지 기본 원칙

4. 정상 신생아의 활력증후

5. 신생아의 복식 호흡

6. 항문 체온을 측정하는 이유 및 측정시간

7. 모유수유 방법

8. 모유와 분유의 차이점

9. 모유수의 장점과 단점

10. 인공수유의 장점과 단점

11.수유 후 자세

12. 선천성 대사장애

13. 신생아 신체 사정방법

14. EBM & ME

15.두혈종(cephalohematoma)

16. Infusion pump

☀ 참고문헌

본문내용

저페닐 알라닌 식이요법을 실시하면 피부, 모 발의 색소가 짙어지며, 습진도 나아지고 지능도 조 금씩 좋아진다. 생후 1개월 이내부터 적절한 식이요법을 꾸준히 시행하면 정신박약을 일 으키지 않고 정상인으로 자라게 된다.
③ 갈락토스혈증
갈락토스가 들어있는 유제품을 주지 말아야 한다. 우유나 모유에 함유된 유당은 장내에서 가수분해되어 갈락토스와 포도당으로 분해되므로 우유나 모유를 주어서는 안 된다. 갈락 토스를 포함하지 않은 대두유, 베지밀등 콩으로 만든 제품을 먹여야 한다. 소량의 유당을 함유하고 있는 식품이라도 계속적으로 부여하면 위험하므로 주의해야 한다. 심한 경우에 는 예후가 불량하여 출생 후 수주 내에 사망하기도 하나 백내장이나 정신적 발육부전 등 의 불가역적인 변화가 오기 전에 갈락토스가 제외된 식이를 주면 모 든 증상은 완전히 치 유된다. 단, 백내장은 외과적 수술을 필요로 한다.
④ 호모시스틴뇨증, 단풍당뇨증, 히스티딘혈증은 특수 분유와 식이요법으로 정신박약을 예 방할 수 있다.
신생아의 대사이상검사의 필요성
신생아 선천성 대사이상 검사는 보통 생후2일에서 7일 사이라고 한다. 그러나 검사는 생 후 15일까지 가능하다. 올해부터는 대사이상증의 원인을 조기에 발견, 치료함으로써 정신지체아 발생을 사전에 예방하기 위한 선천성대사이상검사가 정부지원 2종에서 6종으로 확대 변경 되었다.
* 검사항목 : - 페닐케톤뇨증
- 선천성갑상선기능저하증
- 갈락토스혈증
- 호모시스틴뇨증
- 단풍당뇨증
- 선천성부신과형성증
검사방법
생후 48시간 이후에 혈액검사를 실시한다. 신생아에게 모유나 우유를 충분히 섭취시킨 영 양이 풍부한 상태에서 생후 6일째 많이 한다.
13. 신생아 신체 사정방법
① 아프가점수 평가법(APGAR scoring system)
각 항목에 0,1,2의 점수를 준다. 출생 후 1분과 5분후에 5개의 범주 모두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지며 신생아의 상태가 안정될 때까지 반복된다. 총점이 0~3점은 심한 적응 곤란을 나타내며, 4~6점은 다소 곤란한 상태를 나태내고, 7~10점은 자궁 외 생활에 대한 적응의 어려움이 없음을 의미한다.
징 후
0점
1점
2점
심박률
없음
느림, 100 미만
100 이상
호흡하려는 노력
없음
불규칙적이고 느리며 허약한 울음
양호하고 힘찬 울음
근력
흐느적거림
사지 약간 굽힘
잘굽힘
자극에 대한 반응
반응없음
찡그림
울거나 재채기
피부색
청색, 창백함
몸 분홍색, 사지 청색
완전한 분홍색
② 재태기간의 임상 사정
주산기의 이환율과 사망률이 재태기간과 출산 당시의 체중과 관련있다. 자주 사용되는 임신 기간을 결정하는 방법은 Ballard, Novack, Driver에 의해 간소화된 재태기간 사정이 다. 출생 당시의 체중과 재태기간 모두에 의한 신생아의 분류는 사망 위험을 예측하고 신 생아를 관리하는 지침을 제공하기 위해 재태기간을 예측하거나 혹은 출생 당시 무게에만의 존하는 방법 보다는 더욱 정확하다.
재태 기간에 비해 체중이 적절한 (appropriate for gestational age, AGA)
재태 기간에 비해 체중이 큰 (large for gestational age, LGA)
재태 기간에 비해 체중이 작은 ( small for gestatonal age, SGA)
③ 체계적 신체검진
정상 크기 및 측정방법
머리둘레 - 33~35cm(13~14인치)이다. 머리 둘레는 출생 직후에는 정상 질분만을 하는 동안 일어나는 주형과정 때문이다. 눈썹위와 후두골의 가장 돌출된 부분을 지 나도록 잰다.
가슴둘레 - 30.5~33cm(12~13인치)이다 머리둘레가 보통 2~3cm(약 1인치)정도 가슴둘 레보다 더 크다. 젖꼭지를 지나 척추에 직각이 되도록 줄자를 대어서 잰다.
복부둘레 - 배꼽 바로 위에서 측정된다. 배꼽을 지나 척추에 직각이 되도록 줄자를 대어 서 잰다.
머리부터 발뒤꿈치 길이 - 측정시 전체길이를 측정할 때 다리를 완전히 펴는 것이 중요 하다. 신생아의 평균 누운키는 48~53cm(19~21인치)이다.
체중 - 출생 직후에 측정 한다. 신생아는 체중감소가 상당히 빠르게 일어나기 때문이다. 대부분의 신생아는 2700~4000g의 체중이 나가는데, 평균 체중은 3400g정도이 다.
머리 - 대천문(앞숫구멍)은 다이아몬드 모양이고 16~18개월에 폐쇄된다. 소천문(뒷숫구 멍)은 세모모양이고 6~8주 정도에 폐쇄된다.
복부 - 정상적인 복부의 외형은 원통형이고 보통 정맥이 드러나 보이며 불룩하다. 장음은 출생한지 15~20분에 들린다.
여아 생식기 - 정상적으로 소음순, 대음순, 그리고 음핵이 부어있는데, 특히 둔위분만인 경우에는 더욱 그러하다. 질분비물은 생애 첫 주동안 볼수 있다. 가월경 은 모체호르몬의 갑작스러운 감소의 결과로 보통 2~4주에 사라진다.
남아 생식기 - 음경은 끝에 있는 요도객부의 위치를 파악하기위해 검사한다. 음낭은 크 고, 팽창되어 있으며, 흔들릴 수도 있다.
등과 항문 - 척추의 형태는 완만한 둥근 모양으로 , S자 모양으로 구부러진 특징은 없다. 항문이 보이고, 출생 후 처음 24~36시간 동안의 태변배출은 항문의 열림을 나타낸다.
14. EBM & ME
EBM : 짜낸 모유 (expressed breast milk)
ME : 잘못된 기입 (mistake entry) 차트 잘못 기입시 정정방법이다
15. Infusion pump
Volume type
① 사용목적
주입할 정확한 양의 수액을 정확한 시간동안 주입하기 위해 사용하며, 총 주입해야 할 양 을 정한 후 사용하고자 할 때에도 사용한다.
② 사용방법
IV pole에 pump의 clamp을 사용하여 안전하게 접속시킨다.
전원을 연결한다.
Pump의 문을 열고 기계 뒤에 있는 POWER 스위치를 켠다.
- POWER 스위치를 켜면 우선 LINE POWER indicator에 불이 켜지게 되고
다른 indicator에도 차례로 불이 들어오고, \"삑\" 소리가 나게 된다.
- AIR-IN-LINE, OCCLUSION, 그리고 DOOR OPEN의 순서대로 alarm이 울린다.
Infusion pump용 수액
  • 가격2,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4.02.19
  • 저작시기2014.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0525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